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 of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확신
성, 독립성, 관여성, 진로정보처리능력, 현실조화성)에 대한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에니어그램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
였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제주시에 위치한 A중학교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참여를 희망하는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무작위
12명을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의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진로전문가 및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의 특성에 맞게 재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회기 50분씩 8회기를 걸쳐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는 SPPS WIN 18.0에서 t-test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미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 집단간 t-검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집단간
t-검증을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
의 경험보고서와 구성원들의 변화과정을 기록한 관찰일지를 바탕으로 하위요인
별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둘째,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의 하위요
인(확신성, 독립성, 관여성, 진로정보처리능력, 현실조화성) 중 확신성, 진로정보
처리능력, 현실조화성 요인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 하게 향상되었
다. 하지만 관여성, 독립성 영역에서는 평균점수에서는 향상은 있었지만 유의미
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양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살펴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및 인터뷰를
분석해 본 결과 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
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is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for sub-areas(certainty, independence, relevance, career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reality harmony)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
According to such research question, we set the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career matur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femal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Jeju City, Jejudo and 24 students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12 stude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Taking advice from career professionals and advisor ba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f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this researcher, this researcher reconstituted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o conduct the program. Each session of the
program is 50 minutes and a total of 8 sessions were carried out. The
data of this data was processed by using t-test in SPPS WIN 18.0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0.05. In order to analyze the
homogeneity before conducting the program, t-test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test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o
analyze treatment effect of the program. In order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study,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sub-factor based on the experience reports of group
members and observation journal to record the change process of
membe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in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1).
Second, of sub-factors(certainty, independence, relevance, career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reality harmony) of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Enneagram career exploration
program, changes in certainty, career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reality harmony factors improv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average score was improved in the relevance and
independence are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experience reports and interviews of group members
examined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ult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this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uthor(s)
좌영자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37
Alternative Author(s)
Jwa Young-ja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1. 중학생의 진로단계 5
2. 에니어그램 6
3. 진로성숙도 13
4. 에니어그램과 진로탐색 20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실험설계 23
3. 연구도구 24
4. 연구절차 28
5. 자료처리 및 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검증 31
2. 가설검증 33
3. 질적분석 41
Ⅴ. 논의 및 결론 51
참고문헌 56
Abstract 60
부 록 63
1. 검사도구 64
2. 진로탐색프로그램 및 활동지 69
3. 프로그램 평가서 8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좌영자. (2014). 에니어그램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