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ctivation of Geotourism for the Sustainable Tourism in Jeju Island :A case of Seongsan Ilchulbong Peak
Abstract
제주는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 유네스코 브랜드에 힘입어 2013년 사상 처음으로 국내외 관광객 1,000만 명이라는 메가 투어리즘 시대를 맞았다. 그러나 관광객의 수적 증가에 치중하는 외형적 성장의 이면에는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부정적 담론이 확산되고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와의 단절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등장하고 있다. 제주관광은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전략을 모색해야하는 시급한 현안에 직면하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유형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섬 제주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세계 지오파크의 대표 명소이며 제주도의 대표적인 해안관광지인 성산일출봉을 사례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 논문과 관련 보고서 등의 국내외 문헌연구, SWOT 분석과 설문 조사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지오투어리즘은 1990년대 초기에는 지형 및 지질자원에 초점을 맞추는 협의적개념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을 전후하여 장소의 지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광의적 개념이 등장하게 되면서 대상의 범위 역시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지역의 역사․문화와 주민들의 일상생활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제주지역의 자연은 오랜 세월동안 제주인들의 역사․문화와 삶이 깃든 인문화된 자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지오투어리즘 논의는 광의적 개념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실태를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진단하였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골프장 등 대규모 관광개발로 인해 제주 식생의 허파이자 지하수 함양지대인 곶자왈 파괴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고찰하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제주경마장 이용객의 도박 중독문제와 그에 따른 심각성을 진단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성산포해양관광단지의 섭지코지 사유화 및 부동산 투기 논란 등을 다루었다. 이들 사례는 제주사회에서 관광개발로 인해 대두된 부정적 담론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SWOT 분석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 지형 및 지질자원의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주해녀의 삶 체험 지속화, 근현대 역사문화유산 탐방,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 등 5개의 콘텐츠 분야를 선정하였다.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은 자연 및 인문자원의 콘텐츠들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콘텐츠 개발 여부가 지속가능성을 확실하게 담보하는 관건으로 판단하였다. 성산일출봉의 경우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가 지역의 장소성․상징성․정체성을 대표하는 핵심 콘텐츠로 적합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유산관리단의 지원과 유산마을인 성산리 주민들의 주관 하에 매월 1일, 1년 12회에 걸쳐 성산일출제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세계유산마을이라는 자부심이 갈수록 약화되던 지역주민들에게 성산일출봉이 지속가능한 자연 유산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심어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매월 1일 개최되는 성산일출제에는 주제별로 한국사회 갈등의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산일출제는 희망의 축제, 소통의 축제, 감동과 즐거움의 축제로 승화시킨다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가운데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 분야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되었다. 성산일출봉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유산마을은 성산일출봉 방문객들이 찾지 않음에 따라 성산일출봉 관광과 단절되는 양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분야는 주민 숙원사업 해결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우선, 주민들의 일상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주차장 이전 확충 문제는 마을의 최대 현안이다. 또한 면적이 협소한 성산리의 토지를 장기 점유하면서 세계자연유산 마을의 경관까지 헤치고 있는 KBS 제주송신소의 이전 문제도 해결 과제다. 현 오일시장의 매일 민속시장화 추진 문제 역시 주민소득 창출 차원에서 시급한 문제다. 이들 사업은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의 공존 여부가 달린 현안으로 제주도 당국의 적극적인 추진을 주문하였다.
본 연구는 성산일출봉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제주 관광의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사안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주민들이 직접 실행하는 핵심적인 지오투어리즘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 둘째, 지오투어리즘 탐방코스의 마을 경유가 지속화돼야 한다. 셋째, 이에 대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하에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곧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하는 토대로써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의의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근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논의를 제주의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문화․역사와 주민생활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의 실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관광을 대표하는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인 성산리의 단절 양상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콘텐츠의 연계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존의 장을 모색하였다. 셋째, 국내의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가 지리학, 지형학, 지질학, 관광학 등 각 분야에서 별개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학문간 연계와 융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접근하지 못함으로써 큰 틀의 방향 제시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연계 개발과정에서 '해양관광 및 내수면 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선비 묵객들과 시인들의 심상 공간 개발'분야를 논의하지 못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지오투어리즘 연구가 다방면에 걸쳐 본격화된다면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은 관광지와 주민들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olcanic island Jeju, listed as the World Natural Heritage by the UNESCO, has witnessed an age of mega tourism in its history with 10 million local and global visitors in 2013. Despite its external growth and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however, tourism in Jeju Island finds itself drawn into environmentally, socio-culturally and economically negative discourses to the extent that tourist destinations become further disconnected from the local
community. Simply put, tourism in Jeju Island is in an urgent condition that requires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strategie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pays attention to geotourism, emerging globally as a new type of sustainable tourism.
