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부부의 부부이해도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on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 Marriag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Married Couples
Abstract
본 연구는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갈등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 부부의 부부이해도와 결혼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부부이해도와 그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만족도와 부부갈등 대처방법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결혼만족도와 그 하위영역인 생활만족, 애정, 헌신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부갈등과 불화로 인해 본 센터에서 상담을 받은 부부 50여 쌍 중 실험참여를 원하는 자발적 부부 7쌍과 권유로 참여한 8쌍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실험을 원치 않는 부부 15쌍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경성과 한덕웅(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부부이해도 측정 도구로는 의사소통방식검사- Bienvenu(1970)이 개발하고, 김진희(1998)가 검증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 대처방식 검사- Porter &O'Leary (1980)이 개발한 도구를 이주경(1999)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은 Rosenberg(2003)의 비폭력대화(NVC)모델을 기본으로 캐서린 한(2008)이 번역한 '비폭력대화'와 루시루(2008)의 강의를 토대로 해서 박현진(2007)이 만든 '대화가필요해' 자료를 참고해서 다문화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구성 하였다.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은 매회기 12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효과의 질적 분석을 위해 프로그램 매 회기별 내용 활동지, 사전 사후 조사,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등과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부부이해도에 대한 양적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남편과 아내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제집단의 남편과 아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적 분석에서 소통의 중요성을 알고 갈등의 상황에서도 회피나 공격이 아닌 자신을 잘 표현함으로써 부부갈등의 완화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폭력 프로그램 실시 이후 실험집단의 부부이해도가 질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며,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혼만족도에 대한 양적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남편과 아내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통제집단에서의 남편과 아내는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질적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이루어졌으며, 갈등 상황이지만 결혼생활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더 많이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졌음을 나타내며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부부의 부부이해도 및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갈등을 겪는 다문화 부부의 부부이해도와 결혼만족도를 높여 갈등을 완화시키고 갈등상황을 잘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서 건강한 가정을 영위해 나갈 수 있게 비폭력 대화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who experienced the conflict. For that,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set:

(Research Issue 1) Is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effective in increasing the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raising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improving the method of response to marital conflict which belong to the subdomain?

(Research Issue 2) Is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effective in raising the marriage satisfaction level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affection, and sacrifice which belong to the subdoma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7 voluntary married couples who ha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and 8 married couples who participated upon the recommendation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of 15 married couples who did not wa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among about 50 married couples who received
the counseling from this center for reason of marital conflict and discord.
To measure the marriag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study by Lee Gyeong-seong and Hang Deok-woong(2001). For the tool to measure the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on method test used the measuring tool which had been developed by Bienvenu(1970) and validated by Kim Jin-hee(1998) while the marital conflict response method test used the tool that had been developed by Porter &O'Leary (1980) and translated by Lee Joo-gyeong(1999).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was restructured by this researcher by referring to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translated by Catherine Han(2008) based on the non-violence conversation(NVC) model of Rosenberg(2003) and 'Conversation in Need' created by Park Hyeon-jin(2007) based on the lectures of Lucy Liu(2008).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n 8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20 minutes. To validate the effect of program,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Moreover,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observations by this researcher, along with the activity sheets for each session of program, pre and post-investigation, satisfaction survey, testimonials after the completion of program, etc., in order to conduct the qualitative analysis examining the effect of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suggested that the husbands and wives in the experiment group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 while the husbands and wive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exhibit any difference.
Specifically,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e intention of married couples to mitigate the conflict based on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y articulating themselves effectively even in the midst of conflict without eluding the situation or resorting to violence. Such results imply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in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non-violence program, and also suggest that such program was effective on both husband and wif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marriag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husbands and wives of the experiment group exhibited significant change in pre and post-test while the husbands and wives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exhibit any difference. Such results were similar to the findings of qualitative analysis, and suggested greater intention to sustain the marriage life even in the midst of conflict situations. Those results showed an improvement in marriage satisfaction among the married couples of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and suggest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both husband and wife.

Based on aforesaid results,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and marriag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married couples.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structured and presented the non-violence conversation program and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gram conducive to increasing the married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and marriag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married couples who experience conflicts, thereby mitigating the conflict and ensuring effective response to conflict situations, ultimately helping them lead healthy family lives.
Author(s)
강미숙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68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가정의 개념 및 현황
가. 다문화 가정의 개념 5
나. 다문화 가정의 현황 6
다.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 8
2. 부부이해도
가. 부부이해도 개념 13
나. 다문화부부 부부이해도 15
3. 결혼만족도
가. 결혼만족도 개념 17
나. 다문화 부부 결혼만족도 18
4.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가. 비폭력대화의 개념 20
나. 비폭력대화의 구성요소 22
다. 비폭력대화 선행연구 24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6
2. 측정도구 26
3. 자료수집 및 절차 28
4. 자료 분석 방법 29
5. 자료처리 29
6.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가. 프로그램 구성 30
나.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양적 분석결과 34
2. 질적 분석결과 39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57
2. 결론 61

참고문헌 64

Abstract 69

부록
부록 1. (다문화 가정 아내용) 부부이해도,결혼만족도,사회생활, 친구관계, 일반적 사항 설문지 72
부록 2. (다문화 가정 남편용) 부부이해도,결혼만족도,사회생활, 친구관계, 일반적 사항 설문지 77
부록 3. 회기별 관련 선행연구 및 재구성 내용 82
부록 4. 프로그램 실시 후 소감문 86
부록 5.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교육내용 및 활동지 9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미숙. (2014).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부부의 부부이해도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