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부친탐색담 기능과 전승원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Function of Finding Father and the Principle of Transmission In Jeju's Goddess Myth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 , 에 나타난 부친탐색담의 기능과 전승 원리를 밝히는데 있다. 그동안 부친탐색담은 서사 문학의 한 원형으로서 나라와 가문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이를 계승하는 측면의 의미 연구에 주목하였다. 신화는 유래와 근원을 알려주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시조(始祖), 시원(始原)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존재는 큰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실적인 삶에서 아버지가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신화집단은 부친탐색을 시도하게 된다.
제주도 무속 신화인 본풀이 세 편에 '부친탐색담'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절대 신격을 노래하는 , 무조신의 내력을 구송하는 , 주화관장신의 삶을 말하는 가 그것이다. 부친 탐색을 중심으로 한 본풀이 서사 구조를 분석한 결과 네 개의 공통 신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 결합의 신화소', '부친탐색 신화소', '증여와 답례 신화소', '신직 해석 신화소'가 그것이다.
'결합의 신화소'는 아버지의 출현 양상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천지왕은 하늘의 존재로서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그러기에 결합 또한 일방적이다. 주자대선생은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는 존재로서 권위 또한 혼합적 양상을 띠고 있다 사라도령과 원강암이는 구덕혼사로 결합을 이룬다. 그의 권위는 현실적으로 한정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부친탐색의 신화소'는 탐색 과정에 나타나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서사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대별왕 소별왕의 아버지 탐색은 정신적 결핍 때문이다. 그들은 박씨를 타고 하늘에 올라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 그 과정은 고통 없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초공 삼형제의 아버지 탐색은 어머니의 죽음 때문이다. 이는 육체적 결핍으로 중대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외할아버지를 거쳐 아버지를 만나게 되는 과정은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어머니의 삶이 아들에게 투영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고통의 양상을 추출할 수 있다. 할락궁이의 탐색 동기는 주체적 자각이다. 열다섯이 되자 아버지 부재로 인한 사회적 결핍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부친 탐색에 나선다. 서천꽃밭에 이르는 과정은 고난이 반복되는 구조이며, 합혈과 얼레빗 맞추기를 통하여 신분을 확인한다. 이로써 아버지의 신격에 따라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난의 강도가 결정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다음은 '증여와 답례의 신화소'로서 신직의 중복 여부에 따라 증여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천지왕은 하늘과 다른 세상인 이승과 저승을 증여하므로 신직 중복이 없기에 '순수증여'라 말할 수 있다. 주자대선생은 삼형제에게 무법(巫法)을 증여한다. 아버지는 이계의 사제자이며, 아들은 인간세상의 사제자가 된다. 이에 신직 중복 양상은 혼합적이므로 '증여'라 할 수 있다. 사라도령은 주화(呪花)를 증여한다. 사라도령과 할락궁이는 서천꽃밭 꽃감관으로 신직이 중복된다. 또한 통과의례를 거친 자에게만 증여되는 조건적 양상이 강하게 드러나기에 '교환'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은 '신직 해석 신화소'로서 뮈토스적인 이야기 요소들을 로고스적인 논리적 법칙으로 묶어주는 부분이다. 에서는 이승법 저승법의 시원, 에서는 무법의 시원, 에서는 수레멜망악심꽃의 시원으로 해석되며 종합 마무리 되고 있다.
이러한 부친탐색담이 신화 서사에서 중요한 구조로서 작용하고 있다면 제의의 과정에서도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전제할 수 있다. 에서는 절대 신격을 이양하는 것이며, 의 무법 능력의 이양, 의 신성 주화의 이양 과정을 보여준다.
이로써 신앙민은 제의 과정에서 '부친탐색담'이 일으키는 의미 기능을 자발적으로 수용하고 전승하기에 이른다. 여기에는 세 가지 전승원리가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관계의 강제성'이다. 부자관계는 선택 사항이 아닌 강제적인 결합이다. 이에 신앙민은 본풀이의 상황을 자발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둘째, '인식의 자각성'이다. 아버지와 아들의 구체적 표상 및 그 관계를 둘러싼 은유 작용을 생각하다보면 자신의 경험과 유사함을 깨닫게 된다. 이때 인식 작용이 확장되며 그 심층적 의미를 자각하게 된다. 셋째, '상호 호혜적 통합성'이다. 신과 무당과 신앙민은 부자관계에서 출발하여 증여와 답례의 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 신은 신앙민의 발원을 들어줌으로써 증여를 행하고, 신앙민은 깊은 신앙심으로 이에 답례하게 된다. 이처럼 제의와 본풀이가 내외적인 면에서 상호 호혜적 원리에 따라 수용 전승되고 있기에 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풀이에 드러난 '부친탐색담'이 신격의 위계를 정립하고, 권위 이양을 정당화하기 위한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제의 속에서의 기능도 함께 고구하였다. 이에 제주의 본풀이가 현재까지도 살아있는 신화로 전승 되는 원리를 찾을 수 있었던 점은 의미 있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defining functions and principles of succession
that characterize tales of finding one's father such as ,
and . Until a recent date, as an archetype of epic
literature, tales of finding one's father have focused on meaning researches to
establish the heritage of a nation or a family and to succeed these aspects. A myth is
a story that notifies the origin. Therefore, existence of a father that corresponds to a
progenitor and the root is to have significance.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absence of a father occurs in reality. Consequently, The group found in myths
attempts to find one's father.
Tales of finding one's father are noticeably found in three series of
which are Jeju island's shaman myths. Three series consist of
glorifying divinity, reciting the origin of shamanic god and
which describes the life of the god in charge of flowers. As we analyze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in terms of finding one's father, we
could extract four common mythmes such as 'mythmes of union', 'mythmes of finding
one's father', 'mythmes of gift and acknowledgement' and 'mythmes of faith'.
Mythems of union is character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existence of a father.
Chunjiwang, the god with omniscience, exerts powerful authority. Therefore, the aspect
of union is unilateral. 'Saradoreung' and 'Wongwangami' joins in virtue of marriage
