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 및 학교적응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감사
성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애착,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 간에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연구문제 2. 부애착과 삶의 만족 및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를 감사성향이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3. 모애착과 삶의 만족 및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를 감사성향이 매개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내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5곳을
유의 표집하여 남녀 고등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최초 634명을 대상
으로 부·모 애착,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고 그 중 548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PPA)를 수정한 개정본(IPPA-R)을 옥정
(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감사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로는
McCullough 등(2002)이 개발하고, 권선중 등(2006)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로는 Diener 등(1985)의 삶의 만족
척도(SWLS)를 김정호(200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 도구로는 김용래(2000)가 개발한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애착은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모애착도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감사성향은 삶의 만족,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애착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는 감사성향에 의하여 완전매개 되었으며, 부애
착과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도 감사성향에 의하여 완전매개 되었다.
셋째, 모애착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는 감사성향에 의하여 부분매개 되었으며, 모애
착과 학교적응 사이의 관계도 감사성향에 의하여 부분매개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을 높이고 학교적응을 증진시키
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을 할 때 단기간에 변화시키기 어려운 부모애착의 안정성
대신 감사성향에 대한 개입을 하면 삶에 더 만족하고 학교적응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mediating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on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have been formulated.
Study Problem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Study Problem 2: Could gratitude disposition mediate a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Study Problem 3: Could gratitude disposition mediate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answers for these study problems, femal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situated in Jeju were chosen as subjects of the study.
At first, 634 subjects were surveyed on their parent attachment,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and only 534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study, the revised version (IPPA-R) of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ar Attachment
(IPPA), developed by Armsden and Greenberg(1987) and adopted by Ok Jung (1998) was
used, and the Korean Gratitude Questionnaire Six Item Form, developed by McCullough et al
(2002) and adopted and validated by Gwon Sun Joong (2006)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ed by
Diener et al (1985) and adopted by Kim Jung Hoh (2007) was used and the School Adaption
Scale, developed by Kim Yong Rae (2002) was used for measuring the school adaption.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 to the structure equation modelling analysis, by using SPSS
for Windows 18.0 and AMOS 20.0 program on the computer.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Also, father attachment is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and mother attachment is also
reveal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Gratitude disposition is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Second, a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could be completely
medi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and a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ion is also completely medi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could be partially
medi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and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ion is also partially medi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From these study results, it could infer that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made with the consultation, in gratitude disposition could make mo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with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an intervention in
stability of parent attachment, which cannot be chan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uthor(s)
김선희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35
Alternative Author(s)
Kim, Sun-heui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부모애착 8
2. 감사성향 13
3. 삶의 만족 14
4. 학교적응 15
5. 부모애착, 감사성향, 삶의 만족, 학교적응 간의 관계 17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모형 21
2. 연구대상 22
3. 연구도구 22
4. 연구절차 25
5. 자료처리 및 분석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1. 주요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량 28
2. 탐색적 요인분석 29
3. 부·모 애착, 감사성향,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의 상관관계 30
4. 측정모형 분석 32
5. 구조모형 분석 35
6. 최종모형에 대한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 39
Ⅴ. 논의 및 결론 41
참고문헌 47
Abstract 60
부 록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선희. (2014).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