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아동의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와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통제력이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서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를 통해 가정과 학교 내에서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부모 교육이나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애착,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 세 변인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3) 자기통제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4)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가 10-20세 대상을 제작한 부모애착 정도를 수정한 개정본을 옥정(1998)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초등학생의 수준에 수정하여 사용한 윤소영(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경님(2000)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용 자기통제 척도, 김용래(2000)가 제작한 것을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맞게 이점순(2006)이 수정 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의 5, 6학년 37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애착,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통제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 중 사려숙고, 교사관련 통제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려숙고, 교사관련 통제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간 자기통제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자기통제력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아동의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은 학교생활적응과 관계가 있으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애착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교육과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the relationship and predictive effect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 and by clarifying that self-control can act as a mediator factor in relation to child-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t trie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actual school or parents education situations, and study the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t schools and homes.
The subjects for inquiry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Study Problem 1: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 child-parent attachment, self-control , and school adjustment?
Study Problem 2: What is the level of predictive effect of child-parent attachment, has on school adjustment?
Study Problem 3: What is the level of predictive effect of self-control on school adjustment?
Study Problem 4: Does self-control have mediator effect in relation to child-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calculate the level of a child-parent attachment, a tool revised by Soyoung Yoon (2001) to target elementary students, which was made by Ok Jung (1998) by adapt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level of parents attachment Armsden and Greenberg(1987) created targeting 10-20 years olds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Revised version : IPPA-R) was used; and self-control level standard for school children that is created by Kyungnim Lee (2000), and school adjustment standard modified Yongrae Kim's creation (2006) by Jumsoon Lee (2006) to fit elementary students were used.
In order to solve such study problems,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375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A, B elementary schools in Jeju City, and the materi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18.0 program to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of major factors; and in order to test the mediator effect of child-parent attachmen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lative analysis of child-parent attachmen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here wa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 child-parent attachmen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Secondly, child-parent attachment, has a meaningful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it has been found that communication,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child-parent attachment, has a static effect on school adjustment, one can find that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the better a child school adjustment.
Thirdly, self-control has a meaningful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thoughtful consideration and teacher-related control that is a sub-factor of self-control has been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school adjustment , thus, one can find that the higher consideration and teacher-related control is,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becomes.
Fourth, after studying the mediated effect of self-control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ed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hild-parent attachment, not only directly effect school adjustment, but also has indirect effect via impulsiveness which is a parameter.
Based on the results, child-parent attachment, and self-control have a relationship with school adjustment, having an importan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on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ild-parent attachment, and must aim for increasing child-parent attachment, and self-control in developing education, therapies and programs.
Author(s)
김수선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25
Alternative Author(s)
Kim, Su 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가. 학교생활적응 3
나. 부모애착 4
다. 자기통제력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생활적응 5
가. 학교생활적응의 정의 5
나.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6
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
2. 부모애착 9
가. 부모애착의 정의 9
나. 부모애착의 발달 10
다. 부모애착의 이론적 관점 11
라.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13
3. 자기통제력 14
가. 자기통제력의 정의 14
나.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 15
다. 자기통제력의 이론적 관점 17
라.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19
4. 부모애착,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20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3
가. 부모애착 척도 23
나. 자기통제력 척도 24
다. 학교생활적응 척도 25
3. 자료수집 절차 26
4. 자료 분석방법 26
Ⅳ. 연구결과 28
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28
가. 기술통계 28
나. 상관관계 29
2.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1
가.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1
나. 자기통제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2
3.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33
Ⅴ. 논의 및 제언 35
1. 논의 35
2. 제언 37
참고문헌 39
Abstract 46
부 록 4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수선. (2013). 아동의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