The present study aims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geotourism for the benefit of sustainable tourism in Jeju and thus to lay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destinations and local community. Seongsan Ilchulbong Peak located on the eastern seashore of Jeju Island has been chosen as the site for this case study. Seongsan Ilchulbong is the UNESCO-designated World Natural Heritage site and a globally renowned geopark. As for study
methods, local and global literature review including relevant reports,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discuss the topic.
In the early 1990s, geotourism was discussed in a narrow sense focusing on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however, a
broad concept focusing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place has officially come the fore, extending the scope of a place to not only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but also to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Jeju's history, culture, and nature are humanized with Jeju's local history, culture and life. In this vein, this study reasons that geotourism in Jeju Island should be extensively applied as a broad concept.
Here, the sustainability of tourism in Jeju Island is critically diagnosed from environmental, socio-cultur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n terms of environment, large-scale development including golf courses for tourists is
considered to threaten the eco-system of Gotjawal, which serves as the lung for vegetation in Jeju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furrow. In view of socio-culture, gambling addiction issues of those who use Jeju Racecourse and
the resultant severity have been diagnosed. In light of economy, the controversial privatization and land sales surrounding Seopjikoji in the Seongsanpo Marine Tourism Complex are discussed. These are the cases of
development eventually causing negative discourses that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community.
To activat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is study has conducted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analysis and survey, measures for activating 5 content areas were derived, i.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increasing the awareness of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continual experience of
Jeju Haenyeo's life ; visit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 and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As for the measures for activating geotourism in Jeju Island, whether to develop core
contents driving natural and humanistic resources is regarded as the key to secure sustainability. As for Seongsan Ilchulbong,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core content representing local place-ness, symbolicity and identity.
Furthermore, specific measures for th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ere proposed. That is, the Seonsan Ilchul Festival should be held 12 times a
year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by the residents of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with the suppor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World Natural Heritage Management Group, which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Seongsan Ilchulbong as a sustainable heritage such that local residents could retrieve the pride in their World Heritage Village. For instance, conflicting
parties in society may participate in the Seongsan Ilchul Festival with a monthly theme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Then, relevant strategies were developed
to turn the Seongsan Inchul Festival into a festival of hope, communication, impression and fun.
Among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e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people' was perceived as the foremost
issue in real life. Seongsan Ilchulbong is a tourist destination representing Jeju, attracting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while it is not the case with the
Heritage Village. Thus, the disparity between the village and the popular destination Seongsan Ilchulbong is increasing. This issue was addressed here
from the perspective of dealing with the residents' long-cherished projects. First, the village's overarching issue is the invasion of privacy due to the over-saturated parking lot for Seongsan Ilchulbong, which should be moved and
expanded. Also, the KBS' transmitting station occupying the land of the small village and spoiling its landscape need be moved. The issue of opening the
current folk market daily instead of every five days is urgent for income generation for residents. These projects are significa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 Seongsan Ilchulbong with the Heritage Village, calling
for an determined action by the provincial authorities.
Here, three integral issu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realizing the sustainable Jeju tourism from the case study on Seongsan Ilchulbong. First, core geotourism
contents held by local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village center should be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geotourism course for visitors. Third, every stakeholder should participate in relevant monitoring and evaluation, which is expected to activate geotourism in Jeju Island as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attraction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ways. First, it suggests a new potential wayto realize sustainable tourism in Jeju by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geotourism, emerging lately and globally as a sustainable type of tourism to
humanistic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and geological resources on the volcanic island Jeju endorsed by the UNESCO.
Secondly,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underdrawing of a sustainable place of coexistence via development of connected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s
an effort to sort out the worsening disconnection between Seongsan Ilchulbong representing tourism in Jeju Island and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Third, in that domestic research on geotourism is subjected to distinct logical
arguments and perspectives in geography, geology, geomorphology and tourism, this study elici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ties.
