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불안이 나타나는 시기로 추정되는 10대 초반의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기질적인 측면인 행동억제기질과 사회환경적 측면인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질적으로 행동억제성향이 높아 사회불안에 대해 취약성을 지니거나 또래애착 형성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에게 나타나는 사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주지역 3개 초등학교 394명(남아 207명, 여아 18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자기보고식 회고적 행동억제척도(K-RSRI), 또래애착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 사회불안간의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행동억제기질, 또래애착, 사회불안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또래애착 수준이 행동억제기질 및 사회불안 수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 사회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아동의 행동억제기질은 사회불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과 사회불안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도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과 사회불안의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행동억제기질이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높아지고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사회불안이 낮아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억제기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회피, 수줍음, 단순공포는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신뢰감과 의사소통, 소외감은 사회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의 하위변인이 사회불안의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수행불안에는 행동억제기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회피와 수줍음이 정적인 영향을,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과 소외감은 부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는 행동억제기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회피, 수줍음, 단순공포, 분리불안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소외감이 부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회피행동 및 사고에는 행동억제기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회피와 수줍음, 단순공포가 정적인 영향을 보이며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과 소외감은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에 대해서는 사회적 회피와 신체화, 단순공포가 정적 영향을 미치며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과 소외감은 부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의 하위변인 중 비주장성에는 행동억제기질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회피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과 소외감은 부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주지역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 사회불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세 변인 간에 서로 상관관계를 보이고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불안이 아동의 행동억제성향의 기질적 취약성에도 영향을 받지만 사회환경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사회불안이 예측되거나 이미 사회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에게 대한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아동의 사회불안을 감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social anxiety in term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social environment, targeting 5th grade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subject to the early period of teenagers, which is estimated to be a time when social anxiety emer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hildren who are vulnerable to social anxiety due to the high inclination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or have difficulty in establishing peer attachment with basic data,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social anxiety and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used measurement tools of the Korean Version of Retrospective Self-Report of Inhibition (K-RSRI), peer attachment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targeting 394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207, female: 187) in three elementary schools of Jeju. As an analysis metho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peer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hi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peer attachment on social anxiety.
The summariz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peer attachment, and the general tendencies of society anxiety reveal that peer attachment level appear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social anxiety level but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peer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demonstrate that the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The sub-variable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while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and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That is, as a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was higher, social anxiety increased, while as peer attachment was lower, social anxiety was reduced.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children's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peer attachment on social anxiety demonstrate that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pe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nxiety. Among the sub-variable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social avoidance, shyness, simple fear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while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trust and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n effect on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In terms of performance anxiety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and shyness among sub-variable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and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In terms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shyness, simple fear, and separation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hile alien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erms of the avoidance behaviors and thinking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shyness, simple fear among the sub-variable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s and thinking, while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s and thinking.
In terms of the fear of unfamiliar things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and somatization, and simple fear had an effect on the fear of unfamiliar things, while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ear of unfamiliar things.
In terms of non-assertive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anxiety, social avoida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non-assertiveness, while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pe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non-assertiven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peer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argeting 5th grade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reveal that these three variables were correlated and children's behavior inhibition temperament and peer attachment would have an effect on social anxiety. This reveals that social anxiety can receive an effect of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he temperament vulnerability of children's inhibition inclination. Therefore, if the social anxiety of children is predicted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for children who suffer from social anxiety are created and applie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social anxiety.
Author(s)
김진아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418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양순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행동억제기질 6
2. 또래애착 7
3. 사회불안 9
4.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 사회불안의 관계 11
Ⅲ. 연구방법 14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4
2. 측정도구 14
3. 자료분석방법 18
Ⅳ. 결과 1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2. 행동억제기술, 또래애착, 사회불안의 일반적 경향 21
3. 행동억제기질, 또래애착, 사회불안 간의 상관관계 23
4.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26
Ⅴ. 결론 및 제언 29
1. 결론 29
2. 제한점 및 제언 31
참 고 문 헌 32
Abstract
부 록 4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진아. (2013).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또래애착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