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국어 수업 도입부 유형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ypes of Introduction of Elementary School Korean Class : Focused on Teacher's Guide according to the 2007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ion
Abstract
본 연구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내 상세 과정안 도입부 분석을 통해 특징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 수업 도입부 구안 시 고려할 점에 대해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 수업 도입부는 학생이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집중하도록 하는 첫 단계로 도입부에서 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에 따라 수업의 성패가 좌우된다. 현장 교사들이 국어 수업 도입 설계 시 지침이 되고 있는 지도서 내 상세 과정안 도입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자기주도적 학습자를 만들어내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도입부의 의미, 구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국어 수업 도입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국어 수업 도입부는 교사가 학생들을 어떻게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도입부 기본 활동은 학습 분위기 조성, 전시 학습 상기, 동기 유발, 학습 목표 확인 4 활동으로 설정하였으며 이 중 동기 유발 활동 유형과 자료 제시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 9가지의 첫 단계 하위 활동인 학습의 필요성 확인하기, 문제 상황 인식하기,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문제 설정하기 네 가지 활동을 독립적인 도입부 하위 활동으로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대상 및 절차, 분석 설계, 분석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내 상세 과정안 212편 분석을 위한 국어 수업 도입부 분석 범위, 도입부 다양한 용어의 기준 설정 및 통일화, 국어 수업 도입부 배치 유형, 동기 유발 활동 자료 제시 방법, 동기 유발 활동 유형을 설정하였다.
Ⅳ장에서는 2007 개정 국어 교사용 지도서 1~6학년 상세 과정안 도입부 유형 현황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각 학년 학기별 도입부 활동별 배치 유형, 국어과 학습 모형, 동기 유발 자료 제시 방법, 동기 유발 활동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고, 각 학년 학기에서 특징적 수업 과정안 2~4개 사례를 들면서 바람직한 도입부 방향을 제시하였다. 2절에서는 ① 도입부 활동 배치 유형 측면 ② 국어과 학습 모형과의 관계 측면 ③ 동기 유발 자료 제시 방법 측면 ④ 동기 유발 활동 유형 측면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특징과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도입부 활동 배치 유형 측면에서는 도입부 기본 4 활동과 국어과 특성 4 활동이 차시 학습 특성에 맞게 전,후 관계 속에 배치되어 28 유형을 형성하였으며. 동기 유발 활동 또한 차시 학습 특성에 따라 포함되기도 하고 누락되기도 하였다. 적용 학습 과정안 빈도가 높고 1차시 이해 학습 과정안 빈도가 낮았다. 도입부 28 배치 유형 중 1순위는 전학상+동유+학문확, 2순위는 동유+학문확 유형이다. 2차시 이상 이해 및 적용 학습에서 전시 학습 상기 활동이 포함되거나 누락되기도 하였다. 교사용 지도서 상세 과정안 도입부 작성 틀과 용어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서로 상충됨을 볼 수 있었다. 국어 교수․학습 모형과의 관계 측면에서 각 모형은 전체적으로 언어 사용 목적 특징에 맞게 잘 활용한 부분도 있었지만,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 많이 적용되는 '단순함'을 볼 수 있었다. 동기 유발 활동 제시 방법 측면에서는 켈러․ 송상호(2008)의 학습 동기 요소 중 '주의 집중'과 관련된 자료가 가장 다양하게 활용되었고, 그 다음은 '관련성'에 관련된 자료가 3가지 종류에 부분적으로 활용되었다. 동기 유발 활동 유형 측면에서는 4 유형 중 가장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목유-제무형 빈도가 높았고 그 다음이 목유-제유형이었으며 목무-제유형, 목무-제무형도 부분적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도입부 구안 시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단원에서 1~2개의 상세 과정안을 제시할 경우에는 학습 성격(이해 학습, 적용 학습)과 차시별,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분배하여 현장 교사들에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입 수업 시 원리 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 학습 차시에 전시 학습 상기나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그 단원에서 최종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어과 도입 수업 활동별 구성 요소에 대한 국어과 교육 공동체의 합의된 인식을 통해 도입부 각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안 작성 틀과 용어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여 지도서 개발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도서 개발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차시 목표와 관련 없는 동기 유발 활동이 나타나지 않도록, 교사들이 신뢰할 만한 동기 유발 활동에 맞는 다양한 자료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해야 할 것이다.
도입부 분석은 실제적인 교실 맥락에서 교실 문화와 수업의 생생한 진행 과정에서 어떻게 구체화 되고 있는가에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분석과 실증적인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국가적인 대표성을 띠는 교사용 지도서 내 수업 과정안 도입부 분석 시 수량적․기술적 접근과 더불어 개별적인 사례에 주목한 미시적 접근을 통합하여 논의, 그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국어 수업 도입부와 관련된 연구에 관심을 갖는 교사들에게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Author(s)
박미란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44
Alternative Author(s)
Park, Mi-ra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내용 및 방법 7
4.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10
1. 국어 수업 도입부의 구성과 역할 10
2.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국어 수업 도입부와의 관계 17
Ⅲ. 연구 방법 26
1. 분석 대상 및 절차 26
2. 분석 설계 28
3. 분석 방법 39
Ⅳ. 국어 수업 도입부 유형 분석 42
1. 학년 학기별 도입부 유형 분석과 사례 42
2. 분석 결과 및 시사점 113
Ⅴ. 결론 및 제언 137
1. 결론 137
2. 제언 141
참고 문헌 143
ABSTRACT 1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미란. (2014). 초등학교 국어 수업 도입부 유형 분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