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상, 외상성 사건, 외상후 스트레스, 대처양식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1.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 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문제중심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1-2.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 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서중심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1-3.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 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기능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1-4.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문제중심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1-5.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서중심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1-6.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기능적 대처양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제주지역 경찰관서 4개소에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97명의 사례를 사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성원(2007)이 Thomas-Riddle(1999)의 직무사건 목록을 경찰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직무사건 목록(Lisd of Work Events)을 이옥정(2010)이 한국 경찰관 실정에 맞게 1개의 문항을 가감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의 하위항목으로 경험한 외상성 사건 수와 경험한 외상성 사건의 충격이라는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총 2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IES-R-K)을 사용하였다. 이는 1979년 Horowitz가 개발한 사건충격척도(Impact of Event Scale, IES)를 1997년 Weiss와 Marmar에 의해 수정판 IES-R이 개발하고, 우리나라에서 은헌정 외(2005)가 번안하고 수정한 것이다. 이 측정도구는 과각성, 회피, 침습이라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1차적 증상을 하위요인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총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스 대처양식은 주성아(2009)가 번안한 Carver(1997)의 The Brief COPE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 도구는 문제중심적 대처양식, 정서중심적 대처양식, 역기능적 대처양식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SPSS for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통계적 유의미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 4단계를 거쳐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경험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둘째, 정서중심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경험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역기능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경험수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넷째, 문제중심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정서중심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역기능적 대처양식은 외상성 사건 충격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제주 지역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외상성 사건 경험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발현 사이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 제주지역 경찰관들이 외상후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on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with traumatic case experience. For this, theory on trauma, traumatic case and post trauma stress management format was studied and following research issues and hypothesis were set up.
Issue 1. Stress management format will play a role as mediation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for the traumatic cas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Based on issue above selected hypothesis are as follows.
Hypothesis 1-1.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number of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s, problem focused management form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Hypothesis 1-2.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number of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s, emotional focused management form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Hypothesis 1-3.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number of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s, dysfunctional management format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Hypothesis 1-4.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degree of impact on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 problem focused management format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Hypothesis 1-5.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degree of impact on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 emotional focused management format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Hypothesis 1-6. For the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due to degree of impact on traumatic case of police officer, dysfunctional management format will play a role of mediation.
In order to verify research issue and hypothesis, police officers from 4 police stations in Jeju a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self report type survey and used and analyzed cases on total of 297 police officer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e research was List of Work Events by Thomas-Riddle(1999) which was duty case lis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hin Sung Won (2007) to suit the police circumstances and rearranged by Lee Ok Jung to be more suited for Korean police officers' state by adjusting a question. As for the sub category of measurement tool are differentiated by the sides of quantity and quality on number of traumatic cases and impact of traumatic case experienced with total of 23 questions.
To measur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Korean version of case impact scale revised version (IES-R-K) was used. Impact of Event Scale, IES was developed by Horowitz in 1979 and revised version IES-R was developed by Weiss and Marmar in 1997 and in Korea, Eun Hun Jung and others (2005) translated and adjusted. The measurement tool includes sub factor for hyperarousal, avoid and invasive otherwise known as primary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mposed with total of 22 questions.
For stress management format, Carver's The Brief Cope scale (1997) was used which was translated by Ju Sung Ah(2009). The measurement tool includes sub-factors such as problem focused management format, emotional focused management format and dysfunctional management format and has total of 28 questions.
Data processing analysis of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was set at .05 and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1,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going through Baron & Kenny's regression analysis in 4 phases and Sobel Test was done to verify significance level on mediation effect.
Following are the result summarization by hypothesis which was set by the research.
First, for problem-focused management format, number of traumatic case experienc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econd, for emotional-focused management format, number of traumatic case experienc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ird, for dysfunctional management format, number of traumatic case experienc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Fourth, for problem-focused management format, level of impact on traumatic cas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Fifth, for emotional-focused management format, level of impact on traumatic cas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ixth, for dysfunctional management format, level of impact on traumatic case played a role of mediation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search examined mediation effect of stress management format for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after traumatic cas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in Jeju region. Through the research by confirming the manifestation rout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after traumatic case experience, assisted in setting up of appropriat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ultimately help police officers to break free from post traumatic stress and establish positive and dynamic work environment.
Author(s)
양경미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373
Alternative Author(s)
Yang, Gyoung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외상성 사건 5
1) 외상 5
2) 외상성 사건 6
3)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7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9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개념 9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진단 9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주요 증상 11
4) 외상성 사건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의 관계14
5)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15
3. 대처양식 16
1) 대처양식의 개념 16
2) 대처양식의 매개역할 18
4. 선행연구 고찰 20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절차 21
3. 연구도구 22
4. 자료처리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7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7
2. 주요 변수의 특성 30
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4
4. 외상성 사건 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36
5. 가설검증 38
Ⅴ. 논의 52
Ⅵ. 결론 및 제언 55
1. 결론 55
2. 제언 56
참고문헌 57
Abstract 61
부 록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경미. (2013).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