제주대학교 Repository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교육의 역사적 특징과 성격을 유배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통상적으로 써왔던 "유배인의 교학활동(敎學活動)"이라는 표현 대신에 '제주유배교육(濟州流配敎育)'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제주유배교육은 조선시대, 제주라는 시대·지역적 상황과 유배라는 형벌이 만들어낸 제주의 독특한 교육문화이다. 제주유배교육을 통해 조선시대 제주교육의 역사는 한층 깊어지고 더욱 다양해졌다.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중기, 후기, 말기 등 4시기로 대별되었다. 각 시기 마다 제주유배인의 현황과 그들 가운데 특별히 제주교육에 영향을 끼쳤던 유배인들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제주유배교육의 의미와 그것이 조선시대 제주교육의 역사와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제주교육의 역사 가운데 조선전기는 태조조(太祖朝 1392)에서 인종조(仁宗朝;1545) 기간으로 이른바 '제주유배교육의 태동기(胎動期)'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왕조의 중앙집권체제가 성리학적 교육이데올로기에 의해 강력하게 구축되던 시기이다. 특히 조선전기는 체제의 제도적 정비라는 차원에서 국가교육의 형식 확충이 시급히 요망되었으며 그러한 문교정책적(文敎政策的) 필요성에 부응하여 제주도에도 교육의 형식적 기틀이 갖추어지게 되던 때였다. 이 시기에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국가를 세우는 과정에 이른바 사림파와 훈구파의 갈등으로 빚어진 4대 사화(士禍)로 인해 여러 유배인들이 제주도로 보내지게 된다. 이들 가운데 특히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교육이데올로기를 신봉했던 사림파들이 제주도에 유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주교육은 일찍부터 사림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들 가운데 '충암(沖庵) 김정(金淨)'과 '이세번(李世蕃)'은 당대 최고의 교육자였던 조광조(趙光祖)와 교우(交友) 또는 사제관계(師弟關係)를 맺었던 사람으로서 제주교육에 남다른 사상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선중기는 명종조(明宗朝 1546)에서 숙종조(肅宗朝 1720)의 시기로써 '제주유배교육의 성숙기(成熟期)'라고 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 볼 때 당쟁으로 관료 상호간의 권력암투가 심대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성리학이 발전, 심화되던 때였다. 제주도의 입장에서 볼 때 조선중기는 출륙억제(出陸抑制)라는 제도적인 금압정책(禁壓政策)이 강요됨으로써 대외적인 교육진출의 길이 거의 봉쇄된 상황에서 교육이 전개되던 시기였다. 그러나 당쟁으로 인해 빈번해진 유배인과 제주인들과의 교육관계는 어느 정도 그러한 교육적 위축을 보상해 줄 수 있었는데 제주도 귤림서원(橘林書院)의 건립과 오현배향(五賢配享)은 보상의 상징적 의미를 띠고 있었다. 이 시기는 천하를 평정한 사림파들이 자파의 명분과 이익을 위해 뭉침으로써 발생한 당쟁 때문에 많은 중앙 지식인들이 제주도로 유배를 오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16세기, 17세기에 이루어진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의 백미(白眉)들이 제주도에 소개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제주교육은 한층 성숙해질 수 있었다.
조선후기는 경종조(景宗朝 1721)에서 고종조(高宗朝 1896)의 시기로써 '제주유배교육의 실천기(實踐期)'라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들면서 사회는 세도정치(勢道政治)로 인한 제반폐해(諸般弊害)와 계속되는 재난 때문에 국가재정은 위축일로에 있었고 삼정문란(三政紊亂)으로 인한 세정(稅政)의 불공정과 지방 관리의 불법수탈로 말미암아 국가경제는 파탄에 직면하고 있었다. 반면에 민중의 지식수준은 날로 향상되어 그들의 문제의식은 차츰 높아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부조화 현상 속에서 한 시대의 정신이념이었던 유학 안에는 성리학과 대조적인 사조가 잉태되고 있었다. 이러한 성리학의 반정적(反正的) 흐름인 실학과 성리학의 실천 적 사상인 척사위정사상이 제주도에 소개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제주교육의 전통이 만들어지던 시기였다. 이러한 실천적 유배인들의 영향은 훈고(訓?)의 전통에서 제주교육의 전통을 보다 능동적으로 만드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제주유배인으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와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을 들 수 있는데 추사의 제주도 제자들이 다양한 문화운동을 전개한 것이나 면암의 사상이 후대에 제주의 의병운동과 3.1만세운동 등의 사상적 배경이 된 것들이 이 시기 제주교육의 새로운 전통들이다.조선말기는 광무 1년(光武1년 1897)에서 융희 3년(隆熙3년 1910)으로 '제주 유배교육의 전환기(轉換期)'라고 할 수 있다. 조선 말기는 이른바 개화기(開化期)라고 명명되는 1876년 개항으로부터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될 때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이 시기는 종래의 유교적 전통의 제약 속에서 소수의 개화 사상가들이 서구의 신문화를 섭취하려는 의도에서 근대교육운동이 전개되었으며 근대적 교육사상의 형성되고 그것이 대중 속에 침투함으로써 대중적 교육운동이 크게 일어났다는 점에서 여타 의 시기와 그 성격이 다르다. 이 시기는 개화파 지식인들이 제주도에 유배를 오게 됨으로써 제주교육이 구(舊) 교육에서 근대교육체제로 변화할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제주도에는 전무했던 여성근대교육이 오히려 다른 지역보다 먼저 가능하게 된 것도 박영효와 같은 개화 지식인의 제주유배가 아니었으면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다. 조선시대의 제주교육은 전기, 중기, 후기, 말기를 막론하고 유배인들의 교육적 활동과 불가분(不可分)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그만큼 조선시대 제주교육에서 유배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유배교육을 통해 조선시대 교육이데올로기가 제주도에 보급되고, 가르쳐지고, 논의되어 그에 따른 교육전통이 만들어짐으로써 제주교육의 특수한 역사적 양식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in Jeju island through exile.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is used for the first time instead of the term, 'The Educating and Learning Activity of Exiles on Cheju Island', which is normally used.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is a unique education culture which
is made by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location, Jeju, which is suitable to isolate criminals because it was cut off from the mainland. For these reasons, the educational history of Jeju island is much more deeply and various.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in Chosun dynasty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ormer, the middle, the latter, and the last peri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educational history in Jeju by considering the states of exiles in each period and especially, the activities of those who have an
