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립대학 구조개혁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for Administrative Staffs' Recognition for the Structural Reform of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대학 구조개혁 정책에 대하여 대학 현장에 근무하는 행
정직원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비교·분석하여 국립대학 구조개혁 추진방향
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고등교육의 보편화
단계 진입에 따른 성격 변화 요구와 학령인구 급감에 따른 대학들의 미충원 사
태가 가시화 되고 있는 현상 진단을 통해 대학 구조개혁의 추진 배경을 정리하
였다. 그리고 국민의 정부에서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추진했던
국립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도 내 소재하고 있는 A국립 대학교 행
정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국립대학 구조개혁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 구조개혁 추
진방식, 구조개혁의 효과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대학 구조개혁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대학행정직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구조개혁은 반드시 필요하며 구조개혁은 '나'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구조개혁의 기본 취지나 구조개혁 정책에 대
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국립대학 구조개혁을 유발하게 된 원인으로는 무엇보다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들의 미충원 확산
가시화를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하였고, 구조개혁 추진 시 교육 및 연구제도 개선
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국립대학 구조개혁 추진방식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 분석 결과, 구조개혁
추진은 정부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하는 데는 공감하고 있었지만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구조개혁 정책에 대한 효율성과 합리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서는 모든 배경변인에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인원의 66.8%가 국립대학 구조개혁은 대학의 자율적 구조개혁에 맡겨야 한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22.9%는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는데 정부
주도의 구조개혁 추진으로 대학들은 대학의 본질적 기능보다 지표관리나 점수따기
를 위한 소모전에 몰입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립대학 구조개혁의 효과성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 분석 결과, 긍적적 효
과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대학의 경영개선을 유도하고 대학 전반의 교육수준 개선
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교육의 질 제고와 대학 경쟁력이 강화
될 것이라고 높게 인식하는 반면 대학 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효과성으로는 대학의 자율성이 훼손되고, 구성원 간
갈등 심화와 사기가 저하될 것이라는 데 상당히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인구 급감 등으로 인한 대학구조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일방통행식 대학구조개혁을 속도전으로
밀어붙이기 보다는 천천히 가더라도 제대로 갈 수 있도록 세부 추진 내용에 대한 정
부 당국의 충분한 설명과 홍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 현장의 이해와 인식을
외면한 구조개혁 정책은 실효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구조개혁 대상인 대학이 공감
할 수 있는 구조개혁 정책을 마련하여 대학 현장의 인식과 이해의 차이를 좁히려고
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마련하여 정책과 비전에 대한 신뢰를 고도화해 나가는 것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셋째, 획일적 대학평가를 통한 구조개혁 추진으로 인해 대학
의 자율성이 위축되지 않고, 전체 대학 교육의 질 제고와 지역균형 발전을 우선하는
대학구조개혁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넷째, 구조개혁은 어느 개인이나 집단이
불이익과 희생이 따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대
처방안을 세밀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guideline for the direc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structural reform by comparing/analyzing how administrative
staffs in the filed recognize the structural reform policy of national
universities. The backgrounds of universities' structural reform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tate-the need for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visible
insufficient new student enrollment in universities due to rapid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was organiz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trends of national university's structural reform policy by government from
'Government of People' to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ere reviewed.
A survey on basics, promotion method and effectiveness of national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mong 250 administrative staffs in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Jeju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of data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 for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s recognition for the
basic items of national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showed that, in general,
the staffs regard the structural reform as a must and the reform is closely
relates with 'me'. However, they did not understand well about the basic
object or detail of the structuralreform policy.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e visible insufficient new student enrollment in universities due
to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as the most crucial reason for national
universities' structural reform and suggested to place more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research policy to promote the structural
reform.
Second, analysis result for the recognition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for the
promotion method of national universities structural reform showed that they
agre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motion of the structural reform and
government-funded program while, in general, they showed, in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negative awareness on government's ongoing structural
reform policy's effectiveness and rationality. 66.8% of the staffs answered that
the structural reform of national universities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universities by themselves. 22.9% answered that government's intervention is
needed for fear that possible war of attrition between universities including
management of evaluation index or point earning rather than essential
functioning as a university due to government initiated promotion of
structural reform.
Third, analysis result for the recognition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for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universities structural reform showed that, for
positive effect, they anticipate it will boost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trengthen universities' competitiveness with the institutional basis leading
uncompetitive universities' improved management and promote overall capacity
for education while small number of the staff anticipated that university
member's satisfaction will improved. And, for negative effect, many of the staff agreed the possible damage on autonomy of university, exacerbating
conflict between members and their lowered morale.
Conclusions based on analysis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since a certain level of consensus about need for university structural
to cope with rapid reduction of students, even though it can take more time,
government authorities' sufficient explanation and promotion should be
preceded rather than push ahead the government initiated unidirectional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Second, since structuralreform neglecting the
understand and recognition of the field of university will not gain
effectivenes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elevate the trust for policy and
vision by preparing structural reform policy which can be agreed by
universities-subjective of the reform and various approaches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 for university. Third, the
shift of paradigm for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which put priority on the
boost of the quality of all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s is required. Fourth, structural reform accompanies disadvantage and
sacrifice of a certain individual and group. Therefore, effective plan for such
problem should be prepared in detail.
Author(s)
강명숙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032
Alternative Author(s)
Kang, Myeong Suk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1.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 5
2. 대학구조개혁의 개념과 목적 7
3. 우리나라 대학구조개혁 정책 변화 9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22
2. 조사 도구 24
3. 자료 처리 2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6
1. 국립대학 구조개혁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분석 26
2. 국립대학 구조개혁 추진방식에 관한 인식 분석 36
3. 국립대학 구조개혁의 긍정적 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42
4. 국립대학 구조개혁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인식 분석 51
Ⅴ. 요약 및 결론 59
1. 요약 59
2.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4
Abstract 66
부록: 국립대학 구조개혁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 연구 설문지 6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명숙. (2014). 국립대학 구조개혁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