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erception on the Food Allergen Labeling among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와 식품
알레르기 인지,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및 관리 실태
를 파악하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는 6개 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4-6학
년 학생1,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3일∼7월18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00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1.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49.6%, 여학생 44.2% 이었고, 4학년 28.4%, 5학년 27.5%,
6학년 44.1% 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이 조사 대상자의
16.7%이었고, 경험한 학생 중 의사진단을 받은 학생은 26.4%로 나타났다. 경험한
증세로는 두드러기 33.2%, 가려움 32.0%, 구토 13.5% 등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
험한 식품으로는 우유 14.1%, 게 12.1%, 새우 6.8% 등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식품알레르기 인지여부에 관한 사항에서는 식품알레르기를 알고 있는 학생이
75.6%, 인지하지 못한 학생이 24.4%로 조사 되었다.
식품알레르기 지식 점수는 8점 척도에 여학생이 5.71, 남학생 5.47 이었으며, 학
년별에서는 4학년 5.25, 5학년 5.71, 6학년 5.73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품알레
르기 지식점수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01).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점수는 5.68, 경험하지 않은
학생은 5.57으로 나타났고, 식품알레르기를 인지하는 학생의 알레르기 점수는 5.82, 인지하지 못한 학생은 4.88으로 알레르기를 인지하는 학생이 유의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p < 0001).
3.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를 Likert의 5점 척도로 점수화 했
을때.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를 이해한다'는 인식도는 2.48, '학교급
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가 필요하다'는 1.86,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
시제는 알아보기 쉽게 표시되어 있다'는 2.40,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
제에 표시되는 내용에 만족한다'는 2.27 이었으며, 4문항의 전체적인 인식도의 평
균 점수는 2.25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
식도와 성별, 학년별,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식습관을 Likert의 5점 척도로 점수화 했을 때 '생선, 살코기, 콩 제품, 달걀
등 단백질 식품을 매일 한번 이상 먹는다'가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 음
식은 적게 먹는다'가 3.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있는 학생
의 식습관 점수는 3.53, 경험이 없는 학생은 3.66으로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없는
학생의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식품알레르기를 인지하는 학생의 식습관 점수는 3.67, 인지하지 못하는 학생의
점수는 3.56으로 식품알레르기를 인지하는 학생의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p < 0.05).
5. 설문지 조사 당일 식단에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이 있었는지 조사 한 결과 식
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 167명(16.7%)의 학생들 중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이
그날 있었다고 응답한 학생은 총 16명(9.6%)이었고, 유발식품으로는 우유(7명),
고등어(3명), 계란(1명), 쇠고기(1명), 메밀(1명), 밀(1명), 한치(1명), 콩(1명) 으로
조사되었다. 이 학생들에게 대체식으로 제공된 식품을 보면 7명의 우유알레르기
가 있는 학생 중 6명은 감귤주스 및 주스로, 나머지 1명은 두유로 제공 받고 있
었다. 1명의 쇠고기 알레르기가 있는 학생은 쇠고기를 제외된 된장국으로, 계란
알레르기 학생 1명은 흰죽으로, 3명의 고등어 알레르기가 있는 학생 중 1명은 김으로, 또 1명은 계란으로 제공받고 있었고, 나머지 1명은 대체식을 제공받지 못
하고 있었다. 또한 메밀, 밀, 한치, 콩에 알레르기가 있는 학생들도 대체식을 제
공받지 못하고 있었다.
6. 조사대상자 중 30.8%만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을 받았고, 교육방법으로는 '가
정통신문, 학교홈페이지 등' 48.0%, '선생님 또는 영양(교)사를 통해서' 33.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내용으로는 '원인식품 정보'가 39.1%,
'표시제도'는 26.7%, '응급관리 요령'이 20.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교육 희망여부에서는 교육을 받고 싶은 학생이 86.8% , 받고 싶은
교육내용으로는 '응급관리 요령' 47.1% , '원인식품 정보' 25.5% , '대체식품 정보'
12.3% 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가장 바라는 점은 '알레르기 예방 교육을 실시
한다'가 43.7%,'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다'는 32.7%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 16.7%(167명) 중 의사진단을 받은
학생은 26.4%(44명)로 적게 나타났다. 식품에 대한 이상반응을 모두 식품알레르
기로 오인할 수 있으므로 식품 섭취 후 이상반응이 있을 경우 정확한 의사진단
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를 알고 있는 학생은 71.9%로 많았으나, 이
해도, 만족도, 필요성, 용이성에 대한 인식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을 희망하
는 학생이 86.8% 많은 것으로 보아 학교에서는 담임교사, 보건교사, 영양(교)사
의 협조를 통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 및 홍보를 해야 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을 무조건 제외하다 보면 다양한 영양소 섭취가 어려
워져 영양부족 또는 성장지연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대체식 제공에 따른 관
리가 중요하다. 특히 어린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스스로 알레르기 식품을 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관리가 중요하므로 영양(교)사 대상
식품알레르기 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food allergy experience and
recognition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and its
management status in school food servic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Jeju Area..
Six elementary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from which, 1,500 high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July 3, 2014 ~ July 18, 2014. One thousand
survey shee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1.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49.6% of male students and
44.2% of female studnets, which came from 28.4% of the 4th graders, 27.5%
of the 5th graders, and 44.1% of the 6th graders. Analysis result showed that
16.7% of students experienced food allergies, and 26.4% of them was
diagnosed with food allergy. The common food allergy symptoms they
experienced were hives(32%), itching(32.0%), and vomit(13.5%). The common
food allergies were milk(16.7%), crab(12.1%), and shrimp(6.8%).
