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위해 제주지역 중학교 남학생 238명 여학생 240명 총 478명을 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가설에 따라 통계프로그램 SPSS 18.0,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서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여형태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간의 차이는 과제성향에서 스포츠클럽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불규칙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형태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스포츠클럽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불규칙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보다 높은 평균점수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강사만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간의 차이는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에서 스포츠클럽 지도강사의 능력의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지속수행의 차이를 보면 운동지속수행에서는 개인종목보다 단체종목이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간의 상관관계에서 과제성향에서는 자아성향, 자아존중감, 운동지속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성향에서는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수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5. 규칙적으로 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간의 인과관계에서 과제성향, 자아성향은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운동지속수행에 직․ 간접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불규칙으로 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간의 인과관계에서 과제성향, 자아성향은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운동지속수행에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of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club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478 middle school students (238 boys and 240 girls) in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rough the SPSS 18.0 and AMOS 18 programs. From this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As for the participa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type of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clubs, those who attended a sports club regularly mark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those who attended irregularly in terms of task orient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participants' self-esteem, regular attendants in a sports club mark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irregular attendants, and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of the participa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the sports club instructors' ability scored higher in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participants' exercise adherence according to exercise type, individual exercises record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group exercises, and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of the two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among the participa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ego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erms of task orientation while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ego orientation.
5. 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of the regular attendants in sports clubs, their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turned out to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through self-esteem.
6. 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of irregular attendants in sports clubs, the attendants' task orientation and ego orientation turned out to have little indirect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through self-esteem.
Author(s)
문평국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64
Alternative Author(s)
Moon, Pyoung G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이세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 가설 4
4. 연구모형 5
5.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학교스포츠클럽개념 7
2. 스포츠클럽의 역할 10
3. 학교스포츠클럽 추진현황 및 활동 13
4. 성취목표성향 14
5. 자아존중감 16
6. 운동지속수행 18
7. 선행연구 고찰 19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측정도구 22
1) 성취목표성향 22
2) 자아존종감 24
3) 운동지속수행 26
3. 자료분석 및 처리 27
Ⅳ. 연구결과 29
1. 배경변인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간의 차이 29
2.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간의 차이 31
3.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상관관계 33
4.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회귀분석 33
5.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인과관계 35
Ⅴ. 논의 43
1. 배경변인에 따른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차이 43
2.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간의 상관관계 45
3.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간의 인과관계 45
Ⅵ. 결론 및 제언 47
1. 결론 47
2. 제언 48
참고문헌 49
Abstract 56
부록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평국. (201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수행의 관계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