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오방색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색채는 예술적 사고의 관점에서 작가의 내면세계를 나타내는 결정체이다. 예술을 포함한 사회적, 문화적 상황은 과거와는 달리 더 역동적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다양한 색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화단 또한 색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전통색을 수용하고 계승하면서 현대적인 색채감각을 드러내는 작품을 선보이는 작가들이 늘고 있다.
우리 민족은 자연에 대한 경외심에서 나온 샤머니즘적 색채관과, 음양오행 사상의 영향을 받은 오방색 중심의 색채관을 전통적 색의 감각으로 정립하였다. 특히 오방색은 우리 전통 회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중에서도 고구려의 고분벽화, 고려의 불화, 조선의 민화 등은 독특한 풍토와 민족성을 보여주면서 우리 민족만의 독자적인 색채의 아름다움으로 색채에 대한 감각과 상상력을 발달시켜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에 따른 오방색을 활용한 전통 회화 중에서 오방색의 상징적 의미가 잘 나타나 있는 고분 벽화, 불화, 민화를 분석하였다.
고분 벽화 초기에는 주인공의 초상과 생활 모습을 어두운 색조로 표현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도교적인 내용이 포함되면서 색채가 다양해지고 독특한 미감의 경향을 보인다. 불화에서는 정교한 구성과 섬세한 채색기법, 화려한 색채의 면모를 보인다. 그리고 민화는 강렬한 진채로 그렸으며, 일반 서민들을 위주로 그림으로서 장식적인 기능의 조형 세계를 보인다.
또한 우리 민족의 전통 회화 속의 오방색을 현대적 색채의식과 연결하여 자신만의 창의성으로 표현한 대표적 한국화가인 박생광, 김기창, 박노수 등의 작품 분석을 통하여 현대 회화에 녹아있는 오방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들 작가들의 정신은 민족적 정서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작업에 있어서의 방법론과 소재는 다분히 현대적이다.
박생광의 작품은 우리 민족 전통 회화의 색채 미감과 소재를 차용하여 독특한 구성력과 원색의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가 특징이며, 김기창은 민화에서 비롯된 소재들로 자유분방한 선과 강한 원색의 보색대비를 사용하여 민화가 가지고 있는 해학성과 서민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박노수는 문인화의 정신과 현대적 감성으로 작품세계를 이루면서 짙은 남청 색조와 노랑의 강한 색채 대비 효과를 보이며, 색채를 단순화함으로써 동양적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방색은 대상을 표현하기 위한 단순한 수단을 뛰어 넘어 색채에 대한 재해석과 구성력으로, 우리 정서를 포함하는 현대적이고 독특한 아름다운 회화의 세계를 개척해 나가고 있다.
또한 오방색은 전통의 수용과 함께 색채의 자율성 회복이라는 면에서, 한국화단에 진정한 '우리 색채'의 가치를 일깨워 주고 있다. 나아가 우리의 귀중한 자산이며 이를 계승하고 발전시켜야하는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In a modern society, color is a critical factor which represents an artist' inner world from the artistic perspective. Unlike the past,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cluding art have become more dynamic.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how to use diverse colors. Under these circumstances, more artists have come up with paintings with modern colors by accepting and inhering traditional colors with
more interest in Korean painting and color. Korean people have established shamanistic color views on nature and traditional color focusing on theory of eumyangohaeng (yin?yang & five elements)?based obangsaek ('five directional colors'). In particular, obangsaek had a direct effect o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Among them, ancient tomb mural paintings of Goguryeo,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and folk paintings of Joseon have revealed unique have revealed unique natural features and racial traits and developed the beauty and imag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 This study has analyzed ancient tomb mural paintings, Buddhist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which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obangsaek very well among obangsaek?based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n the early stage of ancient mural painting, a character's portrait and lifestyle were painted in a dark color. With
the passage of time, however, diverse colors were used with a unique esthetic sense, covering the concepts of Taoism. In Buddhist painting, delicate composition and coloration and loud colors are observed. In folk paintings, deep colors were used, showing the formative world of ornamental functions.
In addition, the meaning of obangsaek in modern painting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n the works of leading Korean painters (ex: Park Saeng?gwang, Kim Gi?chang, Park Noh?soo, etc.) who have expressed obangsaek based on their own creativity using modern color awareness. Even though they painted paintings based on national emotion, the methodology and materials of their paintings are relatively modern. For example, Park Saeng?gwang used loud colors and revealed unique composition based on the aesthetic sense and color material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n the contrary, Kim Gi?chang expressed humor and commoners lifestyles using liberal lines and complementary contrast based on the materials from folk paintings. Park Noh?soo painted with the spirit of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nd
modern emotions and expressed oriental sentiment by simplifying colors through strong contrast effects between dark indigo blue and yellow. As stated above, obangsaek has developed a modern and unique world of
painting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composition of color as a means of expressing an object. In addition, it has made people realize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olor' in terms of recovery of color autonomy.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inherit and develop it into our previous value.
Author(s)
이숙희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431
Alternative Author(s)
Lee, Suk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곽정명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2
Ⅱ. 오방색의 의미 3
1. 오방색의 개념 3
2. 오방색의 상징성 6
Ⅲ. 전통 회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전개 16
1. 고구려 고분 벽화 16
2. 불화 21
3. 민화 25
Ⅳ.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전개 31
1. 박생광 31
2. 김기창 37
3. 박노수 41
Ⅴ. 결론 46
참고문헌 48
5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숙희. (2013). 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오방색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