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음악교과 학습지도의 연구방안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음악교육은 창의성 발달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음악을 수단으로 한 심미적 체험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과거의 음악교육은 음악적 지식과 가창기능을 중심으로 또한 음악적 기술을 강조하는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1970년대 이후 미국 음악교육의 영향이 점차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하며 1990년 이후에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수업이 아닌, 학생 스스로가 자기에게 의미 있는 것을 찾고 경험하는 수업으로 바뀌어 가면서 교사들은 음악 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여러 다양한 이론과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음악과 동작을 연결하여 학생들의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경험을 통한 수업이 음악 이해력,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또한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안의 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음악에 대하여 떠오르는 자신의 느낌들을 움직임과 즉흥연주로 표현해 보는 경험을 하였다.
달크로즈는 인간의 신체를 통하여 인간의 모든 감정은 표현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 연주 세 교수법이 서로 연계되어 한 가지 방법에 치중되지 않은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처음 접하는 이 수업에 대하여 첫 시간에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움직임 자체를 힘들어 하였고 발로 박을 걷고 손으로 리듬을 표현할 때는 손과 발이 따로 움직이지 않아 힘들다고 하였다. 또한 음의 높낮이를 확실히 구별하지 못 하였고, 즉흥연주를 할 때 악기로나 몸으로 표현하는 것 자체를 힘들어 하였다. 그러나 1차시보다는 2차시에서, 2차시보다는 3차시에 자신들 만의 몸짓 언어로 음의 높낮이를 구별하였고, 즉흥연주를 통해 소리를 몸짓으로, 몸짓을 소리로 표현하는 활동들을 통하여 감정들을 표출하며 점차 움직임이 자연스러워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즐거워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에릭슨(Erik H. Erikson)은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중 자아정체감 확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고, 체험 또한 중요하다고 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독창적인 표현과 지식의 역할을 불러 일으켜 주어야 한다. 좌뇌를 많이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우뇌를 자극해주는 학습 또한 필요하다. 그 나이 때 누릴 수 있는 감성적 경험들을 음악 시간에 활동적인 수업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타 교과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게 운영되는 고등학교 음악시간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지도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달크로즈 수업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어 적절히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Music education direc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t aims at aesthetical experience through music.
In the past, the music education was mainly about musical skill such as musical knowledge and vocalism. Since 1970, it has started to be affected by American-style music education gradually and then after 1990, the education method trend has been changed from one-way teaching to participatory class that students find things meaningful for themselves and experience them.
Accordingly, teacher have researched on music education methods and have applied various theories and model cases into actual classes.
This study has investigate how experimental class that is expressed by connecting music and motion affects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ressiveness of music. Also, it suggests a class plan by developing class
model from the teaching method of Dalcroze. Students have experienced to express their feelings of music by improvisation and motion through this class.
Dalcroze believed every feeling of human beings can be expressed by human body, and the class was carried out by the teaching methods: eurhythmics, solfege, improvisation that ar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re well-balanced, not focused too much on one method. At first, most students had a difficult time in making motion and they confessed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express rhythm by using their hands and feet as those did not move separately. In addition, they could not distinguish high and low of sound and had difficulties in expressing with instruments or their bodies when improvising.
As the class was repeated, they started to distinguish high and low of sound and to express their feelings by their motions and sounds better. Their motions gradually became natural by performing the activities turning sound into motion and vice versa though improvisation. They also starte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enjoy the class.
Erik H. Eriks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identify while achieving developmental tasks during adolescence. Also, he put value on experience. Teachers should give students inspiration for creative expression and the roles of knowledge. The students who use left brain more often requires the class that stimulates right brain. It is believed the emotional experiences that can be enjoyed at their age should be provided actively through active music education.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music class should be developed as the music class is absolutely less operated compared to other classes. The levels of difficulty should be adjusted to suit the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experience in the teaching method of Dalcroze. An applicable and detailed method of teaching should be research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in stages.
Author(s)
손주희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395
Alternative Author(s)
Son, Ju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허대식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3
1) 연구 방법 3
2) 연구의 제한점 4
Ⅱ. 본론 5
1. 달크로즈의 생애와 교육철학 5
1) 달크로즈의 생애 5
2) 달크로즈의 교육철학 7
2. 달크로즈 교수법 10
1) 유리드믹스 11
2) 솔페즈 18
3) 즉흥 연주 20
Ⅲ. 달크로즈 교수법을 적용한 학습지도안 22
1. 학습지도안 내용 22
1) 도입 24
2) 전개 25
(1) 유리드믹스 25
(2) 솔페즈 27
(3) 즉흥 연주 27
3) 정리 28
2. 실제 학습지도안 29
1) 1차시 학습지도안 29
2) 2차시 학습지도안 33
3) 3차시 학습지도안 38
4) 4차시 평가 44
Ⅳ. 결론 48
52
58
60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손주희. (2013).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음악교과 학습지도의 연구방안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