2. As for the perception of food allergy, 75.6% of high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re aware of food allergy. The score on the knowledge of food
allergy stood at 5.71 and 5.47 out of 8-point scale in female and male
students, respectively. The food allergy knowledge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students' grade went ups; 5.25 in the 4th graders, 5.71 in the
5th graders, and 5.73 in the 6th graders (p < 0.001).
The score on the knowledge of food allergy was indicated to be 5.68 in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food allergy and 5.57 in the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The score on the knowledge of food allergy stood at 5.82 in the
students who perceive food allergy and 4.88 in the students who failed to
recognize. Thus, the students who perceive food allergy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ood allergy knowledge score (p < 0001).
3. When scoring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with the Likert's 5-point scale, the recognition as saying
of 'understanding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stood at 2.48. The recognition as saying of 'requiring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stood at 1.86. The recognition as
saying that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is
marked as user-friendly' stood at 2.40. The recognition as saying of 'being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being marked in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stood at 2.27. The average score of the whole
recognition level in 4 items was shown to be low with 2.25. However, it was
indicat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and to
the appearance of experiencing food allergy by gender and grade.
4. When scoring the eating habit with the Likert's 5-point scale, the response
as saying of 'eating protein rich food such as fish, lean meat, bean product,
and egg more than once a da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with 4.05. The
response as saying of 'eating sweet food sparingly' was indicated to be the
lowest with 3.32. The score of the eating habit stood at 3.53 in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food allergy and 3.66 in the students without the
experience (p < 0.05).
The score of the eating habit in the students who perceive food allergy stood at 3.67. On the other hand, the score in the students who fail to recognize
the food allergy stood at 3.56, that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ating habit score of the students with food allergy recognition (p < 0.05).
5. It was carried out , whether there was food allergen in the menu on that
day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Sixteen students (9.6%) reported to have
food allergen on that day's menu among 167(16.7%) students who experienced
food allergy. Food allergens were milk(n=7), mackerel(n=3), egg(n=1), beef(n=1
), buckwheat(n=1), wheat(n=1), cuttlefish(n=1), and beans(n=1). Alternative
meal service was provided to theses students. Six out of seven students with
milk allergy were provided with citrus juice or other types of juice. The
remaining 1 student was provided with soy milk. One student with beef
allergy was offered with bean paste soup excluding beef. One student with
egg allergy was offered with rice porridge. Three students with mackerel
allergy were provided with seasoned laver, egg, or nothing. At last, the
students allergic to buckwheat, wheat, cuttlefish, or beans were failing to be
offered alternative food.
6. Only 30.8%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educated on the food allergy.
Main routes for the education were the school newspaper(48.0%) and
'teachers or nutrition teachers'(33.5%). The contents of the food allergy
education w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llergic food ingredients'(39.1%),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26.7%), and 'food allergy emergency
plan'(20.0%).
Related to the motivation to learn about food allergy, 86.8%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desired to have the education on food allergy. The contents that
students were interested to know were 'food allergy emergency plan'(47.1%),
'the information about the allergic food ingredients'(25.5%), and 'the
information about substitutional/alternative food choices'(12.3%). What
students wanted from the schools related to the food allergy were 'allergy
prevention education'(25.5%), 'the enhance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 toward those who having food allergy'(32.7%), and so on.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received doctor's diagnosis were shown to be
few with 26.4%(44 students) out of 16.7%(167 students) who experienced food
allergy. It is possible to be misunderstood for students with abnormal
response to certain food as food aller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doctor's correct diagnosis if one had abnormal response on food consumption.
Even though 71.9% of students was aware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on school food service, the recognition level on understanding,
satisfaction, necessity, and availability of the system was indicated to be low.
In fact, 86.8% of students would like to be educated on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Hence, the continuous management, education and publicity
on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need to be made at a school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homeroom teachers, health teacher, and nutrition teacher.
Unconditionally removing allergy causing food(s) from menu may lead to
malnutrition or growth retardation, so that alternative food service must be
taken place for students with food allergy. Since the elementary schoolers are
lacking in ability of managing allergic food by themselves, the school itself
should put efforts intoconstructive education on food allergy for nutrition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Author(s)
김현희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28
Alternative Author(s)
Kim Hyun-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식품알레르기 정의 4
2. 식품알레르기 증상 4
3.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 5
4.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5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조사 대상 및 기간 7
1) 조사대상자의 선정 7
2) 조사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1) 일반적 사항 9
2) 식품알레르기 지식에 관한 사항 9
3)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 및 관리실태 9
4) 식습관 조사 9
3. 조사자료 분석방법 1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11
2.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와 증상 및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 13
1)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 13
2) 식품알레르기 의사진단 여부 14
3) 식품알레르기 증상 15
4) 식품알레르기 원인식품 18
3. 식품알레르기 지식 20
1) 식품알레르기 인지 여부 20
2) 식품알레르기 지식 문항별 정답률 및 점수 21
4.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26
1)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 26
2)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른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 30
3) 식품알레르기 인지에 따른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 31
5. 식습관 조사 33
6. 식품알레르기 경험 집단의 학교급식 관리 실태 41
1) 대체식 제공 여부 및 제공 받은 음식 41
2) 당일식단 알레르기 유발식품 유무 43
3) 당일식단 알레르기 유발식품 및 대체식으로 받은 음식 44
7.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교육 46
1) 식품알레르기 교육경험 유무 및 교육방법과 내용 46
2) 식품알레르기 교육희망 여부 및 교육방법과 내용 50
3) 식품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가장 바라는 점 52
Ⅴ. 요약 및 결론 53
참고문헌 57
부 록 60
Abstr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현희. (2014).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