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제주 지역에 소재한 3개 중학교 2, 3학년 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재구성한 자기통제력 척도를 이계원(200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성별, 학년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파악해 보는 것이었다. 중학생이 스마트폰을 사용한 기간에서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스마트폰을 구입하게 된 동기의 1순위는 '주변의 친구들이 소유 하고 있기 때문에'가 높게 나타났고 2순위는 '친한 친구와 항상 대화 하고 싶어'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스마트폰 하루 평균 통화시간은 '30분 이하', 메신저 이용횟수 '20회 이하, 주로 통화하는 상대는 '동성친구'와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스마트폰 사용요금은 '3만원 이상 4만원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료에 대한 납부는 '부모님 납부'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중학생의 체납경험도 대부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학생이 스마트폰의 다양한 서비스 중 주로 사용하는 기능은 '문자 메시지, 채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는 '인터넷 검색', 3순위는 'MP3' 순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학생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긍정적 측면은 '어디서든 연락이 가능'하다가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측면은 '학업상의 문제'가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연구대상자의 1.6%가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에 포함되었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스마트폰은 놀이공간이며 생활공간이고 그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관계도 형성한다. 하지만 때때로 스마트폰에 의존하게 되고 지나친 사용으로 일상생활의 균형이 무너지는 중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 중 장기적 만족추구 경향은 스마트폰 중독성향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즉각적 만족추구경향은 스마트폰 중독성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장기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낮아지게 되고 즉각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청소년기에 매우 중요한 심리적 발달 특성 중의 하나인 자기통제력의 형성 및 발달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섯째, 중학생의 성별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 중 장기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은 스마트폰 중독성향을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즉각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은 스마트폰 중독성향을 정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자기통제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빠지기 쉽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학생이 장기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면 스마트폰 중독성향은 낮아지나 반대로 즉각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면 스마트폰 중독성향도 높아진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이, 그리고 욕구를 지연하기 보다는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등 자기통제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evaluated 378 students of second and third-year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Jeju region.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18.0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nalysis on the frequency in using smartphone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trend in its usag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tion based on the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one's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self-control of different gender can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s, multiple regression study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duration of smartphone use was found to be 'over one year and up to two years'. The 'influence of friends in possession of smartphones' was revealed to be the strongest motivation in purchasing smartphones and 'wanting to talk to close friends at any time' came in as the second motivation. On average, the daily time spent on smartphones was found to be below 30 minutes for voice calls, and below 20 times for text messages. The most common person at the other end of the line when talking on the phone revealed to be 'a friend of the same gender'. The average monthly charge for the smartphone usage ranged from over 30,000 won to below 40,000won, and the bills were mostly paid by the parents of these middle school smartphone users. When using a smartphone, 'sending text messages and chatting'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used function followed by 'using a search engine', and 'listening to MP3s'. When identifying the pros and cons in using smartphones, 'the ability to reach someone regardless of where you are'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advantage and disadvantage was 'becoming an obstruction in academic achievements'.
Secondary analysis to identify the common tendency of smartphone addi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revealed that 1.6% of the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to be in high risk group.
Thirdly, the result showed that male students have stronger tendency in both elements.
Forth,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self-control, stronger tendency in long-term satisfaction lead to lower risks in smartphone addiction while stronger tendency in instant satisfaction lead to higher risks in smartphone addiction.
Fifth, the study revealed tha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Also, stronger tendency in long-term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lower risks in smartphone addiction while stronger tendency in instant satisfaction lead to higher risks in smartphone addiction. This means that gender and self-control can effe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with lower self-control have stronger tendency towards smartphone addiction. This indicates that adolescents who has higher tendency to seek for instant satisfaction rather than delaying one's need for greater pleasure in the future, are easier t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s. As there is rapid growth in the use of internet based smartphones, identifying the problem that can induce smartphone addictions and devising plans to handle or even to prevent such probl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our top priority.
Author(s)
박정아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420
Alternative Author(s)
Park, Jung Ah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양순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자기통제력 4
2. 스마트폰 중독 6
3. 중독과 자기통제력의 관계 12
Ⅲ. 연구방법 14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4
2. 측정도구 15
3. 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9
1.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19
2.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일반적 경향 26
3.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차이 27
1)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 27
2)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차이 28
4.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성향의 상관관계분석 29
5. 성별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31
Ⅴ. 결론 및 제언 33
1. 결론 33
2. 제한점 및 제언 37
참 고 문 헌 38
Abstract
부 록 4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정아.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