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영양표시 이용실태와 인식도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the Food-Nutrition Labeling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표시 이용실태, 식품·영양표
시에 관한 지식 및 인식, 식습관을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품 선택 및 건
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으며, 총 720부를 배부하여 응답이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655부(91.0%)
를 통계 분석하였다.
1.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45.7%, 여학생 54.4%이었고, 1학년 21.7%, 2학년 45.5%,
3학년 20.6%, 4학년 12.2%이었으며, 식품 계열 학생이 31.0%, 비식품 계열 학생
이 69.0%이었다. 식품·영양 관련 강좌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이 43.1%, 수강 경
험이 없는 학생이 57.0%,이었고, 식품·영양 관심도는 약간 그렇다 41.1%, 보통이
다 27.0%, 매우 그렇다 14.5%, 별로 그렇지 않다 11.9%, 전혀 그렇지 않다 5.5%
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간식 섭취 빈도는 '하루1회' 섭취한다는 응답률이 23.5%로 가장
높았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3.7%로 가장 낮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p<0.001), 1학년이 다른 학년보다(p<0.001), 비식품 계열 학생이 식품 계열 학생
보다(p<0.01) 간식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섭취 빈도가 높은 가
공식품은 '우유 및 유제품류', '음료류', '과자 및 빵류' 순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75.7%가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있었고, 여학생(82.0%)이 남학생(68.2%)보다(p<0.001), 식품 계열 학생(84.8%)이 비식품 계열 학생(71.7%)보다
(p<0.01), 식품․영양 관련 강좌를 수강한 학생(82.6%)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
(70.6%)보다(p<0.01), 식품․영양에 관심이 많을수록(p<0.001), 간식을 섭취하는
학생들이 간식을 전혀 먹지 않는 학생들보다(p<0.05) 식품표시 확인율이 유의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위해서
(40.4%)',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하
기 때문에(47.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식품표시
의 내용은 '유통기한 또는 제조연월일(26.4%)'이었다.
4. 조사대상자의 67.8%가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있었고, 여학생(75.1%)이 남학생
(59.2%)보다(p<0.001), 식품 계열 학생(75.8%)이 비식품 계열 학생(64.2%)보다
(p<0.05), 식품․영양 관련 강좌를 수강한 학생(75.2%)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
(62.2%)보다(p<0.01), 식품․영양에 관심이 많을수록(p<0.001) 영양표시 확인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 섭취 횟수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p<0.05).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는 '체중조절을 위해서(31.8%)', '영양정보
획득을 위해서(29.0%)',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영양표시가 눈에 띄지
않아서(32.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식품 종류는 '우유
및 유제품류', '과자 및 빵류' 순이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양표시의 내용은
'열량(21.2%)', '트랜스지방(11.8%)', '나트륨(11.7%)' 순으로 나타났다.
5. 영양표시 관련 지식에서 1회 제공량의 정답률은 52.1%, 칼로리는 72.4%, %영
양소 기준치는 47.8%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지식 점수는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
은 학생이 관심도가 낮은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간식 섭
취 횟수(p<0.05)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를 확인하
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보다(p<0.001) 영양표시의 지식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식품·영양표시 이해도는 '쉽다'라는 학생은 25.8%, '보통이다'는 36.2%, '어렵다'
라는 학생이 38.1%이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p<0.01), 식품 계열 학생이 비식품계열 학생보다(p<0.01),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을수록(p<0.001), 식품표시 및 영
양표시를 확인하는 학생들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들보다(p<0.001), 영양표시 지식
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p<0.001) 식품·영양표시를 이해하기 쉽다고 응답한 비
율이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7. 식품·영양표시의 식생활 영향 여부는 식품 계열 학생이 비식품 계열 학생보다
(p<0.001), 식품․영양 관련 강좌를 수강한 학생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보다
(p<0.01),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은 학생이 관심도가 낮은 학생보다(p<0.001), 식
품표시 및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보다(p<0.001), 영양
표시 지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p<0.01) 식생활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비
율이 높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8.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긍정적 및 부정적 인식 관련 문항을 Likert의 5점 척도로
점수화 했을 때,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긍정적 인식은 '건강에 필요한 식품 선택이
용이하다(3.57)', '제품의 영양적 특성을 알 수 있다(3.55)' 순으로 나타났고, 부정
적 인식은 '식품회사에서 과대광고를 할 우려가 있다(3.56)', '표시 내용에 대한
오해를 할 우려가 있다(3.49)' 순으로 나타났다.
