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에 대한 긍정적 방향제시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성공적 노화 차이관계와 성공적 노화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를 병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양적 연구의 대상은 제주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이다. 사용된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성공적 노화, 삶의 만족도, 지역(제주, 서울)이다. 설문자료의 검정에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이
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의 대상은 제주여성노인 12명을 대상으로 '나이듦', '성공적 나이듦'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심층면접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여성노인의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는 자식에게 의존하지 않으려는 강한 독립생활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혼인한 자녀들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끝까지 자녀에게 기대지 않으려는 강한 의지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제주여성노인의 '자기통제'에 대한 인식에서는 60대와 70대, 중졸이상의 학력인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소득이 50만원 이상인 경우 인식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더욱이 제주여성노인의 종교적 믿음이나 활동이 고독이나 고립감을 완화시켜
주고 정서적 안정감을 강화시킴으로써 '자기통제'에 대한 인식을 높게 한다. 제주여성노인의 '자기통제'에 대한 인식이 서울여성노인보다는 낮지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있었다.
셋째, 제주여성노인의 '사회적 활동 및 지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종교활동과 자원 봉사경험이 있는 경우에 그 인식정도가 크다. 특히 심층면접결과, '적극형'인 제주여성노인이 사회적 활동을 통해 삶의 활력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삶의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력은 서울여성노인보다 크다.
넷째, 제주여성노인의 '가족지향'에 대해서는 소득이 50만원 이상인 경우 인식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지향'에 대한 인식은 제주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서울여성노인보다 크다.
다섯째, 제주여성노인의 '자기효능'에 대해서는 종교, 자원봉사경험이 있으며 소득이 150만원 이상, 주관적 경제수준이 보통 이상 인 경우 인식정도가 높다. 경제상태
가 높고 자기수입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자기효능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현재 직업이 없는 제주여성노인의 '부부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식정도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여성노인의 '부부간의 관계'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제주가족의 특징인 부부중심가족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일곱째, 제주여성노인의 '나이듦'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노인'이라는 인식 자체를 부정하면서 현실에 대한 감사함과 받아들임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제주 여성노인의 강인함과 순응성을 파악할 수 있다. 자신을 노인이라 인식하지 않
을 경우 높은 만족감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향후 제주여성노인관련 정책 수립시에는 가족관련 내용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노인 스스로 자신의 변화를 긍정적이고 삶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활동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
램이 개발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홀로 된 노인을 위해서는 건전한 만남의 기회를 자주 만들어주는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배우자가 있는 노인을 위해서는 노년기 부부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삶의 활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erspective differences of successful aging by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perspectives of successful aging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Jeju female seniors and presenting positive directions with regard to successful aging. We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our study.
We used a quantitative survey towards female seniors over 65 in Jeju and Seoul. Variables used include socio-demographic factors,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regions(Jeju, Seoul). In verifying our survey, we used t-test, varia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by using SPSS 18.0 program. Survey subjects consist of 12 female seniors living in Jeju
and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regarding 'aging' and 'successful aging.'
The finding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erspectives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of Jeju female seniors, they showed a strong desire to live independently from their children.
Above all, they made great effort to keep their distance from their children, wanting to lead an independent living.
Second, in terms of perspectives of 'self-controling life,' female seniors in Jeju who are aged from sixties and seventies, graduated at least from middle school, have a spouse, and have income of ₩0.5M or more seemed to regard this category very important. Moreover, their religious belief and activities made them more aware of 'self-controling life' by relieving them of solitude and
sense of isolation and by strengthening emotional stability. Although their perspectives of 'self-controling life' seemed lower than those of female seniors in Seoul, this category had some degree of influence on them.
Third, in terms of perspectives of 'social activities and support,' seniors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and volunteer experiences tended to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is category. Especially, after conducting in-depth survey, we found that 'active' female seniors in Jeju had great energy through social activities and this categor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m compared with female seniors living in Seoul.
Fourth, in case of perspectives of 'family-oriented life,' Jeju female seniors with income of ₩0.5M or more considered this category very crucial. In particular, this category appeared more influential for Jeju female seniors than for Seoul female senior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Fifth, in case of perspectives of 'self-efficient life,' Jeju female seniors who have religion, volunteer experiences, have income of ₩1.5M or more, and have more than average economic standard thought this category very important. It shows that those with high degree of economic standard and those living by their own income had a high degree of self-efficiency.
Sixth, when it comes to perspectives of 'spousal relationship,' unemployed Jeju female seniors regarded this category very important. Especially, perspectives of
'spousal relationship' has a great influence on Jeju female seniors, making 'spouse-oriented famil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Jeju families.
Seventh, in terms of perspectives of 'aging,' Jeju female seniors denied the notion of 'the old' and accepted their current living with gratitude. Through this finding, we can see how strong and adaptive they can be. They did not see
themselves as old people and were leading a highly satisfactory and successful living.
As this study shows, in establishing policies regarding female seniors living in Jeju, family relationship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foremost. Furthermore,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various social activities must be developed and presented so as to help seniors to ease into changes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ving for themselves. Also, policy makers should be able to provide single seniors with programs giving them opportunities to meet other seniors and to provide married seniors with programs catered to elderly couples so that they can lead a life full of vitality.
Author(s)
강기은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70
Alternative Author(s)
Kang, Gi 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金惠淑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내용 4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5
1. 성공적 노화 5
1) 노인의 개념 5
2) 노화의 개념 6
3) 성공적 노화의 개념 및 의의 9
4) 성공적 노화 이론과 모델 14
5) 성공적 노화 구성요인 24
2. 제주 여성 노인 29
1) 제주 여성 29
2) 제주 여성 노인의 특성 32
3. 삶의 만족도 38
1) 삶의 만족도의 개념 38
2) 노인의 삶의 만족도 43
4. 선행연구 45
1) 제주여성노인과 관련된 성공적 노화 선행연구 45
2)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성공적 노화 선행연구 49
3) 지역과 관련된 성공적 노화 선행연구 52
Ⅲ. 연구방법 56
1. 혼합연구방법 56
2. 연구가설 및 문제 56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60
4. 연구도구 62
5. 자료분석방법 65
Ⅳ.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양적 분석 67
1. 연구대상의 특성 67
2.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69
3. 분석결과 73
1) 가설 1의 검정 73
2) 가설 2의 검정 82
3) 가설 3의 검정 87
4) 가설 4의 검정 89
5) 가설 5의 검정 110
4. 소결 115
Ⅴ. 제주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질적 분석 119
1. 연구대상의 특성 119
2. 제주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120
1) '나이듦'에 대한 인식 120
2) '성공적 나이듦'에 대한 인식 125
3. 소결 148
Ⅵ. 결론 및 함의 150
1. 결론 150
2. 연구의 시사점 153
1) 이론적 시사점 153
2) 실증적 시사점 154
참고 문헌 157
설 문 지 169
Abstract 17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기은. (2014). 제주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