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의 자녀 성교육 실태 조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인간의 성장 단계에서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생리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게 되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닥친 신체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화의 의미를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청소
년들로 하여금 성이 부끄러움이나 호기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자유로운 변화 과정임을 인식시키고, 성과 관련된 변화 및 유혹에 철저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잡지나 친구,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성지식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
이며,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 간에 성범죄 등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다.
청소년 성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보다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부모와 자녀간의 생활에서 성역할의 첫 번째 모델인 부모의 역할은 자녀에게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생활하는 가정에서 성교육이 생활 중에 교육이 되어진다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의 소재하는 중학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질문지를 남학생 312명, 여학생 342명(중1 244명, 중2 189명, 중3 221명), 총65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김재형(2008)과 윤성주(2005)의 설문을 재구성하였다. 가정에서의 부모의 자녀 성교육의 실시정도, 성교육시 성교육자 및 성교육 만족도 및 필요도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가정내 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의 네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에서 성교육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부모의 성별과 자녀의 성별이 성교육유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성별과 자녀의 성별이 성교육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성교육 경험 유무와 성교육필요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의 성교육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중 어머니에 의한 성교육이 훨씬 높게 이루어지고 있다. 성교육자가 아버지의 경우는 아들이나 딸에게 같은 비율로 교육을 하고 있고, 성교육자가 어머니인 경우는 딸에게 성교육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경우 여아에게 성교육의 중요성인식과 성에 대한 편견이나 불편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성교육 실시시 성교육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어머니의 성교육에 만족도가 훨씬 높았다. 아버지의 성교육 비율이 적기는 하나 성교육을 하는 경우에는 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성교육이 활성화되어 진다면 자녀들에게 건강한 인격을 이루는데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가정내 성교육 경험유무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정내 성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가정내 성교육이 필요하다가 높은 반면 가정내 성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가정 성교육이 필요 없다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결국 성교육 경험자가 성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가정내에서의 성교육을 경험하는 학생의 수가 높아진다면 가정내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내에서의 성교육이 매우 낮은 현실에서 가정내 성교육 활성화 및 앞으로 더 나은 가정내 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왜곡된 성지식과 성행위를 미연에 방지 위해 청소년을 위한 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가정 성교육을 받은 학생의 수는 적었으나, 성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만족도 조사에서 만족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성교육이 가정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다양한 성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평생교육 차원에서 활성화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부모 모
두가 함께 성교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부모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등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성에 대한 올바른 태도나 가치관 및 바람직한 남녀 관계를 이끌기 위해 체계적인 부모를 위한 성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성교육 실시 후 효과검증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청소년기 가정내 성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when the teenagers experience physical andphysiologic changes. To help the teenagers to accept their changes, it is important to help them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anges realistically. It
is required to make them recognize that the sexual changes are not an object of shame or curiosity, but it is natural stage that each person has to experience according to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It is also need to help them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ies to handle the changes and temptation related to sex. However, most of the teenagers get sexual knowledge from magazines, friends or internet causing many problems including sexual assault between students.
For a fundamental solution of the sexual problems in this society, in which the sexual problems among teenagers are getting serious, the role of parents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as the first model in sex education at home.
Since the teenagers spend the most of their time at home, the education taken at home is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way of teaching sex educatio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2 male students and 342 females students randomly picked from middle schools in Jeju(244 in the first grade, 182 in the second grade, 221 in the third grade), therefore 654 students
in tota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 revision from the questionnaire of Kim(2008) and Yoon(2005) which had used in their study.
This study is aimed at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putting purpose on offering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sex education at home by examining how frequently the sex education is taken by parents, the children's satisfaction level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t home.
First, how frequently is the sex education taken at home?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with the sex education based on the gender of parents and children?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gender of parents and children?
Forth,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of sex education and its neces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sex education was rarely taken at home. It defends, whether the fathers, or the mothers participated more in the sex education. In case that the education was taken by fathers, mostly to daughters and sons will have
anequal proportion. But in case that the mother take it, they taught mostly to daughters rather than sons. Mothers seem to have prejudice or insecurity on the sex education to girls and regardless to boy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sex education was high. Compared to boys, girls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when the education was taken by their mothers. Even though the participation rate of fathers was low, but if
the education was taken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t is expected for the sex education taken by fathe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growth.
Third, the polarization showed clear distinction depending on experiences on the sex education. In case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the sex education, the more they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In case of the children
who had not experienced the sex education before they didn't agree on the necessity of it.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the children experience the sex education, the more education they take, they feel the necessity of it. It is
predictable, that if the number of students experiencing the sex education, is the more people would feel the necessity of it, too.
The proposals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Since the sex education is rarely taken at home,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prevent students from getting skewed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cts and to vitalize the sex education at home.
Although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sex education at home,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once they ha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ex education at home is desirable. Moreover, the sex education has
to be vitalized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by organiz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ducing them. In particular, many other chances of education including a program in which the parents also can participate should be offered for the parents as well.
An organized sex education is needed for the parents to help them lead their children to have the proper hierarchy of values about sex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exes. The empirical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In addition, tools that can assess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at home for teenagers need to be developed.
Author(s)
양성혜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72
Alternative Author(s)
Yang, Sung 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용어 정의 4
1) 청소년 4
2) 성교육 4
Ⅱ. 이론적 배경 6
1. 청소년의 발달 특성 6
1) 청소년기의 신체 생리적 발달 7
2) 청소년기의 인지적 발달 9
3) 청소년기의 정서 발달 11
4)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 13
2. 청소년기의 성 15
3. 부모·자녀 관계와 부모의 자녀 성교육 17
1) 청소년기의 부모·자녀관계 17
2) 청소년기의 가정환경의 변화 18
3) 부모의 자녀 성교육 20
4. 선행연구 고찰 23
Ⅲ. 연구 방법 29
1. 연구 대상 29
2. 자료수집 29
3. 측정도구 29
4. 분석방법 30
Ⅳ. 연구결과 31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31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1
2) 조사 대상자의 가족의 대한 특성 34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관련 실태 36
1) 대화시간 36
2) 고민 상담자 39
3) 부모 이미지 40
3. 가정내 에서의 성교육 42
1) 성교육 경험 유무 42
2) 부모의 성교육 경험 45
3) 부모 성교육 필요성 48
4) 가정내 성교육 내용 요구도 53
Ⅴ. 결론 및 제언 56
참고 문헌 60
Abstract 67
부록(설문지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성혜. (2014).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의 자녀 성교육 실태 조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