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발달 양상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writing ability develop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 Focused on expressive writing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발달 양상을 분석하여 이를 학년군별로 지표화하여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현재의 쓰기교육이 학생의 수준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기준 없이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구현됨으로 인해 쓰기 교육의 지도 내용에 대한 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구체적인 쓰기 능력 발달의 지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데서 출발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쓰기 능력 발달의 양상과 쓰기 능력 수준의 지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Ⅰ장에서는 쓰기 능력 발달 및 지표화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보고 각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못한 점, 많은 연구가 평가 점수 분석에 의한 쓰기 능력 발달 양상을 제시한 점, 구체적인 지표의 제시와 적용에서 미흡했던 점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 능력은 내용, 조직, 표현상에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 둘째, '초등학생 쓰기 능력 발달을 어떻게 지표화하고 적용할 것인가?' 라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쓰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한 뒤, 쓰기 능력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를 정리하여 Ⅳ장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며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한 뒤,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시 소재 3개의 초등학교에서 학년별 3개 학급, 총 18학급에 대해 쓰기 검사를 실시하여 465편의 글을 수집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쓰기 과제의 구안, 예비검사, 쓰기 과제와 분석 기준안의 검토 및 보완, 본 검사, 분석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분석은 평가자 3인의 점수를 평균 내어 학년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는 양적분석과 연구자가 학년군별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경향성을 알아보는 사례분석의 두 가지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위의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3명의 평가자가 모든 작품에 대하여 평가내린 점수를 가지고 학년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고, 동일집단군 검사 등을 통해 학년군별로 그 수준을 정리하여 보았다. 둘째, 연구자가 학년군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찾아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조직, 표현상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발달 수준을 '중'수준과 '상'수준으로 나누어 학년군별 구체적인 지표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공통핵심기준(CCSS)의 부록에 학년별, 장르별 학생의 기본적인 예시 작품을 제공하는 것을 참고하여, 앞에서 얻은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지표를 바탕으로 수집한 작품 중에서 학년군별 평균 수준을 보이는 작품은 무엇인지 제시하고, 그것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 능력은 내용, 조직, 표현상에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학년과 2학년, 3학년과 4학년, 5학년과 6학년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둘째, 학년이 높아질수록 쓰기 능력이 점진적으로 발달하였으나 5학년에서 급격한 발달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내용 면에서는 저학년의 경우 주제가 모호하며 단순한 경험을 나열하고 내용 간 연관성이 잘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고학년에서는 주제가 잘 나타나고, 경험과 함께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이 잘 나타나도록 글을 쓰며 글의 연관성과 통일성이 잘 나타났다.
넷째, 조직 면에서는 1~4학년의 글에서는 문단 및 글의 구조, 완결성이 잘 나타나지 않았으나 5, 6학년의 글에서는 문단 및 글의 구조를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글의 도입과 정리가 잘되어 완결성이 나타나는 편이었다.
다섯째, 표현 면에서, 저학년의 글에서는 단순한 문장, 평범한 제목과 소재의 선택이 많았으나 고학년에서는 독창적인 문장과 표현방법의 사용, 재미있는 제목과 소재 등을 선정하여 글을 이해하기 쉽게 쓰는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학년군별로 자기 표현적 글쓰기 능력 수준의 지표를 제언하고, 수집된 글에서 평균 수준에 해당하는 예시 글을 제시함으로써 이 지표의 내용을 적용시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지표가 수립되면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구현하는 데 구체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가늠하고 어느 수준까지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 지에 대한 규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esent the results by developing writing ability standards of each grade. In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implemented without precise and concrete criteria, so they are not able to provide the framework for teaching writing, and the previous studies cannot provide specific standards of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This study started from recognizing this problem.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writing and the standards of writing ability derived from this study would help solve the problem.
In chapter 1,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and developing standards for writing ability are reviewed, and based on the result of each research,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research on expressive writing was not conducted much, a lot of research suggested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by analyzing test scores, specific standards were insufficient and they were not applied properly. In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at aspects of development does expressive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show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Second, how can we make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apply the standards in the field?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writing and writing ability was clarified, an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writing ability was summarized and discussed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hapter IV.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ve writing, which are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ere identified, and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expressive writing was suggested.
In section Ⅲ, the research method was described. For this study 465 writing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8 classes from 3 elementary schools, 3 classes from each grade, located in the Jeju City. The research was proceeded in the order of designing writing tasks,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reviewing and modifying writing tasks and analyzing criteria, conducting tests, and lastly analyzing the results. Regarding the analysis, two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analysis, a quantitative analysis, the average scores by three evaluators were examined to see what differences can be found among different grade students. The second was a case study in which the researcher examined if there is any common tendency within each grade.
In section Ⅳ,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cedure mentioned above were summarized. Firstly, with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writings by the three evaluators, the differences among each grade were examined, and through the equivalent group inspection, the level of students were organized by the grade. Seco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case study looking into the common tendency in each grade, and based 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rganization, expression were summarized. Lastly, on the basis of results, the level of expressive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as divided into "medium" level and "high" level, and specific standards for each grade were presented.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which provides sample writings of each grade and genre, students' writings which seem to be the average level of each grade according to expressive writing standards were presented, and what aspects they have were described.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ve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depending their grades, and the 1st and 2nd grade, 3rd and 4th grade, and 5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similar pattern.
Second, as the grade goes up, the writing ability gradually improved, but rapid improvement was observed in 5th grade..
Third, regarding contents, while the topics were ambiguous and experiences were simply listed in low grade students' writing, in high grade students' writing, the topics were clear and the writer's experience, thinking and feelings were well expressed and writings had relevance and coherence.
Fourth, in terms of organization, the writings of 1~4th grade students showed little structure in paragraphs and writings, and didn't have completion, but those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 structure of paragraphs and writings and the introduction and organization of writings were good and they seem to be well completed.
Fifth, in terms of expression, the writings of lower grade students showed a lot of simple sentences, choices of normal titles and subjects, but higher grade students seemed to use creative sentences and inventive ways of expression, and to choose interesting titles and subjects. In addition, they seem to be trying to write easy to understand.
Lastly, on the basis of this information, standards for expressive writing ability of each grade were presented, and by providing sample writings chosen out of the collected writings, the contents of the standards could be applied.
I think that once the specific standards for expressive writing are established, providing concrete standards for implementing curriculum and textbooks will be possible, an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level of students can be measured by them and they can be the guideline to decide the target levels of students.
Author(s)
김민경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38
Alternative Author(s)
Kim, Min K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4
3. 연구 문제 및 제한점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쓰기와 쓰기 능력의 의미 13
2. 쓰기 능력의 발달 양상 18
3.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개념 및 특성 29
4. 자기 표현적 글쓰기의 분석 기준 34

Ⅲ. 연구 방법 42
1. 연구 대상 42
2. 연구 절차 43
3. 분석 절차 4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0
1.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발달 양상 분석 결과 50
2. 사례분석을 통한 쓰기 능력의 발달 양상 분석 77
3.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 능력 발달 양상 104
4.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과 적용 107

Ⅴ. 결론 및 제언 118

참고 문헌 121
ABSTRACT 125
부 록 12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민경. (2014).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발달 양상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