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dolescent' Using Degree of Smart phone on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Abstract
이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가장 높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법을 지도하고, 대상에
맞는 적절한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예방하고 긍정적
인 온라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대책을 세우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가설 1-1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차이가 있는가?
가설 2-1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2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3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차이
가 있는가?
가설 3-1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2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3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또래관계, 온라인 의사소통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가설 4-1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또래관계, 온라인 의사소통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5-1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온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설 6-1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온라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 학생 1,277명 중 응
답이 누락된 것,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1,020부(80%)를 분석하여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for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통
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
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측정변인의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 또래관계, 온라인 의사소통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는 여학생(2.00)이 남학생(1.77)보다 0.23으로 더 높았으며, 학년별로는 고등학교 2학
년이 평균 2.03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2학년(1.88), 중학교 1학년(1.8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는 또래관계와 부적상관을 나타내 스마트폰 사용정
도가 높아질수록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의사소통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높을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을 부
정적으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은 부적상관을 나타
내어 서로 관련이 없다고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에 부적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 스마트폰 사용 수
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라 또래관계를 비교해보면 중학교 1학
년이 4.21로 가장 높고 중학교 2학년(4.17), 고등학교 2학년(3.99)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
트폰 사용 수준 집단을 고위험군, 잠재위험군, 일반사용자군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일반사
용자군 청소년이 4.17로 또래관계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또래관계에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위험군 청소년은 3.96, 고위험군 청소년은 3.81로 나타나 스마트폰 고위
험군으로 나타난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온라인 의사소통에 정적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
라서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높아질수록 부정적 온라인 의사소통을 많이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정적 온라인 의사소통을 하고 있고, 학년별 온라인 의사소
통을 살펴보면 고등학교 2학년이 1.82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2학년(1.73), 중학교 1학
년(1.67) 순으로 나타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의사소통을 부정적으로 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 수준 집단의 온라인 의사소통은 고위험군 청소년이 2.83으로 가장 높았
고, 잠재위험군 청소년 2.24, 일반사용자군 청소년 1.67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이 온라인 의사소통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많아짐에 따라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고, 스마트폰 사용수준 집단 중 고위험 사용자일수록 스마트폰 모
바일 사용 1위로 나타난 모바일 메신저 즉 문자나 SNS를 포함한 온라인 의사소통을 부
정적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살펴보고 추후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icked since they use the smartphone the most, out of other age r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set up social measures
to teach adolescents how to use smartphone properly, to prevent overuse of
smartphone by developing and providing proper prevention program for target,
and to make adolescents able to use positive on-line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Is there any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Hypothesis 1-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Hypothesis 1-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rade.
Is there any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smartphone use?
Hypothesis 2-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Hypothesis 2-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rade.
Hypothesis 2-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martphone use.
Is there any difference in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smartphone use?
Hypothesis 3-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Hypothesis 3-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rade.
Hypothesis 3-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martphone use.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use,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Hypothesis 4-1 There will be a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Does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ffect peer
relationship?
Hypothesis 5-1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will affect peer relationship.
Does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ffect on-line communication?
Hypothesis 6-1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will affect on-line
communication.
Survey was based on 1,27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go to school
located in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xcept omissions and
ndependable data, 1,020 (80%)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concret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o se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stud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hen, to verify scale confidence, coefficient
Cronbach's was calculated and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was analyzed.
Second, to se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use,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Lastly, to confirm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on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Smartphone use of female students (2.00) is 0.23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1.77) according to gender. The second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used smartphones the most as 2.03 average and the second grade of
three grades (1.88) and the first grade of three grades of middle school (1.81)
are following.
Second,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peer
relationship. The more they use smartphone, the more nega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ine communication. The more they use smartphone, the more they use negative
on-line communication. However, peer relationship and on-line communication have
negative correlation showing they do not have any relationship.
Third, that smartphone use of adolescents affects peer relationship negatively
is confirmed.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but
there is according to smartphone use. Comparing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grade, the first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s the highest as 4.21 and the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4.17) and the second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3.99) are following. When group of smartphone use is categorized
into high risk group, potential risk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adolescents in
general user group has the highest average peer relationship score as 4.17
showing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Adolescents in potential risk group
scored 3.96 and adolescents in high risk group scored 3.81. From the result,
adolescents in high risk group have nega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Fourth, that smartphone use affects on-line communication positively is
confirmed. Thu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more they use smartphone, the
more they use negative on-line communication. Female students have more
negative on-line communication than male students. Comparing on-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grade, the second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is
highest as 1.82 and the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s (1.73) and the
first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1.67) are following. From the result, the
higher grade they become, the more they use negative on-line communication.
Adolescents in high risk group has the highest score as 2.83, adolescents in
potential risk group scored 2.24, and adolescents in general user group scored
1.67 in on-line communication of smartphone use group. This shows that
adolescents in high 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use negative on-line
communication.
In summary, the more adolescents use smartphones, the more nega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And the more they become a high risk user in smartphone
use, the more they use on-line communication negatively including mobile
messenger (which is the number one in smartphone mobile use, i.e. texts or
SN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reviewe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Author(s)
강현순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45
Alternative Author(s)
Hyun-Sun Ka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스마트폰 8
가. 개념 8
나. 청소년과 스마트폰 10
다. 스마트폰 사용정도 12
2. 또래관계 13
가. 개념 13
나.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14
3. 의사소통 16
가. 개념 16
나. 온라인 의사소통 17
4.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른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 19
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른 또래관계 19
나.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른 온라인 의사소통 21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도구 24
3. 연구절차 27
4. 자료처리 및 분석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스마트폰 사용정도 29
2.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또래관계 차이 30
3. 성별, 학년,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 차이 31
4. 스마트폰 사용정도, 또래관계, 온라인 의사소통의 상관관계 32
5.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33
6.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온라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34
Ⅴ. 논의 및 결론 35
1. 논의 35
2. 결론 42
참고문헌 45
Abstract 54
부 록 설문지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현순.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