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여자 100m 허들에서 도약거리에 따른 제1허들넘기 기술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여자 100m 허들에서 도약거리(0%, -7, +7)에 따른 제1허들 넘기의 기술 동작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고 대상자는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실업선수 2명과 꿈나무 대표경험이 있는 대학선수 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한 운동학적 변인들로는 각 국면별 평균 소요시간, 신체중심위치변화(X, Y, Z), 신체중심속도변화(Y), 하지분절의 각 변위, 동체의 전후경각으로 허들 넘기 기술의 공통된 기술적 특징과 차이검증을 위해 SPSS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약거리 간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5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각 국면별 시간변인
제1허들 넘기의 총소요시간은 도약거리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p>.05), -7%도약거리가 소요시간을 가장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2허들까지의 소요시간은 0%도약거리가 소요시간을 더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국면별 선운동 변인
1) 신체중심위치의 좌우변화량은 도약거리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05), +7%도약거리가 DTO, DF-1 국면에서 가장 적은 좌우움직임을 나타냈고, 신체 중심위치의 수직변화는 -7%도약거리가 RF-TO 동작 시 가장 높게 발 구름 하는 형태를 보였다.
2) 신체중심위치의 수직변화량은 DTO 국면에서 -7%도약거리가 더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고, 전후변화량은 +7%도약거리가 DTO 국면에서 신체중심의 전방이동거리가 가장 길게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신체중심의 전후속도 변화는 RF-TD 동작에서 +7%도약거리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 (p<.05), 이후 HCM 동작은 0%도약거리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각 국면별 각운동 변인
1) 하지분절의 각 변위
오른쪽 힙관절의 각도변화는 RF-TO 동작 시 0%, +7%도약거리가 -7%도약거리보다 더 신전된 형태를 보였고, 이후 LF-TD 동작 시 더 굴곡된 형태를 보였다. 오른쪽 무릎의 각도변화는 발 구름 이지 RF-TO 동작 시 0%, +7%도약거리가 -7%도약거리보다 더 신전하여 동작을 수행하였고, LF-TD 동작은 0%가 가장 굴곡된 자세를 나타냈다.
2) 동체의 전후경각
동체의 전후경각은 0%도약거리가 발 구름 이지 RF-TO 동작 시 가장 전경각 자세를 유지하였고, 착지 LF-TD 동작 시에는 0%도약거리가 가장 신전된 자세로 착지하는 형태를 보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irst hurdle skill according to distances of take-off(0%, -7%, +7%) in 100m hurdle of women'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total 3 athletes of semipro(national representative career, n=2) and of university(junior national representative career, n=1). Analyzed kinemat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the elapsed mean time, displacement(X, Y, Z axis) of COG, velocity(Y axis) of COG, angular displacement of lower leg(hip, knee), ante-posterior leaning angle of trunk according to take-off distances(height %) by phases. SPSS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carry ou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a=.05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emporal variable
Total elapsed time was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3 kinds of distances of take-off during First hurdle clearance(p>.05), but showed the shortest
elapsed time during the 2 huddle and rather shorter elapsed time at the 0% distance of take-off.
2. Linear motion variables by Each Phases and Events
1) COG displacement in X-axis according to distances of take-off did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5), but the case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showed
the shortest displacement during DTO and DF-1 phases, and Z-axis in case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showed the highest take-off style.
2) COG displacement in Z-axis showed more increasing pattern in the case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during DTO,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of DTO showed longest displacement(Y-axis) in the case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5) and then COG velocity(Y-axis) during
RF-TD phase showed the fastest(P<.05) and after that, showed faster in the 0% distance of take-off during HCM phase. 3. Angular motion variables
1) The Angular displacement of lower leg(hip, knee)
Angular displacement of right-hip showed more extended pattern in the 0% & +7% distance of take-off than that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during RF-TO phase, after that, more flexed pattern during LF-TD phase. Angular displacement of right-knee showed more extended pattern in the 0% & +7% distance of take-off than that of the -7 distance of take-off during RF-TO phase, after that, more flexed pattern during LF-TD phase.
2) Titled angle of anterior-posterior of trunk
Angular displacement of anterior-posterior tilting of trunk showed the most stable in the case of the 0% distance of take-off and the most extended posture in the case of the 0% distance of take-off during LF-TD phase.
Author(s)
황윤미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403
Alternative Author(s)
Hwang, Yun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류재청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문제 4
4. 연구의 가설 5
5. 연구의 제한점 5
6. 용어의 정리 6
Ⅱ. 이론적 배경 7
1. 허들의 이해 7
2. 허들링(Hurdling)의 기술 8
1) 도약(Take off) 동작 8
2) 비행(Flight) 동작 9
3) 착지(Landing) 동작 9
3. 선행연구의 고찰 10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12
2. 실험도구 13
1) 영상 촬영 장비 13
2) 영상 분석 장비 13
3. 실험절차 14
4. 인체 관절점의 좌표화 및 자료 분석 절차 15
1) 인체 관절점의 좌표화 15
2) 3차원좌표의 계산 16
3) 변인 산출 17
5. 이벤트 및 분석 국면 19
6. 자료처리 20
Ⅳ. 연구결과 21
1. 각 국면별 시간변인 21
1) 제1허들 넘기 동작의 시간변인 21
2) 구간별 시간변인 23
2. 선운동 변인 24
1) 각 국면별 신체중심위치의 좌우변화량(X) 24
2) 각 이벤트 별 신체중심위치의 수직변화(Z) 26
3) 각 국면별 신체중심위치의 수직변화량(Z) 28
4) 각 국면별 신체중심위치의 전후변화량(Y) 30
5) 각 이벤트별 신체중심속도의 전후변화(Y) 32
3. 각운동 변인 34
1) 각 이벤트별 오른쪽 힙 관절의 각 변인(deg) 34
2) 각 이벤트별 오른쪽 무릎 관절의 각 변인(deg) 36
3) 각 이벤트별 동체의 전후경각(deg) 38
Ⅵ. 논의 40
Ⅴ. 결론 46
Ⅳ. 제언 48
참고문헌 4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황윤미. (2013). 여자 100m 허들에서 도약거리에 따른 제1허들넘기 기술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