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벼농사의 역사지리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제주도는 쌀을 주식으로 삼는 문화권이지만 쌀이 귀했다. 육지에서 쌀을 들여오기 힘든데다 벼농사도 마음껏 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제주도내에서도 단 1%의 지역에서만이 쌀을 생산할 수 있었다. 제주도에서 벼농사를 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지질 특성의 영향으로 인해 물을 가둘 수 있는 논(水田)을 만드는데 제약이 많았기 때문이다. 쌀을 생산하기 위해 제주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했는데 그 개척과정을 문헌자료와 현장답사를 통해 연구했다.
제주도 벼농사 지역의 변화 양상을 시대별로 분류했다. 조선시대에는 습지나 상시 하천과 주변에 물의 풍부한 지역에서 벼농사를 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수로를 이용해서 밭으로 사용했던 일부지역도 벼농사를 행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저수지와 간척지 등을 활용하여 벼농사를 했었으나, 쌀값이 떨어지면서 벼농사는 자연스럽게 폐작되었다. 쌀은 인구부양력이 높은 식량작물이면서 고소득 작물이었고, 또한 유교적 전통을 지키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물이었다.
제주도에서 쌀을 재배하려면 용천이 풍부하게 나면서 넓은 평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조선시대까지는 일부 마을만이 벼농사를 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 토목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리시설의 확충과 간척 등을 통해 벼농사를 하려 했던 것도 쌀이 고소득 작물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도외지역에서 쌀이 풍부하게 들어오면서 쌀값이 하락하고 벼농사를 하는 것도 큰 소득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오히려 밭농사보다 더 낮은 소득을 얻었기 때문에 1990년대 이후로는 대부분이 폐답이 되었으며 오랜 전통을 유지해온 하논에서만 벼농사가 재개되었다.
하논이나 천제연 일대의 논은 소규모의 경지를 많은 사람들이 나누어 소유하고 있다. 이것은 쌀을 순수한 이익 창출이 아닌 상례용 쌀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다. 예를 들면 천제연 일대 벼농사지역에서 수확한 쌀을 가지고 제사를 지내고 나면 먹을 쌀이 없었다고 한 사실로 보아 쌀은 제사 때 반드시 필요한 작물이었고, 유교적 문화가 남아있는 제주에서 식량이상의 문화적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쌀은 밥이나 떡으로 만들어 제사상에 올리기도 했는데 상례문화 중에서 장례문화를 크게 여겼던 제주도에서는 장례를 한번 치를 때마다 많은 양의 쌀을 사용해야만했다.
제주도에서 벼의 재배 기간은 약 6개월인데 직파의 경우 청명이 지난 이후에 파종하고 이앙한 경우에는 장마철에 맞춰 모내기를 하며 수확은 10월 초순 전후로 한다. 벼농사는 밭갈이로부터 시작해서 수확과 탈곡에 이르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경종이후에는 물관리와 논매기, 구제 등을 통해 쌀을 생산했다.
본 논문의 사례지역은 서귀포시 서홍동과 호근동에 위치한 하논, 중문동 천제연 일대, 종달리 간척지로 선택했다. 하논의 경우에는 15세기 후반부터 지금까지 벼농사가 계속되고 있는 지역이며, 벼농사를 할 수 있는 자연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란 점에서 주목하였다. 중문동 천제연 일대는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벼농사가 시작된 지역으로 토지는 평탄하고 넓었으나 물이 부족하여 벼농사를 할 수 없었던 지역에 수로를 건설하여 벼농사를 했다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종달리는 해방이후에 벼농사가 이루어진 지역인데, 일제강점기에 논을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방치되었다가, 해방이후에 염전으로 활용되던 간척지를 논으로 개답하여 벼농사를 지었었다.
하논에서는 현재 한 가구가 기계를 사용해서 농사를 짓고 있지만 중문동이나 종달리는 이미 오래전에 벼농사를 그만 두었다. 중문동의 경우에는 중문 관광단지가 들어서면서 더 이상 벼농사를 할 수 없게 되었고, 종달리의 경우에는 쌀값이 떨어져 본업인 밭농사에 더 집중하면서 폐답이 되었다.
제주도의 벼농사는 규모나 기간 면에서 도외 지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밭농사에 의존하는 제주도 농촌경제의 특성상 현 시점에서는 논이 일부 남아있어도 대부분 벼농사를 짓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제주도에는 벼농사 재배에 대한 기억을 가진 사람들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전국 어디에서나 행하고 있는 벼농사지만 제주도에서는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농사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벼농사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역사지리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Author(s)
정근오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763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오상학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기존연구 검토 2
3) 주요 연구내용 4
2. 연구지역 설정 및 연구방법 6
1) 연구지역 선정 배경 및 연구범위 6
2) 연구방법 6

II. 제주도 벼농사의 전개과정 10
1. 고대 ~ 조선시대 10
1) 논의 분포 10
2) 수리시설 19
3) 농법과 토지소유관계 21
2. 일제강점기 29
1) 논의 면적과 생산량 29
2) 수리시설 31
3) 농법 34
3. 해방이후 35
1) 논의 면적과 생산량 35
2) 수리시설 37
3) 농법과 생활양식 38

III. 사례지역연구 46
1. 서귀포시 하논 46
1) 연구지역 개관 46
2) 하논의 개척과 영농의 역사 47
2. 서귀포시 중문동 천제연 일대 55
1) 연구지역 개관 55
2) 논의 개척과정 56
3. 종달리 간척논 71
1) 연구지역 개관 71
2) 종달리 벼농사의 전개과정 72

IV. 요약 및 결론 78

참고문헌 81

부록 85
1. 제주도 쌀 생산 면적과 생산량 85
2. 인터뷰 - 하논 답사 인터뷰 내용 87
3. 인터뷰 - 중문 천제연 답사 인터뷰 내용 91
4. 인터뷰 - 강정 답사 인터뷰 내용 9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근오. (2014). 제주도 벼농사의 역사지리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