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Adolescent Dropou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었으
며, 구체적으로는 이 과정에 작용하는 적응요인과 적응단계 및 적응유형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럼으로써 그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들의 적응수준을 효과적
으로 높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1.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이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해가는 과정에 개입하
는 적응 요인들은 무엇인가?
2.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은 어떤 단계를 거쳐 적응해 가는가?
3.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규 중 고등학교를 그만 둔 후 1년 이상이
경과된 청소년 42명을 대상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36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자
료와 6명을 대상으로 한 생활수기 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접근 방
법(Strauss & Cor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결과 151개의 개념과 46개
의 하위범주, 그리고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의거하여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과적 조건인 '동기화'와 '트라우마', '비행'으로 인해 학업중단 경험 청
소년은 '예지(豫知)적 불안'과 '현상(現狀)적 두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지력'과 '관계 경험'이 학업중단 청소년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인 '예지적 불안'과 '현
상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처하는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방해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지원혜택 누림'과 '자극', '개인 내적
변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중재적 조건의 영향으로 참여자들은 '도전하기'와 '탈출하
기', '시도하지 않기'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성장'과 '미해결'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범주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 짓는 과정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방종단계',
'자각단계' '변화시도 단계', '재정립 단계', '도약단계'를 거쳐 성장해가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변화시도 단계에서 시행착오에 대한 대안을 찾지 못했을 때는 재정립 단계
로 진입하지 못하고 '안주단계'에 머물게 되고 '미해결'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넷째, 이러한 적응과정에서의 핵심범주는 '불안조절을 통한 정체성 확립'이었다.
다섯째, 분석과정을 통해 드러난 중심현상과 인과적 조건, 맥락, 중재적 조건, 작용/
상호작용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근거자료와 지속적으로 대조하면서 기술한 결과로서
핵심범주와 관련된 가설들이 형성되었다.
여섯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유형에는 자아실현형, 목표추구형, 과도
기형, 무기력형, 탈출형이 있었다. 각 유형은 그 유형에 속하는 청소년의 주요 욕구와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며, 적응과정상의 현재 상태 및 그 특성이
어떤지를 나타내준다.
일곱째, 범주화 분석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이 심리사회적으로 적응해가는 과정에 기
여하는 적응요인에는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었다. 개인적 요인에는 학업중
단 청소년 자신의 진로성숙, 성취경험, 의지력과 도전성, 성찰력, 목표의식, 자기조절
능력, 자아존중감, 긍정성 등이 있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새롭고 의미 있는 관계경
험 제공, 진로탐색 및 활동경험 기회제공, 상담, 학습지원 등을 포함하는 경험적 지원,
그리고 입시정보와 기관정보, 진로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제공, 매체자극, 또래자극,
가족자극 등이 있었다.
여덟째, 상황모형 분석결과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수준을 높이려면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경험실체를 파악하고, 학업중단
이후 적응과정을 심도 있게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
중단 청소년이 자신의 새로운 삶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개입전략들
을 개발하는 데 기초 지식을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계진술문
들은 후속 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증은 궁극적으로 학업중단 청소년
에 관한 지식 기반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adolescent dropouts, specifically, investigating the factors, the
stages, and the types of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logical
evidence to effectively support and elevate the adjustment condition for the
adolescent dropouts. In order to reach these goal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adolescent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s?
1. What are the factors tha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of
adolescent dropouts?
2. What stages do adolescent dropouts go through to adjust to their
new lives?