effect on Jeju education. The former period in Chosun dynasty, from King Taejo(1392) to King Injong(1545), is the so-called beginning one of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It is the time when the neo-Confucianism was adopted and promoted as the offical ideology which established a centralized state.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was required to organize the institutional system. At that time, Jeju island could start to be equipped with the formal educational base which met the need of educational policy. Many exiles visited Jeju island because of the four "Sahwa", which refers to a series of political purges in late 15th and 16th century, in which Sarim scholars suffered persecution at the hands of their political rivals, Hungu. Sarim scholars who originated from the neo-Confucian school were exiled into Jeju island. That's why Jeju education have accepted the Sarim's educational ideology. Kim Jung and Lee Sea Burn who have the student-instructor relations with Cho Gwang Jo, the best educator, affected the idea of Jeju
education. The middle period in Chosun dynasty, from King Meongjong(1546) to King Sukjong(1720), is the maturity of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Various
regional and ideological factions struggled for dominance in the political system. Neo-Confucianism was developed and improved in the philosophy system. Banishing of going out Jeju island was prevalent, which blocked the
route of education in this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exiles from the party strife and those who lived in Jeju compensated them for the contraction of education, which symbolized the Kul Lim Seowon(橘林書院),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Oh Hyun Canonization. This process can bring Neo-Confucianism into Jeju island during 16 and 17century. Therefore Jeju education came to maturity.
The latter period in Chosun dynasty, from King Keongjong(1712) to King Kojong(1896), is the practical period of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Power politics, which is called Sedo(勢道) and the disaster made the national
finance keep on worsening. The economy of Chosun dynasty had faced with the bankruptcy because of the disorganization of three political categories, the
land, the military and the rent of ric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knowledge had been improved so people's critical mind developed more and more. Another thought had been created within Confucianism, which was designed to counter the "uncritical" following of Confucian teachings and the strict adherence to "formalism" and "ritual" by Neo-Confucians. Silhak, a Korean Confucian social reform movement and Wuijung Chuksa,
the expulsion of all thoughts but Neo-Confucian were introduced into Jeju island and they made another tradition of Jeju education. From this practical effect, Jeju education was more active than before. Kim Jeonghui and Choi Ikhyun are the most representatives among exiles
in Jeju island. Disciples of Kim Jeonghui developed various cultural movements and the thoughts of Choi Ikhyun provided a background for Jeju Army Movement and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are the new tradition
of Jeju educa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in Chosun dynasty. The last period in Chosun dynasty, from the first year in Kwang Mu(1897) to the third year in Yung Hee(1910), is the turning point of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This indicated the time from the first enlightenment in 1878 to the pillage national rights by Japan in 1910. The reformist activists(Gaehwapa) actively participated to advance Western ideas and sciences in Korea. The goal of the reform movement was to develop the
modern education. This period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change the ole education system into the modern one by exiling the reformist activists into Jeju island. Women education can be started for the first time in no other than Jeju with Park Yeong-hyo, a enlightenment activist.
Jeju education and the exiles' educational activities ar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during Chosun dynasty. It is 'The Education of Exile in Jeju island' that takes an important part in Jeju education. Through this, the educational ideologies came into wide use, were taught and were discussed and then they made the educational tradition, which can emerge the special historical style of Jeju education.
Author(s)
강동호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355
Alternative Author(s)
Kang, Dong H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양진건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4
Ⅱ. 유배교육의 개념과 시대구분 6
1. 개념6
2. 시대구분8
Ⅲ.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 12
1. 조선전기 12
1) 조선전기 제주교육의 특징12
2) 조선전기 제주유배인 현황 및 특징 15
3) 조선전기 제주유배교육 19
4) 조선전기 제주유배교육의 의미 24
2. 조선중기 27
1) 조선중기 제주교육의 특징 27
2) 조선중기 제주유배인 현황 및 특징 29
3) 조선중기 제주유배교육 34
4) 조선중기 제주유배교육의 의미 43
3. 조선후기 45
1) 조선후기 제주교육의 특징 45
2) 조선후기 제주유배인 현황 및 특징 48
3) 조선후기 제주유배교육 56
4) 조선후기 제주유배교육의 의미 61
4. 조선말기 63
1) 조선말기 제주교육의 특징 63
2) 조선말기 제주유배인 현황 및 특징 65
3) 조선말기 제주유배교육67
4) 조선말기 제주유배교육의 의미 70
Ⅳ.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의 의미 71
Ⅴ. 결론 및 제언 ·76
1. 결론 76
2. 제언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동호. (2013). 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