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성년후견제도의 사회복지적 지원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ocial Welfare Support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Abstract
개정 민법의 성년후견제도가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개정된 성년
후견제도는 본인의 의사와 잔존능력을 최대한 존중하고, 치료와 요양 등 복
지영역까지 확대하였다. 이렇듯 고령화 사회, 복지국가에 부합하는 새로운 성
년후견제도의 도입은 장애인, 고령자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권리보호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성년후견제도는 민법상
의 제도적 변화이지만 사회복지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매우 중요한 제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년후견서비스의 시행방안에 관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연구로서 사회복지의 기능과 연계점, 관련 사회복지법을 통해 개정을 검토하
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회복지서비스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성년후견제도와 연계한 사회복지의 역할을 확대하여야 한다. 이는 성년후견
제도가 시행되었지만 민법은 기본적인 틀만 제시하였을 뿐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지원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후견을 통하여 직접 피후견인과 접촉하게 되
는 사회복지 영역의 역할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
서비스 신청, 사회복지시설 입퇴소 절차에 관한 규정 등 사회복지관련 기존
법률과의 조정, 새로운 법률관계에 대한 법제화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다음으
로는 후견인의 선발, 교육, 관리감독 등 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달체계
를 구축하고 유관기관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적극적 홍보가 뒷받침돼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성년후견제도를 사회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규정하고 국
가는 인적․물적 자원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성년후견제도는 의사능력이 취약한 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 주는데 있다. 따라서 피후견인의 의사표현을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의사결정능력의
판단체계 마련도 시급하다. 아울러 성년후견제도 이용이 곤란하다고 인정되
는 취약계층에 대한 후견비용이나, 정신감정 비용 등 성년후견 공적지원시책
을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요보호성년자들이 자기결정권을 존중받고, 잔존능력과 정상화
이념이 실현될 수 있도록 사회복지법상의 제도와의 유기적 결합에 의한 새로
운 복지제도를 구축하는데 성년후견제도가 그 토대로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revised civil law of Korea has enforced the New Adult Guarndianship
System since July 1st, 2013.
The revised New Adult Guarndianship System respects the opinion of
human being and has extended the system to welfare-level includ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t is highly anticipated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which corresponds
to the aging society and welfare state, can contribute to protection of the
rights of handicapped, elderlies and second-class citizens.
Therefore, the New Adult Guardianship system, though a institunal change, is an
important system that centralizes the functions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as to find executive plans of the system from the
social-welfare level, portraits the supporting plans and reviewed the
connection with the function of social welfare and related law of social
welfare.
First, the role of social welfare corresponding the New Adult
Guarndianship System needs to be extended in order to balance the social
welfare serivce.
Eventhough the civil law has enforced the system, it has not speficied the
procedures to practice the system which has led to non-reflection on the
social welfare level.
So the need of policies that regulate the registraion of the service, the
enter and exit of the welfare facility, the adjustment of the existing laws of social welfare, and the legislation of the new legal relation.
Next, the delivery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o efficiently operate the
selection, education, supervision of the guardian and supported by the
active promotion from the network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above, Korea has to regulte the New Adult Guardianship
System as a part of the social welfare and supports the system with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institutionally.
The New Adult Guardianship Sy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the decision making of the people with disadvantage.
Therefore, the preparation of the decision making measurements that aids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a person in need of help is urgent.
Moreover, the cost of using the system and the mental examination should
be supported at governtment level for the people with difficulties to use
the system.
Lastly, it is strongly suggested the New Adult Guardianship System play
the basic role to establsih a new social welfare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law of social welfare that will lead to the reality
where the decision making and the ability to sustain of the people in need
are respected and treated just like others.
Author(s)
박지원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889
Alternative Author(s)
Ji-Won Park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성년후견제도의 개관 4
1. 성년후견제도의 의의 및 도입배경 4
2. 성년후견제도의 이념 11
3. 성년후견제도의 운영주체 14
4. 외국의 성년후견제도 23
Ⅲ. 성년후견제도의 사회복지학적 분석 35
1. 유엔 장애인권리 협약 35
2. 사회복지 책임주체 확대 36
3. 신상보호 도입 37
4. 사회복지 연계점 38
5. 관련 사회복지법에서의 후견인 역할 39
Ⅳ 성년 후견제도의 사회복지적 지원 방안 51
1. 사회복지 역할 확대 51
2. 관련 법률의 조정 및 법제화 54
3. 후견인 양성 및 관리체계 구축 55
4. 적극적인 홍보와 인식개선 활동 전개 61
5. 신상보호 범위와 의사결정능력의 규정 마련 63
6. 공적지원제도 도입 66
Ⅳ. 요약 및 결론 69
1. 요약 69
2. 결론 71
참고문헌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박지원. (2014). 성년후견제도의 사회복지적 지원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