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설화를 활용한 초등 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초등학교 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적 국어 능력 향상'이다. 이러한 국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 시행 후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해 교과서를 영역 별로 분책하여 가르쳐 왔으나 여러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통합적인 국어교육에 강조점을 두어, 학습자가 언어 상황에서 실제 사용하게 되는 다양한 담화와 글의 종류와 수준을 정해 주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방법의 교수·학습 계획에서 통합 지도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통합 지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언어의 통합적 성격을 살리고자 노력하나 현재의 분권화된 교과서 체재로 인해 수업상황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영역을 구별하고 있다.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한 언어 지도의 경우,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사용된 언어가 좀 더 높은 수준의 언어라고 볼 수 있으며, 통합적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황을 구성하기가 쉽다. 문학작품 중에서 우리 고장의 정서와 문화를 배울 수 있고,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 영역을 통합할 수 있는 소재인 제주설화를 활용하여 언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학을 즐기는 평생 독자로 자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연구하고 실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우선 국어교육에서의 통합의 이론적 배경을 살핀 후 통합 개념과 유형, 필요성과 지도방법을 밝혔다. 그런 후에 아동문학 중심의 통합의 필요성을 논의한 후 설화의 성격과 기능, 교육적 의의와 제주설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국어과 통합 지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아동문학중심의 통합 원리와 제주설화의 선정기준을 정한 후 3학년의 언어 기능 영역별 성취 기준을 분석하여 서로 연관성이 있어 통합 지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성취기준을 추출한 후 제주설화를 중심으로 통합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통합 단원을 적용한 후 사전, 사후 설문지 비교, 관련 학습지 분석, 면담일지 분석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영역 간 통합 활동을 실시한 후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설화 속 환경과 인물을 새롭게 설정하여 재구성한 자신과 친구들의 이야기에 흥미를 느끼며 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짤막한 서사문학인 설화의 구성이나 뒷이야기 꾸며 쓰기, 연꽃기법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쓰기 활동을 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은 제주설화를 활용한 통합 지도 프로그램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창의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하였으며 내면화된 의미를 독창적으로 표현해냈다.
넷째, 통합 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은 국어에 흥미를 가지게 되고, 설화작품을 읽으면서 쓰기를 하고 쓰기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읽으면서 문학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제주 지역의 설화에 대하여 긍지와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설화의 내용 요소와 교훈 모티브를 바르게 파악하였다. 그리고 우리 지역의 향토성 짙은 설화를 활용하여 통합 지도함으로써 언어 사용 능력뿐만 아니라 우리 제주문화에 대한 이해와 문화를 향유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었다.
The ultimate go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s an 'improvement of creative Korean language ability.' To achieve such goal, the textbook was taught by section to improve language use skill improvement after the 5th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but it caused many problems. To solve such problem,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 integrated education which set level and types of various narratives and writings which learners actually used in language situation. And by suggesting integrated instruction contents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plan specifically, integrated instruction is stressed. As such, although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stress integrated character of language, the current divided textbook system classified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separately.
As for language instruction focusing on juvenile literature, language is higher level attracting interests of students which makes it easier to construct situation for integrated activities. In the literature works, Jeju legends was used to improve language ability and to encourage literature for a life time while learning emotion and culture of our village.
Chapter Ⅱ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llowed by integration concept, type and necessity and instruction method. Then,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focusing on juvenile literature was discussed and characteristics, function and educational meaning of folk tale and features of Jeju folk tale were examined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Ⅲ set integrated principle of juvenile literature and selection criteria of Jeju legends. Then, it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 by section to extract integrated instruction method for efficient standard. And the integrated instruction plan was devised based on Jeju legends.
Chapter Ⅳ applied the integrated unit and got the below results through pre and post questionnaire survey comparison, related home school materials and interview report.
Firstly, after the integrated activities between sections, students reconstructed environments and figures in the legends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value for active incorporation with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students were engaged in re-writing activities with decorating writing and re-writing using lotus method as short narration literate to raise creativity and imagination with various ideas.
Thirdly, students reconstructed meanings of Jeju legends by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tegrated instruction program and expressed internalized meaning uniquely.
Fourthly, students could improve interests in Korean language through integrated instruction, and could improve literary sense and creativity by means of reading and writing legends.
Fifthly,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pride on legends of Jeju and could figure out contents and educational motif of legends properly. And, students could learn an attitude to understand Jeju culture as well as language ability by means of integrated instruction using legends.
Author(s)
김경애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04
Alternative Author(s)
Kim, Gyeong A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Advisor
이주섭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선행연구 고찰 3
3. 연구 방법 및 제한점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국어교육의 통합 필요성 13
2. 아동문학 중심 통합의 의의 30
3. 설화교육의 의의와 제주설화 35
Ⅲ. 제주설화를 활용한 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설계 45
1. 설화 중심 통합 지도의 원리 45
2. 제주설화의 선정기준 51
3. 제주설화를 활용한 통합 지도 방안 설계 54
Ⅳ. 적용 및 결과 분석 72
1. 프로그램의 적용 72
2. 적용 결과 분석 79
Ⅴ. 결론 92
참고 문헌 94
ABSTRACT 99
부 록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애. (2013). 제주설화를 활용한 초등 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