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인과적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of undergraduate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
성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
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인과
모형에서, 변인 간 인과적 관계가 적합한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대학생으로 표집하
면서, 심리학과 학생들을 임의 표집하였다.
전국의 대학교 중 한국심리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39개교 심리학 관련 4년제
대학 중 먼저 학과 교수와 조교에게 협조를 구하고 승낙한 학교 11개교 재학생 595명과 제주도내 4년제 대학 중 1개교 재학생 60명으로 총 4년제 대학 12개
교 재학생 655명을 임의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1월 7일부터 12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655명 중
588명의 자료가 회수되어 89.7%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일부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45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어 자료 유효율은 76.8%
을 보였다.
조사 도구는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인구통계학
적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치
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과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 자아
탄력성을 규명하는데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평균 등의 기술적 통계를 사용
하였다. 또한 변인간의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와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
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모든 분석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
은 5%로 설정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 간의 가설적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관계를 예측
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애착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
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각각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
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애
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은 동시에 유의미한 간
접효과가 있었으며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 간의 인과적
모형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여 변인간의 인과관계가 적합하다고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
쳤으나, 부모애착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부모와의 안
정적인 애착관계가 대학생 시기에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다른 변인
들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을 매개로 자아탄력성
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기반으로 자
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이 함께 강화되어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아
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은 심리적 독립을 매개로 자아탄력성에 직, 간접
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위로능력에서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심리적 독립 수준도 함께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생 시기는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사이에 개인내적인 변인인 자기위로
능력, 심리적 독립 변인 외에 다른 변인들과 외부적인 여러 변인들의 작용할 가
능성이 있기에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외부 요인을 함께 고려한 연
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위로능력 측정 도구를 다수의 연구자가 일부 하위변인을 제외하여
사용하거나 일부 문항을 재구성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신뢰도가 낮은 편이다. 그
러나 다양한 대상들에게서 변인간의 관계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점을 감안
한다면, 자기위로능력 이론을 바탕으로 한 자기위로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검
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 시기에 이르러서는 어린 시절에 형성된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사이에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 변인 외에 다른 내·외적 변인들의 작용할
가능성을 고려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상담 및 프로그램 등을 구상하여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 the
researcher established research subjects as follows.
Research subject 1. Is the causal relationship proper, in the causal model
of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Research subject 2. What i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Research subject 3.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undergraduates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in relation with parental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Collection group of this research was composed of the sampling of
undergraduates of the whole nation to procure representativeness, and
randomly collected students of psychology department.
The researcher randomly collected 655 students from total 12
universities, 595 students from 11 universities which first approved
upon the request for cooperation of the department professors and
teaching assistants among the 39 universities related to psychology
department over the country, registered i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60 students from 1 among the universities in Jeju-do.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7 to December 20,
2013, data of 588 students among 655 were collected, which showed
89.7% collect rate, however, the data of 452 students excluding
non-response or unreliable response were utilized for final analysis, so
that data effective ratio showed 76.8%.
As the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composed of investigation
questions specific with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ego-resili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As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e.g.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verage, etc.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Also, in order to investig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suitability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Windows and AMOS 20.0 program, and for all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treated by setting 5%.
In conclusion, first, suitability of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the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appeared to be proper for
anticipating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econd,
undergraduates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ositively
influenced ego-resilience, however, parental attachment had no influence
on ego-resili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appeared to have meaningful indirect effect, and
have full mediation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sooth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psychological
separation appeared to have meaningful indirect effect, and have full
mediation.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appeared to
have meaningful indirect effect simultaneously, and have partial
medi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all causal model suitability among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soothing abilit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ego-resilience
appeared suitabl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s proper.
Second, undergraduates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ositively influenced ego-resilience, however, parental attachment had
no influence on ego-resilience.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re are
other variables in the influence of stable parental attachment on
ego-resilience.
Third, undergraduates parental attachment indirectly influenced
ego-resilience by the mediation of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Therefore, psychological separation must be reinforced along
with soothing ability based on stable parental attachment in order to raise undergraduates ego-resilience level.
Fourth, undergraduates soothing ability influenced ego-resilience
directly/indirectly by the media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undergraduates ego-resilience,
psychological separation level also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some
points for follow-up researches as follows.
First, college period has the possibility of the operation of other
variables and the variables from the outside besides personal inner
variables, e.g.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variable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therefore, a research
which considers both inner·outer factors to improve ego-resilience is
necessary.
Second, several researchers use soothing ability measurement tool by
excluding some sub factors or reconstituting some questions, however,
reliability thereof is relatively low.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result
appeared that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ppeared meaningful
on various objects, soothing ability criterion development based on
soothing ability theory and validity verification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respect of the college period, a research is necessary, which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the operation of other inner·outer variables
besides sooth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variable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which were formed during the
childhood,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consultation, program, etc.
considering these factors and implement in consultation or psychological
treatment field and proceed along with this.
Author(s)
김애경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47
Alternative Author(s)
Kim Ae Kyo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부모애착 8
가. 애착 8
나. 부모애착 10
다. 부모애착의 선행연구 12
2. 자기위로능력 14
가. 자기위로능력 14
나. 자기위로능력과 대상관계이론 18
다. 자기위로능력의 선행연구 22
3. 심리적 독립 26
가. 심리적 독립 26
나. 심리적 독립의 선행연구 32
4. 자아탄력성
가. 탄력성의 개념 34
나. 자아탄력성 38
다. 대학생활과 자아탄력성 41
라. 자아탄력성의 선행연구 43
5.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관계45
가.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45
나. 자기위로능력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46
다.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47
라. 부모애착과 자기위로능력의 관계 48
마.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의 관계 50
바.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의 관계 51
Ⅲ. 연구방법 54
1. 연구모형 54
2. 연구대상 55
3. 측정도구 57
4. 자료분석 6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65
1. 기초자료 65
2. 측정모형 분석 70
3.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분석 및 모형 수정 74
4.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영향 관계 82
5.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84
Ⅴ. 논의 및 결론 88
1. 논의 88
2. 결론 94
참고문헌 98
Abstract 114
부 록 11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애경. (2014). 대학생의 부모애착,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독립과 자아탄력성의 인과적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