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Focused on Analysis of Utturu Area
Abstract
제주지역의 경우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매력적인 곳으로 성장을 하고 있지만, 이
러한 성장과 비교하여 제주 농어촌에서의 실질적 성장을 체감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제
주지역에서도 농어촌의 활성화를 위해서 여러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역량 부족,
홍보 부족, 사회적 인식의 모자람 등으로 인하여 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계속하여 시도하고 있지만 사업 추진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성과를 내기 힘든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제주지역 사례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농어촌의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고, 그 연구 방
법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를 구성하고 있는 마을만들기 활성화 항목들의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결과 마을만들기
활성화는크게경제적측면의활성화, 사회·문화적측면의활성화두가지요인으로구분할수있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별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실태 차이에 있어서, 성별 차이 검증 결과 사
업 참여는 여성들보다 남성들이 더 많이 했지만 사업과 관련한 의견제시에 있어서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욱 적극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전통적으로 생활력이 강한 제주 여성들의
특징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거주기간별 차이 검증 결과 사업 인지정도, 사업진행
입장에 있어서 거주기간이 긴 그룹보다는 거주기간이 짧은 그룹에서 더욱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마을로 이주해 온지 얼마 되지 않은 그룹에서 오히려 더 마을 일에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학력별 차이 검증 결과 학력이 낮을수록 사업관련 의견제시에 있어서 더 적극적이었음
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학력이 낮은 사람들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적극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어서 향후 학력이 낮은 주민들에게 주민역량강화 교육의 기회와 마을만들기 참여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해볼 수 있다. 가구소
득별 차이 검증 결과 가구소득이 낮은 그룹에서 사업진행에 오히려 더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하였
고 이는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소득 증대를 위한 마을만들기를 더욱 원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가구소득이 낮은 그룹에서 부담을 많이 느끼지 않으면서도 소득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소득이 높은 몇 몇 사람들만 모여 소득사업을
하는 등의 행태는 당연히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실태별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차이 검증 결과,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많이 알수록, 마을만들기에 참여한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마을만들기와 관련하여 의
견제시를 많이 할수록 마을만들기가 활성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인
지를 위하여, 많은 참여를 위하여, 그리고 사업에 대한 의견제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 홍보,
정보화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 있어서 지역의 여건에 맞는 알찬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마을만들기 참여조직의 거버넌스와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참여조직
의 거버넌스(주민·행정·전문가그룹의 동반자적 관계구축)는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참여조직의 거버넌스를 위해서는 마을만들기에 있어서 주민들이 주
된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하여 참여조직의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을 함께 해야 하고, 지역
의 주민들은 아무리 작은 일이지만 마을 일을 내 일처럼 여길 줄 아는 것에서부터 마을만들기를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아무리 주민들이 주가 되어야 하는 사업이지만 행정, 전문가
그룹과의 동반자적 관계를 구축할 때 마을만들기가 활성화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을만들기 활성화와 마을만들기의 주민만족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설명력이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마을만들기의 활성화는 주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는 마을만들기가 단시일 내에 주민들의 만족감을 많이 충족시켜주지
못했을 수도 있고, 가시적인 마을만들기 보다는 비가시적인 마을만들기를 우선적으로 시행을 하
여 눈에 확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권역의 주민들이 대부분 참여한 것이 아니라 소수의 리더 그룹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
기에 그 만족도가 높지 않았을 수도 있는 것인데, 이런 연유들로 인하여 마을만들기 활성화와 마
을만들기 주민만족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그 설명력이 높지 않게 나왔다고도 할 수 있다.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대하여 경제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
였고, 주민들의 사업 참여 실태별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차이 검증, 참여조직의 거버넌스에 따르
는 마을만들기 활성화의 영향 관계 검증, 그리고 마을만들기 활성화와 주민 만족도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대체적으로 사회·문화적 측면의 마을만들기 활성화보다는 경제적 측면의 마을만들기
활성화에 통계적으로 더욱더 유의한 차이가 있고 더욱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만들기가 공동체적 가치를 회복하고, 지속적으로 실현해 가는 과정이라는 사회·문화적 색
깔이 짙은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마을만들기는 인간 존중의 가치를 중
요시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서로 협력하면서 공동체적 가치를 회복해 가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
는 경제적 측면의 활성화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가설 검증 결과, 사회·문화적 측면의 마을만들기 활성화보다는 경제적 측면의 마
을만들기 활성화에 통계적으로 더욱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공동체 회복과 그의 지속
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마을의 안정적인 토대 형성을 원하고 있는 주민들의 바람이 나타난 것이
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마을만들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데, 마을만들기의 성공을 위해
서는 올바른 리더십과 철학을 가진 리더가 있어야 하고, 제대로 된 역량을 갖춘 주민 인력이 있
어야 하며, 참여하는 조직들 간에 동반자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연유로 현실적으로 주민
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의 성격이 공동체적 가
치를 회복하고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라면, 그리고 점차 주민들의 자발적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자생적인 지역발전을 통한 지속가능한 내발적 발전성이 중요시되는 것이 이 시대의 흐름이라면,
마을의 주인인 마을 주민들이 마을만들기의 중심에 서 있어야 하고, 마을만들기에 열정적인 주
민들의 선의적인 시행착오 정도는 용인될 수 있는 조급하지 않고 기다릴 줄 아는 분위기가 조성
되었으면 한다. 주민의,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마을만들기가 되어야 한다.