This study is limited to suggesting general directions without empirical efforts to shed light on the measures for activating sustainable geotourism in Jeju.
Also, regarding the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round the Seongsan Ilchulbong area, this study failed to discuss
'Developing programs for experiencing the inland waters and marine tourism' and 'Developing imaginative space with classical scholars, calligraphers and poets' due to priorities. Further studies should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delve into geotourism from the disciplinary perspectives in order to drive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and geotourism in Jeju Island in favor of
coexistence of residents with tourist attractions.
Author(s)
김범훈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00
Department
대학원 사회교육학부지리교육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과 목적 1
2. 연구 방법과 연구 지역의 설정 배경 4
3. 연구 흐름도 6
4. 주요 용어의 정의 7
5. 지오투어리즘의 국내중점외 연구 동향 9
Ⅱ.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논의 19
1. 지속가능한 관광의 이론적 배경 19
1) 지속가능한 관광의 개념과 원칙 19
2)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전략 25
2. 대중관광과 지속가능한 관광 27
1) 대중관광의 문제와 전망 27
2) 새로운 관광유형의 등장 30
3) 대중관광의 지속가능한 관광으로서의 전개 32
Ⅲ. 지오투어리즘의 지속가능한 전개와 해외 사례 34
1. 지오사이트의 개념과 현황 34
2. 지오파크의 개념과 현황 42
3. 지오투어리즘의 개념화 51
1) 지오투어리즘의 등장 51
2) 지오투어리즘의 개념과 상이한 관점 53
3) 지오투어리즘과 지속가능한 관광 59
4) 지오투어리즘과 다른 관광유형과의 관계 61
4. 지오투어리즘의 지속가능한 전개 63
5. 해외 지오투어리즘 사례 74
1) 해외 지오투어리즘 트렌드 74
2) 위험에 처한 세계자연유산 75
3) 해외 지오투어리즘 사례 79
Ⅳ.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진단과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논의 93
1. 제주관광의 변화 추이와 관광 환경의 트렌드 변화 94
1) 제주관광의 변화 추이 94
2) 관광 환경의 트렌드 변화 고찰 97
2.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진단 102
1)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 102
2)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측면 107
3)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 112
3.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논의 115
1)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원칙 116
2)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실현에 대한 불확실한 요인 117
3)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필요성 119
4) 제주지역과 국내의 지오투어리즘 현황 122
Ⅴ.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 사례 연구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을 사례로) 130
1. 비전과 목표 130
2. 사례 연구 흐름도 132
3. 지리적 여건 133
4.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 현황 137
5. 방문객 현황 139
6. 지오투어리즘 SWOT 분석 142
7.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에 대한 설문 조사 153
1) 설문 조사 개요 153
2) 성산일출봉 방문객 대상 설문 조사 결과 155
3) 전국 대학의 지리학과․지리교육과 대학원생/학부생 대상
설문 조사 결과 158
4) 제주도내 각계 전문가 대상 설문 조사 결과 162
5) 전국 대학의 지리학과․지리교육과 교수 대상 설문 조사 결과 166
6) 설문 조사 결과의 집단별 비교 분석 및 시사점 169
8. 지오투어리즘 콘텐츠 활성화 방안 177
1)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 178
2) 지형 및 지질자원 가치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190
3) 제주해녀의 삶 체험 지속화 203
4) 근현대 역사문화유산 탐방 213
5)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 231
9. 지오투어리즘 코스 개발 239
10. 지오투어리즘과 지역 공동체의 공존 모색 246
Ⅵ. 결론 250
참고문헌 255
부록 275
설문 조사에 참여한 전국 대학의 지리학과․지리교육과
대학원생/학부생 소속 대학 명단 275
설문 조사에 참여한 전국 대학의 지리학과․지리교육과
교수 소속 대학 명단 275
성산일출봉의 사례로 한 지오투어리즘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한 성산일출봉 방문객 대상 설문 조사 276
성산일출봉의 사례로 한 지오투어리즘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한 제주도내 각계 전문가 대상 설문 조사 278
성산일출봉의 사례로 한 지오투어리즘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한 전국 대학의 지리학과․지리교육과 교수,
대학원생/학부생 대상 설문 조사 280
ABSTRACT 28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범훈. (2014).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