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보도영상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재난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들에게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매체 중 하나이다. 국
민들은 재난방송이 방재와 피해 수습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으로써의 기능과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한다. 하지만 이번 세월호 침몰사고에서 방송사들이 보여준 보도행태
는 과거에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방송사들마다
의제 설정에 대한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뉴스보도의 신속성만을 추구한 나머지 방송
의 공공성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보도 준칙을 근거로 과거 대형사고 발생 시 꾸준히 제기되었던
재난보도영상의 선정성과 자극성을 세월호 침몰사고 재난보도를 바탕으로 귀납적 방
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난주관방송사인 KBS와 공영방송 MBC, 종합편성채널 JTBC 저녁 종합
뉴스를 중심으로 세월호 관련 방송보도의 일반적 특성을 통해 재난뉴스를 전반적으로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월호 보도 관련 방송사간 보도영상 주
제, 보도영상 출처, 보도영상의 인터뷰 유형 및 취재원의 차이 그리고 보도영상과 뉴
스내용과의 일치도를 방송시기별로 나눠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방송사별로 보도
주제 및 보도방향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초상권
침해를 하지는 않았는지, 빈도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세월호 관련 본 연구에서 사고 발생일인 4월 16일부터 4월 25일까지 10일간 분석
된 총 영상은 963개였으며, 방송사별로는 'MBC'(37.4%)가 가장 많았고, 'KBS'(34.
1%), 'JTBC'(28.6%) 순이었다. 보도영상 주제를 살펴보면 '바다사고현장'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바다사고현장'의 세부항목은 '세월호 선내', '세월호 침몰', '민/관/군 수
색', '선수(뱃머리)화면' 영상으로 보도영상주제에서 가장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영상이
다. 따라서 세월호 침몰사고 보도에서 흥미 위주의 보도영상을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도영상의 출처는 주로 '카메라 기자'와 '정보원 제공'으로 나타났다. '카메라 기
자'의 비율은 JTBC가 가장 높았고, '정보원 제공'은 상대적으로 MBC가 높게 나타났
다. 정보원 제공 영상은 영상소스의 한계로 인해 방송사들이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
었다.취재원 출처는 '기자취재' 유목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다음으로 '중앙정부' 유목
순으로 나타났다. '기자취재' 유목으로 인해 인터뷰 유형에서는 '공식적 인터뷰' 보다
는 '비공식적 인터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방송3사 중 JTBC가 '기자취재' 비중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앵커-현장기자 비중이 높은데서 기인한 결과로써, 재난 시
취재원 섭외의 어려움을 현장보도(앵커-현장기자)로 대체했음을 알 수 있다. 취재원
출처에서 '중앙정부' 유목이 두 번째로 높은 이유는 정보의 공신력에 대한 신념과 취
재의 편이성 때문이다.
보도영상과 뉴스내용의 일치도는 컴퓨터 그래픽(C.G)과 문서, 미니어처 등의 보도
영상을 설명하는 뉴스기사로 인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주제는 방송사 3사 모두 '사고관련 조사'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 방송사들
마다 사고원인에 대해 사고발생 초기에는 '선박직 직원', 사고발생 이후에는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과 관련된 보도가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도방향도 전체
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상권 침해 보도비율에서는 방송 3사 모두 피해
자와 유가족에 대한 인물 식별이 가능한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방송사별로
는 JTBC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세월호 침몰사고 보도는 피해자와 유가족을 위한 방송이 아닌 시
청자를 위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영상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기자들이 재난보도준칙
을 읽어본 경험이 없거나 제대로 관련 조항을 숙지하지 못해 발생한 결과로 판단되
며,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반성으로 언론 5개 단체 공동 재난 보도준칙을 마련했
다.
TV 뉴스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타 매체에 비해 크기 때문에 재난을 어떤 방식으
로 보도하고, 어떤 부분을 선택하고 부각시키는지에 따라 수용자의 인식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방송사들은 언론윤리강령 및 보도준칙에 근거해 피해자와 유가족들을
배려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를 통해서 정보전달자로서의 역할에 집중해야 할 것이
다.
Disaster broadcas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edia to the public
upon an occurrence of a disaster. The public expects disaster broadcasts
to perform the function and role as a means of delivering information for
the prevention and handling of disasters. However, the form of reports on
the sinking of the MV Sewol presented by broadcasting companies remained
at the level of displaying all the problems in the past, because each
broadcasting company did not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interest of broadcasted due to the pursuit of the rapidity of news reporting
in the excessive competition of agenda setting.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amine an inductive method of the
inflammation of disaster reports on the disaster report of the MV Sewol
constantly proposed upon the past occurrences of large disasters due to
the adherence of rules of disaster reports.