9.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교육이나 홍보 필요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p<0.05),
식품 계열 학생이 비식품 계열 학생보다(p<0.01), 식품․영양 관련 수업을 수강
한 학생이 수강을 하지 않은 학생보다(p<0.001),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을수록
(p<0.001),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보다
(p<0.001), 영양표시 지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p<0.05)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교육이나 홍보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필요한 영양교육 주제는 '건강한 체
중관리(19.8%)', '식생활과 건강과의 관계(16.8%)',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조리법(16.5%)' 순으로 나타났다.
10. 식습관 점수는 1학년이 다른 학년보다(p<0.05), 하루2회 이상 간식을 섭취하
는 학생이 다른 학생들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p<0.001),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은 학생이 관심도가 낮은 학생보다(p<0.01),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보다(p<0.01),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
생보다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본 연구 결과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학생이 확인하지 않는 학생에
비해 영양표시 지식 및 식습관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영양표시 이용이
건강한 식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계열 학생이 비식품 계열
학생보다, 식품․영양 관련 강좌를 수강한 학생이 식품․영양 관련 강좌를 수강
하지 않은 학생보다 식품·영양표시의 높은 확인율을 보였으며, 이는 영양교육이
식품·영양표시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므로 건강한 식생활
에 도움이 되는 식품·영양표시에 관한 교육과 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
록 쉽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식품·영양 관심도가
높을수록 식품·영양표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식품과 영양
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식품·영양표시 활용도
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statu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it, and dietary
habit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nutrition education so that they could select good foods
and lead a healthy dietary life.
A total of 7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Jeju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9, 2014; then, 655 questionnaire
analyzed except in the inadequate response data.
1. 45.7% of the respondents were male, 54.4% were female and 21.7%
were of first graders, 45.5% of second graders, 20.6% of third graders,
12.2% of fourth graders; 31.0% were food major and 69.0% were
non-food major.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were 43.1% and students who hadn't took a lecture were
57.0% and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 were a little 41.1%, normal
27.0%, very 14.5%, not much 11.9%, not at all 5.5%.
2. Frequency having a snack the response as saying of once a da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with 23.5% and do not eat at all was
shown to be the lowest with 3.7%; frequency having a snack wassignificantly higher female than male(p<0.001), the first graders
students than other graders(p<0.001), non-food major than food
major(p<0.01).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processed food was milk
and dairy goods, followed by beverages and confectionery and bread.
3. 75.7% of the respondents checked food labeling and food labeling
check rat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emale than
male(p<0.001),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p<0.01),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than students who
hadn't(p<0.01), the mor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p<0.001),
students who had a snack than students who did not at all(p<0.05).
They checked food labeling mostly for the expiration date and failed to
check it mostly because they made a purchase with no consideration;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food labeling was expiration date or
date of manufacture.
4. 67.8% of the respondents checked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check rat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emale than
male(p<0.001),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p<0.05),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than students who
hadn't(p<0.01), the mor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p<0.001);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y frequency having a snack(p<0.05).
They checked it mostly for weight control and to acquire nutritional
information and failed to check it mostly because it was invisible. The
food for which they checked nutrition labeling most frequently was
milk and dairy goods, followed by confectionery and bread, and thecontent in nutrition labeling they regarded as important was calories,
followed by trans fats and sodium.
