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및 유형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화산성 암설구는 화산체의 불안정한 측면이 마그마의 관입이나 지진 등에 의해 붕괴되어 지표로 이동하면서 형성된 수 개~수백 개의 반구형의 퇴적지형으로 주변 지역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력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분석구를 대상으로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지와 각각의 특징을 밝히고 형성 프로세서를 고찰하여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지역은 화산성 암설구가 발달한 분석구 일대로,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총 295개의 분석구, 분석구?응회구, 분석구?용암돔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구, 분석구 전면에 발달한 화산성 암설사태층, 화산성 암설구를 조사하여 각각의 화산성 암설구 지역별 지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도에는 분석구 286개, 분석구?응회구 8개, 분석구?용암돔 1개 총 295개로 동부지역 175개, 서부지역 120개가 분포하고 있으며, 화산성 암설구는 가세오름, 과오름, 검은오름, 동검은이오름, 당오름, 돌오름, 둔지오름, 따라비, 모지오름, 물오름, 민오름, 부대오름, 송악산, 용눈이오름, 원당봉, 좌보미, 지미봉, 체오름 총 18개 지역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산성 암설구는 한라산을 기준하여 동부 14개 지역, 서부 4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동부지역의 구좌읍, 표선면 일대의 해발 200m~400m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산성 암설구의 집중적인 분포는 북촌-표선 라인을 이루는 단층선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분석구와 화산성 암설구의 구조적 관계가 뚜렷한 화산성 암설구는 가세오름, 검은오름, 당오름, 돌오름, 동검은이오름, 둔지오름, 따라비, 모지오름, 물오름, 민오름, 부대오름, 송악산, 좌보미, 체오름 일대로 총 14개 지역이며, 구조적 관계가 약한 화산성 암설구는 과오름, 용눈이오름, 원당봉, 지미봉 일대로 총 4개 지역으로 사료된다. 구조적 관계가 뚜렷한 화산성 암설구 14개 지역을 형성 프로세스에 따라 'scoria raft형(SR형)', 'volcanic debris avalanche형(VDA형)'으로 분류하였다. SR형 화산성 암설구는 검은오름, 돌오름, 부대오름, 체오름으로 총 4개 지역(약28.6%)이며, VDA형 화산성 암설구는 가세오름, 동검은이오름, 당오름, 둔지오름, 따라비, 모지오름, 물오름, 민오름, 송악산, 좌보미 암설구로 총 10개 지역(약
71.4%)으로 사료된다. 제주도의 화산성 암설구 형성에는 산체를 불안정화시키는 마그마의 관입이나 지진 등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추측된다. SR형은 용암지대 위에 일자형으로 분포하며 특히 암설사태층의 말단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평균 이동 거리는 약 1.9km이다. VDA형은 방사형으로 발달하는 경향이 강하며 암설사태층 전 지역에 분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평균 이동거리는 약 1.2km이다. SR형과 VDA형의 분포 양상과 이동 거리는 용암류(lava flow)의 유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논문은 조사방법과 내용에 있어서 제주도에 분포하는 화산성 암설구를 연구한 결과로, 분포지역과 각 지역의 특징을 도출해내고 형성 프로세스별로 유형화를 함으로서 그 의미가 있고, 향후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uthor(s)
강승일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396
Alternative Author(s)
Kang, SeungI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김태호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동향 2
3. 연구 방법 4
II. 연구지역 개관 7
1. 제주도의 지형 및 지질7
2. 제주도의 화산 활동8
3. 제주도의 기후9
III.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 10
1.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10
1)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선정 기준 10
2)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11
3)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특징 34
2.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 유형 37
1)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유형 기준 37
2) scoria raft형 (SR형) 37
3) volcanic debris avalanche형 (VDA형) 43
4)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 유형 특징49
IV.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3
Abstract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승일. (2013). 제주도 화산성 암설구의 분포 및 유형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