To achieve this, this study has examined how KBS and public
broadcasting MBC,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JTBC night
news, which covered the disaster, reported the sinking of the MV Sewol in
general, with respect to standard properties of broadcasting reports.
Further, this study has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consistency of the
theme of broadcasted footage, source of broadcasted footage, type of
interviews, difference in sources, and the content of news and broadcasted
footage between the broadcasting companies. Lastly, the difference in thereported theme and reported direction between broadcasting companies
were compared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portrait rights of the victims and families were infringed.
This study, which relates to the MV Sewol, has analyzed a total of 963
videos for 10 days from April 16 to April 25,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broadcasts were reported by 'MBC' (37.4%), followed by 'KBS' (34.1%) and
'JTBC' (28.6%). The theme of the broadcasted footage mostly handled the
'disaster site'. The detailed categories of the 'disaster site' included 'the
interior of the Sewol', 'the sinking of Sewol', 'private/military/governmental
search', and 'the bow of the ship', wherein the most stimulating and
selective footage used was focused on interest.
The sources of broadcasted footage mainly included 'camera reporters'
and 'source providers'. The proportion of JTBC 'camera reporters' was the
highest, and the proportion of MBC 'source providers' was relatively high.
Videos supplied by source providers were customarily used by broadcasting
companies due to the availability of video footage. The broadcasted footage
and content of news we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use of computer
graphics, documents, and miniatures.
With respect to the source of reporters, 'reporter coverage' was the
highest method, followed by 'the central government'. Due to the method of
'reporter coverage', interview forms mainly consisted of 'unofficial
interviews' rather than 'official interviews'. Among the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JTBC displayed the highest level of 'reporter coverage', which is
the result of the high proportion of anchor-site reporter, which has
resolved the difficulty of casting a source at the disaster site, with on-site
reporting (anchor-site reporter). The method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the second highest in regard to the source of reporters, due to the
confidence of information and the convenience of reporting.
With respect to the theme of reporting, all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presented 'disaster-related research' as the highest theme, because each
broadcasting company focused on reports related to 'ship employee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disaster and reports related to the 'former
president of Semo Group, Mr. Byung-Eon Yoo' after the disaster. Thus, thebroadcasting direction was naturally negative on the whole. With respect to
the infringement of portrait rights, all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mainly
displayed reports wherein the victims and families could be distinguished,
with JTBC occupying the highest level of displaying portrait rights among
the broadcasting companies.
In conclusion, the broadcasted image of the sinking of the MV Sewol was
comprised of selective footage not for the victims or the families but for
the viewers. This is deemed to be due to the reporters,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reading disaster report rules not have the full knowledge
of related terms. Accordingly, five media corporations have prepared a set
of joint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as a reflection on such problems.
The influence of TV news is relatively great in comparison to other media,
and thus, the acknowledgement of the recipients depends on how a disaster
is reported, and which aspects are selected and emphasized. Therefore, the
broadcasting companies must concentrate on the role as an information
provider through fair and rational reporting that considers the victims and
the families based on the media ethics code and adherence of the reporting
rules.
Author(s)
고진현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42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연구고찰 3
1. 재난방송보도에 관한 연구 개관 3
2. 세월호 방송보도에 관한 연구 동향 8
3. 선행연구의 한계와 본 연구의 의의 11
제2장 이론적 배경 13
제1절 재난보도의 개념 정의 및 보도준칙 13
1. 재난보도의 개념 정의 및 기능 13
2. 재난보도 준칙의 제정 배경 및 의의 15
제2절 보도영상의 기능 및 역할에 관한 논의 22
1. 보도영상의 기능 및 역할 22
2. 보도영상과 내용의 연관성 24
제3절 보도영상 출처에 관한 논의 26
제3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29
제1절 연구문제 29
제2절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과 표집방법 30
2. 분석유목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3
제3절 신뢰도 검증 41
제4절 분석결과 42
1. 세월호 관련 방송보도의 일반적 특성 42
2. 보도영상 주제에 대한 분석결과 49
3. 보도영상 출처에 대한 분석결과 53
4. 인터뷰 유형 및 취재원에 대한 분석결과 55
5. 보도주제 및 보도논조에 대한 분석결과 59
6. 보도영상과 뉴스내용의 일치도에 대한 분석결과 61
7. 초상권 침해에 대한 분석결과 63
제4장 결론 및 제언 64
제1절 연구결과 요약 64
제2절 결론 및 함의 67
제3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71
72
78
81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진현. (2014). 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보도영상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