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濟州型 敎育福祉 프로그램이 對象學生의 自我尊重感과 學校生活適應에 미치는 影響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논문은 교육복지대상학생들의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형성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13년부터 제주도에서 전국 최초로 농어촌 지역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인 만큼 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제주의 농어촌 학생들이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의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어떻게 참여하는가에 따라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심학교 10개교의 4, 5, 6학년 각 1개 학급을 무작위로 표집하여 5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의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현재 함께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과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 및 만족도, 그리고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에 관한 설문 등 총 30문항에 대해 Likert 척도 형식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및 공분산의 값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에 따라 만족도가 높았고,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되었다. 즉 참여도와 만족도 모두 학생의 자아존중감 고취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및 공분산의 값을 분석하였더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는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지만 참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찾아볼 수 없어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을 제외하여 생각해볼 때에는 학생들의 프로그램 만족도가 참여도보다 학교생활 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인과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아존중감이라는 매개변인을 두고 생각해 볼 때에는 참여도를 끌어 올리는 것이 자아존중감 고취에 효과적이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면 이는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할 때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도도 간접적으로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제주형 교육복지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대상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면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강조하며, 학교 내 프로그램 연계 및 지역사회 외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하여 대상학생의 욕구와 필요에 의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지원 및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welfare program targeted students who need educational welfare in the Jeju typ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their participating experience and formation of their self-esteem. It also examined the effect of Jeju type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how self-esteem as a mediation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after analysis.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 began in 2013 on Jeju Island specifically in rural areas and their surrounding businesses. These business required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urthermore, research should be necessary into how rural students would participate in the welfare program, and how this would affect self-esteem and their everyday school life.
This study surveyed the type of educational welfare of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chool 10, conducting a support program that consisted mainly of grade 4, 5 and 6 classes. Each one was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of 562 peop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ed were gender, grade, and current living situ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thei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Self-esteem and school life questionnaires were also done with a total of 30 Likert scale questions created to checklis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Jeju-type educational welfar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an analysis of the value of the covariance based on particip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This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of students were analyzed. This means that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should be checked for their ongoing self-esteem and satisfaction,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was raise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value of covariance analysis was found to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 school adjustmen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s more important than the participation affected in school adjustment when did not consider the mediation becaus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articipation is not found.
Thirdly,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results statistically betwee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at those tha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ir self-esteem can affect the general school adjustment. Thus, raising satisfaction is effective in raising self-esteem when considering the self-esteem as a mediation. Also, when self-esteem is enhanced this gives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thi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hool's adjustability.
In this study, the inter-working between Jeju-style educational welfare and student satisfaction is shown to improve a student's self-esteem. Stud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fluence, indirectly, the school adjustment when their self-esteem is taken into account. The study emphasizes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when improving self-esteem.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school programs and community programs further strengthen the network with external organizations. This will create a varied and ongoing support that caters to the wants and needs of students and the needs for developing a customized training program.
Author(s)
오수선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28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제주형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7
2. 자아존중감 15
3. 학교생활적응 19
4.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모형 33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4
3. 측정도구 34
4. 자료 분석 47

Ⅳ. 연구 결과 52
1. 연구모형에 의한 적합도 측정 분석 결과 52
2. 연구모형 적합도 측정에 따른 수정 모형의 분석 결과 60
3. 성별에 따른 각 요인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64
4. 가족사항에 따른 각 요인별 인과관계 분석 결과 66
5. 연구결과 요약 69

Ⅴ. 결론 및 정첵 제언 72

〈참고문헌〉 74
〈부록: 설문지〉 78
〈ABSTRACT> 8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오수선. (2014). 濟州型 敎育福祉 프로그램이 對象學生의 自我尊重感과 學校生活適應에 미치는 影響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