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Users' Intention on Adoption of Smartphone Based Healthcare Service Using an Integrated Model of HBM and TAM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인해 한국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차지하고 있는 만성질환 가운데 하나가 당뇨병이다. 그러나 당뇨병의 경우 혈당관리가 중요하며 이와 관련된 혈당관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한 혈당관리시스템 가운데 스마트폰을 활용한 방법이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건강관리, 질병치료의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활용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의 기술적인 측면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사용자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활용시스템 사용자 관점에서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건강행위이론의 대표적인 모델인 건강신념모형이 스마트헬스케어 수용에 있어 설명력을 확인한다. 둘째, 통합된 연구모형을 통해 스마트헬스케어 수용에 있어 주 요인을 밝히고,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다. 셋째, 집단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통해 시스템
사용대상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수집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집단인 젊은 소비자층의 경우 스마트폰 시스템에 대한 활용가능성은 높게 인식되지만 당료병에 대한 주의도가 낮은 특징이 있다. 둘째, 현재 당뇨병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의 경우 주로 노년층이며, 이들의 경우 스마트폰 활용도가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대상의 특징을 모두 고려하여 스마트폰 활용도가 높은 젊은 소비자 층과 당뇨병을 경험하고 있는 노년층 모두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자료수집은 우선 젊은 소비층을 대상으로 500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으며, 노년층의 경우는 300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Partial least square - 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방법을 본
연구에 적절하다고 보아 SmartPLS 2.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젊은 소비층 대상인 경우 지각된 민감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용의도에 영향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심각성은 지각된 용이성에만 유의한 인과 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유익성 변수는 유일하게 모든 내생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그리고 사용의도까지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영향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자기효능감 변수는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전혀 영향이 없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유의한 인과 관계가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주관적 교범, 기술
자기효능감, 그리고 지각된 유희성 변수들이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 집단의 경우는 지각된 민감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지만 사용의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심각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와 유의한 인과 관계가 있었고 지각된 유익성이 젊은층 집단과 같이 모든 내생 변수에 높은 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장애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이 있고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건강 자기효능감의 모든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자기효능감, 지각된 외부통제, 그리고 지각된 유희성이 유의한 인과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첫째 목적이
건강신념모형이 스마트헬스케어 수용에 있어 설명력을 확인하는 것이며, 분석결과를 보면 이 모형이 스마트헬스케어 수용에 있어 다소 낮은 설명력을 갖고 있다. 이는 기존 건강행위를 받아드리는 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는 반면에 스마트폰 활용시스템은 노력과 시간을 덜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
모형에서의 주 요인인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그리고 건강 자기효능감 변수들이 무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인과 관계의 유의성과 영향의 크기를 고려하여 주 요인을 선정하여 새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의 외생변수로는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주관적 교범, 지각된 외부통제, 지각된 유희성 변수를 설정하여
매게 변수로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그리고 종속변수로 사용의도를 설정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당뇨관리 시스템 수용에 있어 대상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한 연구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한계점이 있다. 첫째, 표본의 다양성인데 데이터 수집을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하였고 전국 사용자를 포함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시스템의 최신성인데 이 시스템은 아직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관계로 시스템에 대한 비디오를 활용하여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은 응답자가 있었다. 셋째, 변수 선정인데 연구모형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수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변수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모든 변수를 한 논문에 다 포함하지 못한 점이 마지막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새로운 모델이 스마트폰 혈당관리 시스템 수용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헬스케어, 유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을 예측 또는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장애성과 온라인 환경에서의 장애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도 이뤄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Author(s)
Nyamsuren Davaadorj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582
Alternative Author(s)
디와더르지냠수릉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Advisor
김민철
Table Of Contents
CHAPTER I 1
INTRODUCTION 1
1.1. Purpose Statement 2
1.2. Overview of Dissertation 3
CHAPTER II 4
LITERATURE REVIEW 4
2.1.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 service 4
2.2. Smart healthcare (s-Health) service 7
2.3. Technology Acceptance Research 15
2.4. Health Belief Model 15
CHAPTER III 28
RESEARCH MODEL DEVELOPMENT 28
3.1. Core constructs 28
CHAPTER IV 35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35
4.1. Population 35
4.2. Operationalization of the Constructs 35
4.3. Pretest 44
4.4. Data Collection 45
CHAPTER V 46
DATA ANALYSIS 46
5.1. Preliminary Analysis 46
5.2. Sample Characteristics 48
5.3. Reflective measurement model. 50
5.4. Hypothesis Testing 57
CHAPTER VI 67
CONCLUSION 67
6.1. Summary of the Study 67
6.2. Implications for Research 70
6.3. Limitations 71
6.4. Future Research 71
REFERENCES 72
APPENDICES 83
SURVEY 8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Nyamsuren Davaadorj. (2014). Users' Intention on Adoption of Smartphone Based Healthcare Service Using an Integrated Model of HBM and TAM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