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rt Teaching Method ; Storytelling via Reconstuction of a Famous painting : Focused on 4rd to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테크놀로지의 빠른 성장과 보급은 우리에게 윤택하고 편리한 삶을 제공하는 매개체로서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며, 보다 쉽고 간편한 접근으로, 우리 삶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오늘날의 우리에게 소통이란 문자와 언어 이상의 넘쳐나는 시각언어를 포함하고 있고, 무분별한 접근과 사용의 제제는 개인의 몫이 되어있다. 이에 시각언어를 대하는 교육과 가치중립적 사고의 제반 교육이 미술 영역에서도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 시각언어의 생산과 소비의 주체자로서, 학습자의 올바른 인지적 자세와 비평적 사고 고취를 위한, 교육으로서의 학습방법을 연구하였다.
시각언어를 바라보는 비평적 사고의 안목을 넓히고자 학습구성의 제재로, 명화를 활용하였다. 명화가 담고 있는 스토리에 집중함으로써, 진중한 능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였고, 감상수업을 통하여 시각언어를 받아들이는 관조적 자세와 비평적 시각을 확대한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활용의 수업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방안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Ⅱ장에서는 명화와 명화의 교육적 가치, 지도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명화를 접한다는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현 시대와 다른 명화의 모습에서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이질감과 호기심으로 내적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 흐름, 감정을 인지해가는 내면화의 과정을 체험하도록 하며, 명화의 재구성과 스토리텔링의 방법적 지도는 명화에 대한 상세적인 이해력 신장과 말하기를 통하여, 인지영역의 발달로 비평적 시각의 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수업의 실제로서, Ⅲ장에서는 연구수업 대상자를 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의 학습자 4학년 20명, 5학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학습자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고찰로 구성한 초안의 분석과 교육적 효과를 보완하였다. 학습자들의 낮은 실기에 대한 자신감과 부담을 줄여주고자 흥미를 동반한 교육적 학습효과와 수준을 보완하여,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연구'라는 주제로 3주 동안 6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위 연구수업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학습자의 순수한 시각으로 구축된, 명화의 이미지와 이론적 배경지식을 갖춘 두 번째, 명화감상으로 하여금 학습자 스스로, 현 시대와 다른 모습에서 호기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이것은 재구성을 통하여 시각언어의 정보에 대한 정리와 지식 함양으로서 장기기억으로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스토리텔링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학습자들 간의 느낌, 생각, 정보전달, 정서적 교감 등의 효과를 교류할 수 있었다. 표현활동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재점검하는 동시에 표현력의 신장에 도움을 주었다. 반복된 학습과정을 통하여 자유로운 주제에서도 과정상 단계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적용 할 수 있으며, 주어진 과제에 대하여 능동적인 상호 학습형태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질적인 것에서 시작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바라보는 시각언어에 대한 편견 없는 시각과 무분별하게 범람하는 시각언어 사이에서 비평적사고의 눈으로 분별력 있는 올바른 인지의 훈련을 위함이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하는 능동적인 학습체계로, 지식의 재구성과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점검하고 인지하는 지식함양의 수단으로서, 비평적 사고의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Rapid advancement and penetration of technology has served as a medium for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fe, proliferating swiftly in our lives as an extensive, comprehensive, easy and simple approach. These days, communication encompasses texts, speeches, and overflowing visual language, with indiscreet access and usage being regarded as individual responsibilities. Thus, teaching how to treat visual language as well as value-free thinking is required in ar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 teaching-learning method to enhance correct cognitive attitud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of learners as the subject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visual language.
Famous paintings we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to broaden the horizon of critical thinking toward visual languag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contemplative attitudes and critical perspectives toward visual language in art appreciation class by focusing on stories conveyed by famous paintings, and thus to facilitate active learning.
In line with the intent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lesson plans based on storytelling by reconstructing famous paintings.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this study, I looked at the notable paintings and the educational value and instructional method of celebrated paintings in Chapter II. Contacting the notable paintings enable the learners to feel the internal value of various histories and cultures with unfamiliarity and curiosity from the image of notable painting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age. It enables the learners to experience the internalizing proces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background, flow and feeling of works and the re-composition of the celebrated paintings and the methodological instruction of storytelling can expect the enhancement of critical view wit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domain through the increase of detailed understanding and the talking about the notable paintings.
First, we performed an actual condition survey on the learners and, through the result analysis, supplemented the analysis and educational effect of the draft composed by a theor0etical considerat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low confidence and reduce the burden on the practice of learners. we supplemented the educational learning effect and level accompanied by interest and conducted a theme titled 'a study of storytelling teaching & learning method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notable paintings' in 6 sessions for 3 weeks.
To sum up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class, a learner can feel the curiosity and interest for himself/herself from a different image from the present age through the second masterpiece appreciation with the image and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created by the pure view of a learner, of the notable paintings. As the summary of information in viusal language and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re-composition, this could induce the transition to a long-term memory. In addition, an active use of storytelling could exchange the effects such as feeling, thought, information delivery, and affective communion among the learners. . An expressive activity could help the learners to re-check the learned content and promote the expressiveness at the same tiem. Through an iterative learning process, we could apply the learning in the procedural stage initiatively in free themes as well and expect the growth to an active mutual learning form on a given task.
Hence, this study was to start something essential, to facilitate unbiased perspectives on visual language learners actively look at and to train discernment, right perception and critical thinking toward a plethora of indiscreet visual language. Also, the re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storytelling as the active learning system presented by the author serves for a cognitive means of knowledge cultivation and growth of critical thinking.
Author(s)
박신영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021
Alternative Author(s)
Sin-Young Park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명화를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 방안 4
1. 명화와 미술교육 4
2. 스토리텔링과 교육적 가치 6
3. 지도방법 8

Ⅲ.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미술 지도 14
1. 학습자 사전 실태조사 및 분석 14
2.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미술지도 계획 22
3.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미술지도 실제 27
4. 지도적용 후 학생들의 인지조사 52

Ⅳ.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신영. (2014). 명화의 재구성을 통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