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중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인터넷 과다사용 경향이 있는 중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길림성 연변자치주 연길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2)에서 개발․보급한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된 점수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고위험 사용자군에 해당되고,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0명을 선생님과 부모님의 동의를 얻어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지 않은 초등학생 10명을 무선 표집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은 인터넷 과다사용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향상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초등 고학년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과 이선미(2008)가 사용한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 이몽숙(2009)이 개발한 초등학생을 위한 자기통제력 향상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중국 연변지역 초등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맞도록 게임과 놀이를 접목하고 수정·보완하여 총 8회기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자기통제력의 하위영역인 사려숙고성, 과제인내, 유혹저항, 정서통제, 친구관련통제, 교사관련통제 속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박사 과정 2분과 논의를 이루고 지도교수에게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구성 되었는지 자문을 요청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 분석은 Windows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감문 분석과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에 있어 인터넷 중독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둘째,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에 있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을 감소시키고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test the role of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in terms of internet addiction and self-control targeting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 tendency to overuse internet. To achieve this purpose, two separate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below.

First, what kind of affect does the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much influence does the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have on self-control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a research group, internet self-diagnostic test developed and provided by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2)wasconductedfor5thgrade258studentsfromGelementaryschoolinYanji, Yanbian, Jilin, China. And among those potential and high risk users based on the test results, 1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with parents' and teachers' consents. The controlling group of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ones who did not want to join the program.
The experiment was restructured for total eight times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o meet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fting play and game onto Internet game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for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Self-controll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play that Sumi Lee employed (2008), and self-control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Mongsook Lee (2009).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nclude subcategory of self-control such as thoughtful consideration, assignment endurance, temptation resistance, emotion control, friend related control and teacher associated control, and to check the validity of this program, consultation with other two Ph.D. candidates and advising professor were carried out, finalizing the program.

The resulting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Windows SPSS 18.0 program. And to make up for limited credibility of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investigation of postscript and researchers' observation contents were suggested.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of all,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internet addiction in post and later review of an experimental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Secondly, self-control increased meaningfully in post and later review of an experimental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proven that play based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is efficient in diminishing internet addiction and elevating self-contro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rogram implemented for this research has positive implications on proper internet u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이성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52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중국 초등학생 5
2. 인터넷 중독 7
3. 자기통제력 10
4.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 13

Ⅲ. 연구방법 15
1. 연구대상 15
2. 연구설계 15
3. 연구기간 및 절차 16
4. 연구도구 16
5. 프로그램의 구성 20
6. 자료처리 2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3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3
2. 인터넷 중독 수준의 변화 25
3. 자기통제력 변화 27
4. 프로그램의 효과 지속성 검증 30
5. 소감문 및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분석 33

Ⅴ. 논의 및 결론 41
1. 논의 41
2. 결론 43




참고문헌 46

Abstract 50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성. (2014). 놀이중심의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중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