Although Jeju Island is growing up as an attractive place, which more than 10 million tourists visit
a year, it is difficult to feel substantial growth in rural villages there, compared with its growth. Jeju
Island is making efforts in various areas for rural revitalization, and yet,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ching the limit due to lack of competence, publicity and social awareness. This study inquired into
multilateral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rural community design in which attempts continue while
repeating a lot of trial and error, but it is hard to obtain good results due to various problems in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ase of rural community design in Jeju
Island, and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survey were
conducted in parallel.
As a result of analyses of reliability and factors of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which
constitute the questionnaires, it could be divided into two factors, economic aspects an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test of hypotheses of this study,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sign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gender, more men than
women participated in the project, but women were more active than men in the presentation of
opinions on it, which shows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Jeju women with strong vitalit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the period of residenc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roject and its
progress was higher in a short-term resident group than in a long-term resident group, so the group of the residents who recently moved into the village were, rather, more interested in the affairs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the level of education, the lower the level, the
more active their presentation of opinions related to the project became, which can be also said to show
the initiative of the people with a low level of education for community design. Thus, if more
opportunities of training for capacity building and more chances for them to participate in community
design are provided for the residents with a low level of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community design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household income, a group with low household income was, rather, more positive with the project
progress, which indicates that people with lower household income want community design for income
growth more. The community design project should be promoted in a way which does not burden the
group with low household income much while it allows participation in profit-making business and in
a pattern in which a few people with high income carry out the profit-making business should be
avoided, of course.
Second, as a result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by the statu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design would be revitalized as they were more aware of the
project, participated in community design more times and presented more opinions related to community
design. For the residents' awareness of community design,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ir presentation of opinions on it, a fruitful program for local conditions should be
prepared and carried out in the software sector such as educ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governance of the
organizations that participated in community design and the revitalization of it, their governance
(construction of partnership among residents, administrators and experts gro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and for their governance, all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should have the same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residents should be the main subjects in community
design, and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gin community design by taking even trifle things in the
community as their own. Moreover, even if it is a project in which the residents should be the main
subject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 community design can be revitalized only when
administrators and experts group build up a partner relationship.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and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ty design, though not at a high explanatory power,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dents'
satisfaction. Since community design that needs a long time might not satisfy the residents much, or
since the intangible community design was implemented preferentially rather than visible community
design, it did not come into sight clearly, so their satisfaction might not be high. Also, in the
community design project, instead of the participation in most residents in the region, a few leader
groups participated taking the initiative, so their satisfaction might not be high, and for these reasons,
it can be said that the explanatory power was not hig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and residents' satisfaction with it.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was analyzed in detail by economic aspects an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e difference i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by the status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by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governance, and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and the residents' satisfaction were verified, and as a result, overall, there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difference and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in economic aspects rather than on that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Community design is defined as a concept with strong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that it is a
process of recovering and realizing community value continuously, but through preceding studies, it is
found that community design is a process of recovering community value attaching importance to the
value of human dignity and cooperating in a pleasant environment, and that the revitalization of
economic aspects is also of importance.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esign in
economic aspects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which can be
said that it shows the residents' preferential wish for the formation of a stable foundation of their
community to recover and maintain the community.
Community design takes much time and manpower, and for successful community design, there
should be a leader with the right leadership and philosophy and manpower of residents with proper
competence, and partnership betwee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should be built. For this reason, in
reality, it is true that community design led by the residents is not easy. However, if community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recovery and recreation of community value, and if the increase of the residents'
voluntary demands and the attachment of importance to sustainable voluntary development through indigenous community development are the flow of this time, then local residents, the owners of the
community should be at the center of community design, and it is desirable that an atmosphere of not
being impatient but waiting for them should be created so that trial and error in good faith of the
residents passionate for community design may be allowed. It should be community design of the
residents, by the residents, for the residents.
Author(s)
강기호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734
Alternative Author(s)
Ki-Ho Kang
Department
대학원 관광개발학과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제2장 이론적 고찰 6
제1절 농어촌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6
1. 농어촌 지역개발의 뉴패러다임 6
2.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흐름 11
제2절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유형과 내용 19
1.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배경 및 개념 19
2.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유형 24
3.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내용 25
제3절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및 추진주체 32
1.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32
2.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참여주체 39
3.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42
제4절 선행연구 고찰 45
제3장 대표사례 탐구 49
제1절 국외의 사례 50
제2절 국내의 사례 60
제3절 제주지역의 사례 73
제4장 연구의 설계 95
제1절 연구의 모형 95
제2절 가설의 설정 96
제3절 조사방법 및 설문지 구성 96
1. 조사방법 96
2. 설문지 구성 97
제4절 자료 분석방법 99
제5장 실증분석 101
제1절 자료의 분석 101
1. 인구 통계적 특성 101
2. 주민참여 실태, 참여조직의 거버넌스,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및 만족도 특성 102
3. 신뢰도 분석 및 요인 분석 106
제2절 가설의 검증 109
1. 인구 통계적 특성별 농어촌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실태 109
2. 주민참여 실태별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112
3. 참여조직의 거버넌스와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115
4.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와 주민만족도 116
제6장 결 론 118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1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4
참고문헌 126
부록 130
국문초록 135
ABSTRACT 13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기호. (2014). 제주 농어촌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 Tourism Develop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