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통일 이후 남북교육행정체제 통합방안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박근혜 정부는 다른 정부와는 다르게 통일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2013년 5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여 남·북 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DMZ)에 평화공원을 설립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지대를 가장 평화로운 곳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었으며, 2014년 3월에는 독일에서 '드레스덴 통일 구상'을 발표함으로써 구체적인 남북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은 북한의 긍정적인 반응을 전혀 없지 못하였다.
따라서 통일의 모든 정책은 양 체제가 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준비가 필요로 한다. 예시로, 독일은 동독과 서독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일비용, 그리고 생활수준 차이에서 나타나는 패배감과 열등감과 같은 괴리감이 깔린 의식의 차이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이 준비 없이 나타났다.
남·북한 또한 독일과 같이 통일 된다 하여도 통일 후 발생할 문제점들은 통일 전 남·북한이 겪고 있는 갈등들, 그리고 독일이 경험했던 문제점들보다 크게 다가올 것이다. 왜냐하면, 남·북 분단은 벌써 60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렀기 때문이다. 이 기간에 남·북한은 같은 한 민족이라고 하지만 언어, 사회, 문화, 경제, 그리고 역사 등에서 너무나도 큰 이질성과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않고는 통일을 이루기는 힘들 것이다. 설사 통일을 이룬다 하여도 그에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나 통일의 비용은 독일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클 것이라 예상된다.
이 같은 맥락에서 통일정책은 사회적 문제에 대비하할 수 있는 방안들이 되어야 할 것이며 그 중심은 교육통합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은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평화를 수반할 수 있는 영역이며 교육 통합을 위한 협력은 정치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문제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통일에 대비한 다양한 교육통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실제적으로 중요한 교육행정체제 통합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지 않았을 뿐더러 연구가 되어졌더라도 일시적인 연구에 그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남북한 교육행정체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독일의 통합 사례, 남북한 교육체제 비교 및 협력사례를 조사하여 교육행정체제 통합 방안을 제시하는데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교육행정체제 통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교육행정체제 준비 단계로서 남북한의 교육행정체제의 현황파악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행정체제 공동연구 및 학술발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남북 교육관계자의 상호 방문 및 인적교류가 활발히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교육행정체제 연계단계이며 이를 위하여 교육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교육거버넌스의 형태는 남북한 정부와 북한정부의 교육기구 설치, 남북한정부와 민간단체의 교육협력 기구 설치, 그리고 남북한 정부와 국제기구와의 북한 교육환경 협력을 이루어냄으로써 북한과의 정치적인 교육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통일국가로서 교육행정체제 통합 단계이다. 이 시기는 남북한 두 체제가 완전히 하나의 교육 공동체로 형성하여 통합된 중앙교육행정체제와 지방교육행정체제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중앙교육행정체제는 북한의 독재기관의 폐지로 교육성을 유지한채 북한의 교육을 계속 담당할 것이며 교육공무원제도를 재정립함으로써 교육행정통합의 과도기 시간을 줄여나가는 필요가 있다. 지방교육행정체제는 각 도의 자율성과 자주성 지역성을 보장함으로써 종적인 구조에서 횡적인 구조로 구축해야할 것이다.
President Park Geun-hye visited America and showed her intention to build Pyeonghwa Park in the DMZ, the symbol of Korea's national division, in order to convert the most dangerous zone in the world into the most peaceful place. And in March, 2014, she unveiled her 'Dresden Unification Vision' in Germany and presented concrete measures for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such policies of hers have not gained any positive responses from North Korea at all.
This means that every policy for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prepared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systems. For instance, in Germany, they did not prepare for any social problems regarding the cost of unification to be incurr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or their awareness of difference causing a sense of defeat and sense of inferiority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their living conditions.
Even if North and South Korea become unified like Germany, the problems that may occur after the unification would be greater than either the conflicts that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experiencing before the unification or the problems that Germany did experience then. It is because it has been already 60 years since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During this period,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exhibiting so much difference and heterogeneity between them in terms of language, society, culture, economy, or history though it has been one nation. Without solving these problems, it would be hard to realize national reunification. And even if we can achieve un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problems or cost of unification resulted from that would be even greater than those of Germany.
Within this context, we can see that unification policy should be the one that can cope with those social problems, and it should be based on educational integration. Education is the area that is politically neutral and future-oriented and can be accompanied by peace. And through cooperation for educational integration, we can solve problems that cannot be easily settled down politically. As a matter of fact, research has been diversely conducted for educational integration to cope with unification; however, it has hardly dealt with the integration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which is practically important and has ended up being temporary research though it has been attemp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ays to build a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For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Germany's cases for integration, compared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s,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them in order to use the data for analysis to provide measures to integrate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nd the study has found out ways to integrate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s follows: first, as a step to prepare for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based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t is needed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To realize it, it is necessary to conduct joint research and hold conferences regarding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nd those concerned in educ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visit each other and promote personal exchanges aggressively.
Second, as a step to connect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it is necessary to build educational governance. Regarding the form of educational governance, we can attain education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politically by building North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installing North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and private institutions' organizations for educational cooperation, and also achieving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the environment of North Korean education.
Third, it is a step to integrate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s a unified nation. In this period, the two systems of North and South Korea form a complete education community and have both central and local integrat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fter the abolition of dictatorial government in North Korea, the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will maintain its educational function and continue to perform North Korean education. And by reestablishing the public educational official system, it is needed to shorte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integrate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s. And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hould be built in a horizontal, not a longitudinal structure by securing each province's autonomy, independence, and regionality.
Author(s)
이상헌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70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3. 연구의 방법 3
4. 연구의 제한점 3

Ⅱ. 남북 교육행정체제 통합의 이론적 배경 5
1. 교육행정체제의 정의 5
2. 통일의 정의 7
3. 통합의 정의 11
4. 통합이론의 적용 16

Ⅲ. 독일의 교육통합 및 협력 사례 20
1. 통일 이전 동서독의 교육체제 20
2. 통일과정에서 동서독의 교육협력 26
3. 통일 이후 동서독 교육통합 30

Ⅳ. 남북 교육체제 비교 및 교육협력 사례 36
1. 남북한 교육체제 비교 36
2. 남북 교육협력 사례 54

Ⅴ. 남북 교육행정체제 통합방안 70
1. 통합의 기본방향 70
2. 남북 교육행정체제 통합방안 74

Ⅵ.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상헌. (2014). 통일 이후 남북교육행정체제 통합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