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형성적 접근을 적용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evelopment of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With Formative Approach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개발하고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자기관리역량은 무엇이며, 이들에게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위해 어떻게 개발할 것이며,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에게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 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정서적 자기조절능력, 직업의식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인가를 실증한다.
프로그램 개발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J대학교 '자기관리와 미래준비' 교양수업에서 형성적 접근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즉, CoP 참가 교수자들의 수업운영전략을 반영하는 CoP 최종보고서, 교수자 성찰저널의 자료수집과 수강생의 요구와 반응에 대한 분석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학기별 사례연구의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또한 수강생들이 도출한 상호작용 결과물인 성찰저널, 과제보고서, 프로그램 만족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에 대한 반응이 분석되고 개선되어 최종적으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형성적 연구 절차는 ADDIE모형과 액션러닝방식 '자기관리와 미래준비' 교양수업을 토대로 형성적 자료수집 및 분석, 사례수정, 자료수집 및 수정 반복,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최종개발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는 2013년 2학기 J대학교 교양수업에서 실험집단 35명과 통제집단 38명으로 수강생들에게 적용하여 실증되었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들에 대해 사후·사전 검사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는 자기관리역량(실험집단: t=6.309, p<.001, 통제집단: t=.545, p>.05)과 하위영역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실험집단: t=6.892, p<.001, 통제집단: t=.889, p>.05), 목표 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실험집단: t=3.726, p<.01, 통제집단: t=.859, p>.05),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실험집단: t=4.247, p<.001, 통제집단: t=.232, p>.05), 직업의식(실험집단: t=2.939, p<.01, 통제집단: t=-.874, p>.05)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 내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집단 내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효과는 자기관리역량진단평가 분석을 통해서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이 참가 대학생들의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 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정서적 자기조절능력, 직업의식을 향상시켜 주었고,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찰저널을 분석한 결과, 수강생들은 과제해결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과제를 정의, 연구, 해결 방안 검증, 실행의 단계에 따라 개별 또는 팀별 활동으로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수행 과정을 아우르는 성찰을 통해 자기관리역량 및 하위영역들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강생들의 요구와 반응을 수용하여 대학수업에 더욱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학교육현장에서 수강생의 요구와 반응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적 접근 방법이 유용하였다. 셋째, 형성적 접근을 통해 수강생의 요구와 반응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대학교양수업에서 교수자 개인보다는 CoP 참가 교수자들의 공동 참여가 효과적이었다. 넷째, 수강생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개발에 장기간 그들의 요구와 반응의 상호작용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맞춤형 프로그램은 수강생들이 대학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역량을 향상시켜 주었으며 졸업 후 입직(入職)에 직면하게 될 이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와 반응을 반영하는 것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교육학적 가치로 대단히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paper addresses what is the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and how to develop the effective, efficient and attractive program, and examines how the program is effective in advancing college students'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its sub-skill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skills, emotional self-control skills and professionalism.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use of a self-management class of J University in the Rep of Korea from 2011 to 2013, applying formative approaches.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development, the study analyzed constantly CoP professor participants' CoP final report of class management strategies, their reflection journals and learners' requirements and feedbacks as well as learners' reflection on their interactions, their assignments, the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of learners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attractiveness through understanding their reactions to the program.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pplied the following 6 formative research steps: ADDIE development model, action learning approach self-management, form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ase modifications, data collection and constant modifications, and the formulation of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differenc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of 35 students and an non-treated control group of 38 students of a self-management class of the second semester of J University in 2013. This study used the method of Paired-sample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ir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its sub-skills between the two participant groups. In the other side,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ir self-management assessments supports that the programme improved their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its sub-skill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skills, emotional self-control skills and professionalism. Similarly,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heir reflection journal displays that the program participant learners perform their individual or team work in accordance with problem solution process with steps of defining problems, research, alternatives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program improved their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its sub-skills through their reflection on the process.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4 points: The firstly, the developed program is effective and customized by understanding the requirements and feedbacks of college learners. Secondly, the formative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ir requirements and feedbacks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hirdly,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CoP professors is more effective than their individual participation to generate the effective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nalyzing the learners' requirements and feedback with formative approach. Lastly, a long-term interaction with learners is required to improve the drawbacks of the program and to be good example of the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In summary, the study addresses that the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advancing their self-management competencies helpful for students to experience a better academic life in university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life after graduation. In aspect of pedagogical value, it suppor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learners' requirements and feedbacks in developing a learner-oriented program and program management.
Author(s)
권순철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01
Alternative Author(s)
Kwon, Soon Chul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9
가. 대학생 자기관리 9
나. 핵심역량에서의 자기관리역량 12
다. 자기관리역량 하위영역 19
라. 자기관리역량 평가 28
2. 교양수업과 교수학습모형 37
가. 자기관리역량 교양수업 37
나. 자기관리역량 교수학습모형 51

Ⅲ. 프로그램 개발 63
1. 개발방법 및 절차 63
가. 개발방법 63
나. 개발절차 66
다. 개발대상 69
라. 자료수집 및 분석 70
2. 프로그램 개발 과정73
가. 형성적 자료수집 및 분석 73
나. 사례수정 81
다. 자료수집 및 수정 반복 108
라. 프로그램 최종개발 122

Ⅳ. 프로그램 효과 분석 138
1. 실험방법 138
가. 실험대상 및 설계 138
나. 실험절차 139
다. 실험방법 및 자료처리 140
2. 프로그램 효과 분석 143
가. 양적분석 결과 143
나. 질적분석 결과 154
다.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162

Ⅴ. 논의 및 결론 167
1. 논의 167
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167
나.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70

2. 결론 173

참고문헌 177

Abstract 191

부 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시스템 안내 194
KRIVET 핵심역량 모형 중 자기관리역량 수준별 성취기준(안) 196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201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22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권순철. (2014). 형성적 접근을 적용한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