5. In knowledge related to the nutrition labeling, serving size's correct
answer rate was 52.1%, calorie was 72.4%, and % nutrient reference
value was 47.8%. The score on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tudents who were many
interested in food and nutrition than students who were few(p<0.01)
an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y frequency having a
snack(p<0.05); the score on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01).
6. In understanding of food-nutrition labeling, 25.8% of respondents
answered be easy, 36.2% answered normal and 38.1% answered be
difficult. Answer rates that food-nutrition labeling is easy to
understand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as respondents
grade went up(p<0.01),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p<0.01), the
mor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p<0.001),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01),
high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group than low group(p<0.001).
7. Answer rates that food-nutrition labeling checking affect dietary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p<0.001),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than students who hadn't(p<0.01), students who were manyinterested in food and nutrition than students who were few(p<0.001),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01), high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group
than low group(p<0.01).
8. When scoring the questions for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with the Likert's 5-point scale, positive
percep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was it makes it easy to select
foods necessary for health, followed by it shows nutritional properties
of a product and negative percep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was it
can cause food companies to make exaggerated advertisements,
followed by it can cause a mis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in
labeling.
9. The need of education or promotion concerning the food-nutrition
labeling system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emale than
male(p<0.05),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p<0.01),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than students who
hadn't(p<0.001), the mor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p<0.001),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01), high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group
than low group(p<0.05). The most required theme of nutrition education
was healthy weight control, followed by relations between a dietary life
and health and cuisine to reduce sodium intake.
10. The scores of the dietary habi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lower first graders than other graders(p<0.05), students who had a
snack more than twice a day than other students(p<0.001) and the
scores of the dietary habits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tudents who were many interested in food and nutrition than students
who were few(p<0.01),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1), students who checke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p<0.001).
Food-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contributed to a healthy dietary life:
students who checked food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than students
who didn't check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the scores on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and of the dietary habits. Given the
fact that food-nutrition labeling check rat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food major than non-food major, students who had
took a lecture related to foods or nutrition than students who hadn't,
nutrition education seems to affect food-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posi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both education concerning
food-nutrition labeling to contribute to a healthy dietary life and easy
and constant nutrition education to use it actually. The more interest in
foods and nutrition, the higher level of food-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therefore, additional education to allow university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 in foods and nutrition would increase food-nutrition
labeling utilization.
Author(s)
현주삼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30
Alternative Author(s)
Hyun, Ju-Sam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대학생의 식습관 4
2. 식품·영양표시제도 5
1) 식품표시제도 5
2) 영양표시제도 6
3) 우리나라의 식품·영양표시제도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9
1. 조사 대상 및 기간 9
2. 조사내용 및 방법 9
1) 일반 사항 9
2) 식습관 조사 10
3) 식품표시 및 영양표시 이용실태 10
4)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 및 인식 10
3. 통계처리 1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 사항 11
2) 조사대상자의 식품·영양 관심도 13
2. 간식 및 가공식품 섭취실태 14
1) 조사대상자의 간식 섭취 빈도 14
2) 조사대상자의 가공식품 섭취 빈도 16
3. 식품표시 이용실태 18
1) 식품표시 확인 여부와 이유 18
2) 식품표시 선택의 중요 항목 23
4. 영양표시 이용실태 및 지식 24
1) 영양표시 확인 여부와 이유 24
2)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식품 종류 29
3) 영양표시 선택의 중요 항목 30
4) 영양표시 관련 지식 31
5. 식품·영양표시 인식도 33
1) 식품·영양표시 이해도와 식생활 영향 여부 33
2) 식품·영양표시제도의 긍정적 및 부정적 인식 41
3) 식품·영양표시제도 교육의 필요성 43
6. 식습관 조사 48
1)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분포 48
2)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점수 50
Ⅴ. 요약 및 결론 52
Ⅵ. 참고문헌 57
부 록 61
Abstract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현주삼. (2014). 제주지역 대학생의 식품·영양표시 이용실태와 인식도 및 식습관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