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Predictive Effect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n Burnout with Social-Welfare Official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룰 밝힘으로써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근무하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장세진(2005)의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SF)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Maslach와 Jackson(1981)이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박성호(200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Revish와 Shatte(2003)가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를 김주환(2009)이 번역하여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 직장문화, 직무불안정이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력, 생활만족도, 자아낙관성이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감정조절력, 생활만족도, 자아낙관성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소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회복탄력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dictive relation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with social-welfare officials and to clarify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 hop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hat can be actually used in social-welfare field, and to be studied the ways to decrease the level of their burnout in the near future.

For this purpose, researcher addressed these question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does the job stress predict the burnout significantly?
Third, does the resilience predict the burnout significantly?
Finally, does 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burnout?

Subjects consisted of 155 social-welfare officials(male 42, female 113) working in administrative offic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y responded to some questionair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KOSS-SF) to measure the job stess, Maslach Burnout Inventory to measure the burnout, and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KRQ-53) to measure the resiliesnce.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their responses, researcher produc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variables and the product-moment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burn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the job str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Third, the resil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Finally, th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ve a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ve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welfare officials' burnout.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social-welfare officials' burnout, w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ob stress, and it is requiring to should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resilience.
Author(s)
김혜은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36
Alternative Author(s)
Kim, Hye Eun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1) 직무스트레스 3
2) 소진 4
3) 회복탄력성 4

Ⅱ. 이론적 배경 5

1. 직무스트레스 5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5
2)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7
3)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9
2. 소진 11
1) 소진의 개념 11
2) 소진의 하위요인 14
3)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4)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17
3. 회복탄력성 18
1) 회복탄력성의 개념 19
2)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21
3)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 25
4.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의 관계 26
Ⅲ.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28
2. 측정도구 29
1) 직무스트레스 척도 29
2) 소진 척도 30
3) 회복탄력성 척도 31
3. 자료 분석 32

Ⅳ. 연구결과 34

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34
1) 기술통계 34
2) 상관관계 36
2.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38
1)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38
2)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39
3.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40

Ⅴ. 논의 42

Ⅵ. 결론 및 제언 45
1. 결론 45
2. 제언 46

참고문헌 48
Abstract 58
부 록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혜은. (2014).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