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운동선수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500명의 운동선수가 질문지를 완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중 기입, 무 기입 자료 등은 분석에서 제외시켰고 분석 가능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성과 학교급간 및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변인들의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남학생 집단과 중학생 집단 및 자율성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이 자아탄력성의 수준이 더 높았고, 여학생 집단과 고등학생 집단 및 자율성 지지 수준이 낮은 집단이 스트레스와 탈진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부(-)의 직접 영향을 미쳤고, 탈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은 탈진에 부(-)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탈진에 정(+)의 유의한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운동선수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율성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만이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athletes' stress and burnout. Subjects were 465(350 males, 115 females)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The SPSS 18.0 was used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Male athletes, middle school and high autonomy support group had a higher ego-resilience, while female athletes, high school, and low autonomy support group had a higher stress and burnout.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tress influenced positively ego-resilience and Ego-resilience influenced negatively burnout. Also,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burnout. In addition, These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ego-resilience was stronger in high autonomy support than low autonomy support context. These findings showed that ego-resilience are important factors to reduce adolescent athletes' burnout symptoms.
Author(s)
고진수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400
Alternative Author(s)
Ko, Jin S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김덕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모형 6
4. 연구의 가설 6
5.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자율성 지지 8
2. 스트레스 11
1) 운동스트레스 11
2) 운동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12
3. 자아탄력성 14
1) 자아탄력성의 정의 14
2) 자아탄력적인 학생의 특성 15
3) 스포츠 참여와 자아탄력성 16
4. 탈진 17
1) 탈진의 개념 17
2) 탈진에 관한 선행연구 18
5. 선행연구 고찰 20
1)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20
2) 자아탄력성과 탈진의 관계 21
3)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 23
4)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25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27
3. 연구절차 32
4. 자료분석 및 처리 32
Ⅳ. 연구결과 34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34
1)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34
2) 학교급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35
2.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36
3.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37
1)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 37
2)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37
(1)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전체 집단) 38
(2)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고 집단) 40
(3)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저 집단) 41
V. 논의 43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43
1)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43
2) 학교급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44
2. 자율성 지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차이 45
3.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46
Ⅵ. 결론 및 제언 52
1. 결론 52
2. 제언 53
참고 문헌 55
Abstract 71
부록 : 연구의 설문지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진수. (2013). 자율성 지지 맥락에서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탈진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