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청년들의 불안,자기관리 및 유동하는 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security, Self-Management and fluid Life of Young People in Jeju Area
Abstract
본 연구는 불안정한 노동구조에서 청년들이 느끼게 되는 감정과 실천방식 그
리고 청년들이 영위하게 되는 삶의 특성에 주목한다. 현대사회의 유연화 된 노동
시장은 개인들에게 노동의 안정성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에
직면한 청년들은 체제에 저항하기보다는 순응한다.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경쟁
체제에 순응하는 주체, 자기경영을 통해 이러한 경쟁체제에 대응하는 주체의 모
습을 논의하기 위해 푸코의 규율권력 및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에 관한 논의를 이
론적 도구로 삼았으며, 현대사회가 개인들에게 강제하는 삶의 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바우만의 액체근대 개념을 원용하였다. 또한 제주 청년들의 불안을 보다 생
생하게 가시화하기 위해 20∼30대 청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우선, 청년들이 느끼는 불안의 양상을 보다 거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국사
회의 신자유주의적 재편과정을 살펴보고 제주도의 청년정책을 검토했다. 제주도
의 청년정책은 일시적 고용을 기조로 운영됐으며 청년실업의 문제를 대학사회에
전가했다. 제주도와 대학의 청년정책에 따라, 대학사회와 학생들은 고용불안을
감지했으며 학업과 생활전반을 취업 중심으로 맞춰나갔다.
심층면접대상자들은 가정·학교에서부터 삶에 대한 불안을 갖고 있었다. 일부
심층면접대상자들은 학교에서 학교폭력과 경제적 차별과 성적에 따른 서열화를
경험했다. 가정에서는 부모를 통해 노동자로서의 삶을 체감하며 경제적인 측면에
서 위기감을 체득했다. 개인들은 학교와 가정이라는 공간 속에서 푸코가 말하는
규율권력에 순응하는 주체로 형성되며, 동시에 경쟁규범을 확립한 자기경영적 주
체의 모습을 보였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노동사회로 진입하는 심층면접대상자의 경험을 토대로, 제
주지역 청년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몇 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제주
지역 청년들의 삶은 노동의 결속정도와 자기의지의 표출정도에 따라 구분됐다.
우선, 삶의 양상을 이루게 하는 노동의 결속정도를 바우만의 액체근대 이론을 통
해 구성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노동이 결속되어 평생의 직장을 보장받을 수 있
었던 초기근대와 달리, 현재 액체근대로 오면서 노동의 결속을 보장받지 못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개인들이 노동의 결속을 보장받는 경우에는 고정성, 노동
의 결속을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에 삶의 양상은 유동성을 띠게 된다. 다음으로,
삶의 양상의 변화에 대해 각 개인들의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는데, 자기의지의 표출정도가 삶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경우 목표지향
성으로, 자기의지의 표출정도가 삶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날 경우를 현실수
용성이라고 규정했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청년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각 유형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청년들의 개인적인 평가와 성
찰을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개인들의 삶의 양상을 공통의 사회현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매개고리의 역할을 담당한다. 우선 '달성형'은 목표지향성과 고정성
두 가지를 만족하는 유형이다. 다른 유형에 비해 경제적 안정성과 직업의 지속
성, 사회적 명예가 보장된다. '정착형'은 현실적인 여건 때문에 자아실현보다는
고정성을 지향하는 삶을 택한다.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했기에 목표에 대한 열
망, 후회, 집착 등이 나타난다. '도전형'은 목표지향성과 유동성이 교차하는 삶의
모습이다. 자신이 선택한 일을 하고 있으나, 경제성과 직업적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삶을 산다. '방황형'은 유동성과 현실수용성의 두 성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경제성 및 직업의 안정성도 보장받지 못하며, 적성에 맞는 일도
하지 못한 경우이다. '유예형'은 각 유형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노동사회에
진입하기 위해 장기적인 준비를 한다.
심층면접대상자들은 유동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삶의 양상을 이루는 노동의 변
화를 경험하며, 그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 정도에서 서로 다른 선택을 한다. 유동
하는 삶 속에서 개인들은 자기 의지의 표출을 미루거나 유예하며, 유예된 시간을
자기관리의 실천으로 조직하거나 소비생활을 통해 불안을 해소하려 한다. 그러나
불안은 결코 해소되지 않으며, 다양한 유형의 삶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제주
지역 청년들의 유동하는 삶에 내재된 불안을 끊기 위해서는 주체성의 회복, 교육
제도의 변화, 청년들에 대한 심층조사, 질 좋은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emotional aspect of young people and
their way of responding in the flexible labor market and unstable job
security. First of all this study explores the modes of life of these young
people. Flexible labor marke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does not guarantee
permanent and secure jobs for them. In this circumstance, the young people
must adapt themselves to the system, rather than resisting it.
This study draws on some ideas from Michael Foucault for analyzing the
modes of life of young people. In particular, his theoretical discussion on
'disciplinary power' and neo-liberal 'governmentality' is an important
theoretical resources in terms of how lay-actors adapt to neo-liberal economic
system through self-management. In addition, this paper employs Zygmunt
Bauman's concept of liquid modernity in order to identify the life styles
forced by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applying both Foucault and
Bauman, it dwells upon the cases of the young people in Jeju. For the
research, there were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young people in the 20s
and 30s.
To identify the anxiety felt by the young people in more detail,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Korean society after neo-liberalism and Jeju Island's
job policies for the young are reviewed. The job policies of Jeju Island, in
particular, for the young generation, have focused merely on temporary jobs.
