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송악산 응회환의 분출 및 퇴적환경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ruptiv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Songaksan tuff ring, Jeju Island
Abstract
Explosive volcanic eruptions commonly result in rapid aggradation of
pyroclastic materials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allowing for the
preservation of the details of the deposition history. The Songaksan mount,
located at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sland, Korea, is a typical tuff ring
formed by phreatomagmatic activity in the middle Holocene when the sea
level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at pre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ravel the depositional processes of the 150 cm-thick basal portion of the
medial-distal rim beds of the tuff ring, which comprises nineteen units of
alternating primary and reworked volcaniclastic deposits. Primary volcaniclastic
units show pinching-and-swelling but laterally continuous bed geometry and a
variety of deposit features such as migrating megaripple bedforms, accretionary
lapilli, impact sags, and various grading patterns, suggesting deposition from
pyroclastic surges and falls in a subaeria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reworked volcaniclastic units are ripple cross-laminated and better sorted (fines
depleted) with intercalating mud drapes, indicative of reworking of volcanic
debris and winnowing of fines by marine waves and currents. These two
groups of facies alternate seven times and then pass upward into the wholly
subaerial pyroclastic surge deposit with raindrop marks and footprints of birds
on the bedding planes in between. This facies transition suggests repetitive
marine reworking of pyroclastic material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lowermost rim beds of the tuff ring in an intertidal zone.
Considering the short duration of monogenetic volcanic activity, it is inferred
that the alternating deposition of the primary (subaerial) and reworked
(submarine) units occurred within "seven days~fifteen days", and that the daily
fluctuations of the sea level due to tides were responsible for the alternation
of the facies. This study implies that coastal tuff rings and tuff cones can
provide high-resolution information of paleo-sea levels, which cannot be
obtained by the study of non-volcanic deposits.
폭발적인 화산활동은 짧은 기간 안에 국부적으로 많은 양의 화산쇄설물을 공급하여 일반 퇴적암에 비해 고해상도의 퇴적기록을 남기게 된다. 송악산은 제주 남서부 연안환경에서 형성된 응회환으로서 현세 중기(middle Holocene)에 형성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송악산 응회환 중간지역 기저부에 위치한 두께 150 cm의 층단위 A에 대한 퇴적상 분석을 통해 퇴적과정과 현세 중기의 해수면 기록을 해석하는데 있다. 최하부에 위치한 층단위 A는 화쇄난류와 낙하에 의해 퇴적된 응회암층과 파도나 해류에 의해 재퇴적된 재동층이 교호하며 나타나고, 총 19개의 세부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응회암층은 지역에 따라 두께의 차이가 있으나 측방으로 연장성이 좋으며 거대연흔(mega-ripple), 부가 화산력(accretionary lapilli), 탄낭구조(impact sag) 및 다양한 점이층리 구조를 보인다. 이와 같은 퇴적구조는 대기 하 환경에서 화쇄난류 및 낙하에 의한 퇴적을 지시한다. 반면 재동층은 다양한 방향성을 갖는 사층리와, 곡사층리, 피복된 니질층(mud drape) 등의 구조를 보여주어 연안환경에서의 재퇴적작용을 지시한다. 응회암층과 재동층은 퇴적단위 A의 하부에서 총 7번 교호하며, 상부에서는 재동층이 나타나지 않는다. 퇴적단위 A의 상부에서는 빗방울자국(rain drop mark), 새발자국(bird track), 접착연흔(adhesion ripple) 등의 퇴적구조가 나타나 전적으로 육상환경에서 퇴적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퇴적상 분석을 통하여 송악산 응회환 최하부 단위는 조간대(intertidal)환경에서 화산쇄설물의 일차퇴적과 재동의 반복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송악산 분출 당시의 해수면은 현재와 거의 동일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인 단성화산의 분출기간과 이 지역의 조석주기를 감안할 때, 송악산의 최하부 퇴적단위는 7일~15일 정도의 기간에 형성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이 연구는 화산쇄설층을 통해서 고 해수면의 위치 정보를 고해상도로 분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uthor(s)
윤우석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17
Department
대학원 지구해양과학과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2장 지질개요 4
2.1 제주도 4
2.2 송악산 5
제3장 연구방법 8
3.1 야외조사 8
3.2 입도분석 8
3.3 퇴적상분석 11
3.4 연대분석 11
제4장 연구결과 13
4.1 송악산 응회환 전체 층서 13
4.1.1 층단위 A 13
4.1.2 층단위 B 15
4.1.3 층단위 C 15
4.1.4 층단위 D 15
4.1.4 층단위 E 16
4.2 입도 분석 16
4.2.1 입도 특성 16
4.3 퇴적상분석 20
4.3.1 피복층리 응회암 22
4.3.2 거대연흔 화산력 응회암 22
4.3.3 희미한 층리 화산력 응회암 26
4.3.4 점이층리 화산력 응회암 27
4.3.5 곡사층리 화산력 응회암/응회암 29
4.3.6 언덕사층리 화산력 응회암 34
4.3.7 부가화산력 36
4.4 연대분석 38
4.5 퇴적상조합 40
4.5.1 상조합 1 41
4.5.2 상조합 2 43
제5장 토의 47
5.1 송악산 응회환 연대 47
5.2 현세중기 해수면 48
5.3 층단위 A 퇴적환경 51
5.4 송악산 응회환 분출주기 52
제6장 결론 55
참고문헌 57
국문요약 65
감사의 글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우석. (2014). 제주도 송악산 응회환의 분출 및 퇴적환경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Earth and Marine Convergence > Earth and Marine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