based on praying for virtue. His authority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practical dimension.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mythemes of finding one's father are
represented with diverse features as the level of agony varies. The reason that
Daebeulwang and sohbeulwang searched for their father is that they suffered
psychological deficiency. They finally met their father having gone up to the sky with
the help of a seed of gourd. That process seems to be proceeded easily without any
risk. Chogong three brothers searching for their father is due to the death of their
mother. This event which is considered as the reason of their physical deficiency has
caused serious problems. Although their meeting father passing their grand father is
accomplished easily, aspects of agony can be extracted in terms of a mother's life
being projected into her sons. Halakgungi's motivation to search is self-consciousness
of the subject. Absence of his father leads to cognition of social deficiency. Thus, he
searched for his father. The way to Seocheon garden feathers repetition of agony, and
then blood checking and solving a puzzle confirms his status. Therefore, it is proven
that father's divinity determines intensity of agony.
In sequence, in mythmes of gift and acknowledgement, aspect of a gif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n overlap of divine position. Since
Cheonjiwang presents the real world and the hell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heaven,
there is no overlap of divine job, and this could be regarded as a pure gift. Sage Juja
presents shamanic wisdom to three brothers. Their father is a priest in the spiritual
world and his sons became priests on the earth. Thus, an overlap of divine position
appears to be compositional and this aspect could be regarded as a gift. Saradoreung
presents flower for praying. Both Saradoreung and Halakgungi take the same divine position as a flower sentinel, which is an overlap. Also, as conditional aspect that one
having undergone a rite of passage is to be seen noticeably, this could be described as
a kind of interchange.
Thirdly, there is mythmes of faith that arrange mythical discourses with logical
rules. This aspect is well represented and interpreted in
showing the origin of law which constitutes division between the earth and the
afterlife, showing the origin of law concerning spiritual affairs, and
featured with the origin of the evil flower which is a metaphor that
presents supernatural causes of all the negative affairs.
If tales of finding one's father that have been discussed function as the primary
structure in terms of mythical epic, these stories could be interpreted as a crucial
leading factor in ritual matters. These factors are well represented in
featuring transfer of divinity, showing
transfer of spiritual powers, and showing transfer of the divine flower.
As a result, religious people take in and succeed the meaning of these tales
spontaneously while in ritual ceremonies. Three major principles are considered to
function in regard to spiritual or ritual matters. Firstly, there is 'compulsion of
relation'. A father and son relationship is compulsory but not selective. Therefore, one
who takes part in ritual affairs accept situation of spontaneously. Secondly,
there is self-awareness of cognition. Since people accept metaphors surrounding a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nd concrete representation of a father and a son, they face
similarities between the stories and their life. This leads to both extension of cognition
and finally awareness of intensive meaning. Thirdly, there is mutual synthesis.
Religious people, the Supreme Being, and priests start from a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nd proceed toward the circulation of gift and acknowledgement. The
Supreme Being performs giving responding to a prayer of a religious person, and a
religious person gives his or her faith in return. Through this process, ritual ceremony
and 'Bonpuli' are accepted and succeeded mutually and this results in the synthesis.
Through this research, we've observed that tales of finding one's father in 'Bonpuli' have functioned as the center axis to justify the status of the divinity and transfer of
authority. In addition, functions which ritual affairs have been discussed.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way 'Bonpuli' in Jeju maintains up to a recent date its
significance has been revealed.
Author(s)
강순희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741
Alternative Author(s)
Kang, Sun-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방법 6

Ⅱ. 부친탐색담의 구조와 의미 10
1. 전승양상 10
2. 결합의 신화소 17
3. 부친탐색 신화소 20
4. 증여와 답례 신화소 25
5. 신직 해석 신화소 30

Ⅲ. 부친탐색담의 기능 34
1. 절대 신격의 승계 34
2. 무법 능력의 이양 37
3. 신성 주화(呪花)의 이양 41

Ⅳ. 부친탐색담의 전승 원리 44
1. 관계의 강제성 45
2. 인식의 자각성(自覺性) 48
3. 상호 호혜적 통합성 53

Ⅴ. 결론 57

참고문헌 62

ABSTR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순희. (2014). 제주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부친탐색담 기능과 전승원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