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유동인구량에 따른 응급 의료 서비스 이용도 예측
- Alternative Title
- Forecast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Utilization of Floating Population in Jeju Island
- Abstract
- 배경
의료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인구학적 변수, 지식, 문화적 요
인, 가족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있으며, 지역 인구 구조의 특성은 의료 서비스
에 영향을 미치는 분명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으로, 매년 상주인구의 10 배가 넘는 수의 여행자가 제주도를 방문한다. 이
러한 지역 인구 구조의 특성이 119 구급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관찰 연구 Cretrospective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로 2010 년 1 월부터 2012 년 12 월까지 3 년간 월별 제주도로 유입되는 인
구를 유동인구(fl oating population) 로 정의하고, 월별 유동인구수와 유동인구의
119 구급 서비스 이용량을 분석하여 유동인구 단위 규모 증가에 따른 유동인구
의 119 구급 서비스 이용 증가량을 산줄하였다. 시계열 변동성을 보정하기 위해
년도 빚 월을 보정 한 다변량 포아송 회 귀 분석 Cmultivariate poisson regression)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2010 년 1 월부터 2012 년 12 월까지 제주도로 유입된 총 유동인구는 총 2 , 550 만
명으로 2010 년 7 , 067 , 326 명, 2011 년 8 , 70 , 976 명, 2012 년 9 , 691 , 703 명 이 제주도를 방문하였다. 2010 년부터 2012 년까지 제주도 119 구급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는 90 , 674 명이며, 이중 주소를 알 수 없는 7 , 209 명을 제외한 83 ,4 65 명 중에서
주소지가 제주도가 아닌 유동인구는 9 , 733 명이었다.
년도 빚 월을 보정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제주도를 방문하는 유동
인구(fl oating population) 가 10 , 000 명 증가하면 유동인구의 119 구급 서비스 이
용량이 2.2% (95% 신뢰구간 1.9-2.3% , p결론
제주도를 방문하는 유동인구가 10 , 000 명 증가하면 유동인구의 119 구급 서비
스 이용량이 2.2% 증가한다. 향후 119 구급 서비스 이용량의 예측지표로서 월
별 유동인구(월별 관광객입도 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고서영
- Issued Date
- 2014
- Awarded Date
- 2015. 2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970
- Alternative Author(s)
- Seo-Y oung Ko
- Department
- 대학원 의학과
- Table Of Contents
- 。논문 제목 1
O 국문 요약 2
O 서 론 4
。연구 대상 및 방법 7
。연구 결과 10
(1) 인구학적 특생 벚 119 구급 서버스 요청 원인 10
(2) 월별 유동인구량과 유동인구의 119 구급 서비스 이용수 13
(3) 년도별 와국얀 여행자의 수 맞 와국연의 119 구급 서바스 이용 16
(4) 윌별 제주도 유동인구량파 유동인구의 119 구급 서바스 이용의 관계 17
。고 찰 22
。결 론 28
。참고 문헌 29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제주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고서영. (2014). 제주도 유동인구량에 따른 응급 의료 서비스 이용도 예측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