3. What types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re observed among
adolescent dropou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stated abov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42 youths who have been spending more than one year
after dropping out of a regular middle or high school. Interview data of 38
participants and diaries of six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and Corbin, 1998).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 coding identified 151 concepts and 46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categories emerged
from open-coding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ed theory paradigm, indicated
that adolescent dropouts experienced 'precognitive anxiety' and 'fear for
current situation' due to the causal conditions of 'motivation', 'trauma' and
'delinquency'. Also, 'willpower' and 'relationship' played as the contextual
factors for affecting the main phenomena of 'precognitive anxiety' and 'fear
for current situation' that adolescent dropouts experienced.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exacerbated or relieved the main phenomena were 'receiving
support', 'stimuli' and 'interindividual factors'. In addition, as an effect of the
intervening conditions, participants us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f
'giving a challenge', 'escaping', or 'not trying'. The consequence of using such
strategies was either 'growth' or 'being unsettled'.
Third, process analysis, which connects th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growing by going through the
stages of 'self-indulgence', 'awakening', 'attempt to change', 'reestablishment',
and 'take-off'. However, during the stage of 'attempt to change', if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after trials and errors was not found, adolescent
dropouts could not proceed to the next stage of reestablishment, and remained
in the 'complacency stage' with unsolved problems.
Fourth, the main category during the adjustment process wa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through anxiety control'.
Fifth, the hypotheses on the main categories were developed by thoroughly
examining the results, which include the main phenomena,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ased on qualitative data.
Sixth, the types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dropouts
included 'self-realization', 'goal-orientation', 'transition', 'lethargy', and 'escape'.
Each type shows the major needs and the methods of satisfying those needs
of the adolescents who belong to it. Each type also demonstrates the
participants'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in the adjustment process.
Seventh, the results of categoriz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d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dropouts. Individual factors included career maturity,
accomplishment experiences, willpower and sense of challenge, reflection, a
sense of purpose, self-regulation, self-esteem, and a positive mindset.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new and meaningful relationships, the
opportunities to search careers and experience related-activities, experiential
support for counseling and learning, information on college entrance exams,
institutions, and careers, and stimuli from media, peers, and family.
Eighth, the findings from the situational model analysis suggest that various
types of support be provided to facilitate adjustment of adolescent dropouts at
individual, familial, societal, and national levels.
This study illuminated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adolescent dropouts by
capturing their voices and their post-dropout adjustment process. The findings
could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help adolescent
dropouts successfully adjust to their new liv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statements constructed in this study could be tested in future research, thu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knowledge base on dropout
among adolescents.
Author(s)
김영희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87
Alternative Author(s)
Young-Hee Kim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업중단 청소년의 이해 8
가. 학업중단 청소년의 개념 8
나. 학업중단 청소년의 현황 11
다. 학업중단의 원인 13
2.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적응과정 25
가.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적응과정의 의미 25
나.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의 유형과 적응요소 27
다.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요소 36
라.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적응과정 38
3. 근거이론의 고찰 43
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44
나. 근거이론 접근방법 46
Ⅲ. 연구방법 51
1. 근거이론적 접근 51
2. 연구진행 과정 53
가. 사전연구 53
나. 본 연구 55
3. 자료 분석 방법 61
4. 근거이론 방법론에서의 타당도와 신뢰도 66
Ⅳ. 연구결과 69
1. 사전 연구 결과 69
가. 상담사례 분석 결과 69
나. 심층면담 분석 결과 71
2. 본 연구 결과 73
가. 연구 참여자의 특성 73
나.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의 범주화 결과 76
다. 학업중단 경험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요인 및 과정 136
라. 이론적 통합 160
Ⅴ. 논의 및 결론 192
1. 논의 및 의의 192
가.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에 대한 논의 192
나. 본 연구의 의의 207
2. 결론 및 제한점 209
가. 결론 209
나. 본 연구의 제한점 211
3. 제언 212
가. 정책적 제언 212
나. 실천적 제언 215
4. 학업중단 청소년을 향한 본 연구자의 인식변화 217
참고문헌 219
Abstract 234
부 록
연구참여 동의서 237
중재적 조건에 따른 핵심범주의 가설적 정형화 238
유형분석을 위한 가설적 관계진술 240
연구결과에 대한 참여자의 피드백 244
연구결과에 대한 비참여자의 피드백 24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영희. (2014).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