More importantly,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hile attempting to evade the direct responsibility, tend to shift it onto the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llege and university. It has totally changed the
university culture: now the priority of high education is on employment rather
than academic research.
The targets of the in-depth interview had experienced the anxiety at home
and school. Some of them had been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had
been discriminated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and social stratum which
were frequently related to educational achievement. At home, they had
indirectly undergone the lives of workers through their parents. This
experience gave them the sense of crisis in terms of future life as workers.
In Foucault's idea, the young people internalize the neo-liberal market norm
through disciplinary power. All of us accept the norm of competition as
normal through practices of disciplinary power in everyday life at home and
school.
This study tries to categorize the life styles of the young people in Jeju
into several types, which is based on data of the in-depth interviews. The
life styles of the young people in Jeju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whether their job security is guaranteed or not, and whether they realized
their wish and demand or not. The former is discussed through Zygmunt
Bauman's concept of 'liquid modernity.' According to it, the job security,
which had been guaranteed in the initial period of modernity, cannot be
maintained in current liquid modernity. In the early phase of modernity
workers enjoyed lifelong jobs.
If the job security gives stable life pattern, it can be classified as a type
of 'the fixed'. Then, if not, it can be a type of 'the fluid.' The second
categorization depends on how each individual differently responds to their life
chances. Whereas the people who actively express their life plan are broken
down into a type of 'the goal-oriented,' the people who, passively received
the conditions without challenges, can be called a type of 'the realist.'Using such criteria, this study categorized the situations in which that the
young people live their life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Each type implies
the young people's evaluations of themselves and reflections on their own
lives. Examining these types, we could demonstrate the critical aspects of our
society. ① A type of 'the achievement-oriented' is characterized as
'goal-oriented' and 'fixed.' This enjoys economic stability, job security and
social honor. ② A type of settlement , due to realistic circumstances, chooses
a fixed type of life patten rather than self-realization, Usually the people
belonging to this type, since not attempting to seek what they want, tends to
have repressed desire, regret on their life as regards their frustrated goal. ③
A type of challenge is on the grey area between 'goal-oriented' and 'fluid.'
Struggling to obtain what they want, the people of this type must endure
tough economic condition and insecure job. ④ A type of wandering seems to
simultaneously demonstrate 'fluid' and 'realist.' In this type, incomes and job
security are not guaranteed, and further, the people work from economic
reason irrespective of their aptitude and plan. ⑤ A type of must delay means
that, while doing anything, the people, according to the long-term plan,
prepare their future.
The interviewees of this research have had various job experiences which
formed their modes of life. In competitive market oriented society they
respectively tried to break through the obstacles before them through different
ways. In the fluid and unstable society, individuals tend to delay or defer
their life-plan and dream, and to try to organize their time for the future. It
can be legitimized as the practice of self-management or investment for the
future. Sometimes they attempt to compensate for the anxiety of daily life
through consumerist life pattern. However, in reality, nothing can compensate
for their anxiety and frustration. In order to go beyond the fluid society,
particularly in Jeju, in which the young people suffer from competitive market
culture, insecure job and giving-up of their life plan, we must give them opportunities to recover their own identity through changing educational
policies from strengthening competitive power to creating cooperative
capabilities. First of all, for this long-term change, we should closely examine
the conditions of the young people in Jeju, and should create high quality and
secure job for them.
Author(s)
김민선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03
Alternative Author(s)
Kim, Min Seon
Department
대학원 사회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이론적 배경 4
1) 선행연구 검토 4
2) 이론적 자원 8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3
1) 연구대상: 제주지역 청년들이 삶에서 느끼는 불안과 실천의 방식 13
2) 연구방법 13
3) 심층면접대상자들의 특성 14
Ⅱ. 신자유주의와 제주도의 청년정책 20
1. 신자유주의화에 따른 제주도의 개발정책과 청년정책 20
2. 제주사회의 불안과 위기 25
1) 출구를 찾는 청년들 25
2) 신자유주의 노동정책에 포섭된 대학사회 27
Ⅲ. 학교·가정·노동사회에서의 훈육과 경쟁규범의 내면화 31
1. 학교: 서열화된 공간 31
1) 신체에 대한 통제 32
2) 공동체의 파괴: 학교폭력 34
3) 서열화의 관리자 36
2. 가정: 반면교사의 공간 39
1) 경제적 위치를 인지하는 공간 39
2) 노동자로서의 삶이 전이되는 공간 40
3) 진로의 선택 : "너의 삶은 내가 만들었어" 41
3. 노동사회 44
1) 홀로 싸워야할 위험으로 가득한 세계 44
2) 열정과 안정 사이에서 46
Ⅳ. 유동하는 삶의 유형과 실천 49
1. 삶의 유형 분류 기준 49
1) 노동의 결속 정도에 따른 삶의 양상: 고정성과 유동성 49
2) 자기의지: 목표지향성과 현실수용성 51
2. 청년들이 처해있는 삶의 유형 53
1) 달성형 54
2) 정착형 56
3) 도전형 58
4) 방황형 63
5) 유예형 66
3. 유동하는 삶의 다양한 실천과 그 모순 70
1) 목표와 현실: 자기의지의 유예 71
2) 개인: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한 자기관리 72
3) 소비: 일시적 보상과 불안정한 노동의 유지 76
Ⅴ. 결론 79
【참고문헌】82
【Abstract】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민선. (2014). 제주지역 청년들의 불안,자기관리 및 유동하는 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Soc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