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체육 부진아 교육을 위한 놀이형 검사도구 개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체육과목을 선호하지만(김광철, 2002), 학년이 올라갈수록 체육 교과를 즐겁게 생각하지 않는 학생이 점점 증가하여 체육을 잘 못하는 학생 또한 점차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신남철, 박정화, 2005). Silverman(1993)의 연구에 의하면 운동기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체육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성취감을 경험하게 되지만 운동기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충분한 기능 습득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체육 수업에 참여하더라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ousineau & Luke, 1990; Silverman, 1993). 운동기능이 떨어지는 학생의 대부분이 체육 부진아가 되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체육수업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해 또래 친구들로부터 소외를 받아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는 전문화된 움직임이 형성되고 있는 시기이고 독립 체육교과 수업이 시작되기 전 학년인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정규 수업 시간에 교과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측정이 가능한 놀이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검사를 통하여 체육 부진아를 선별함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의 운동기능 능력에 관심을 갖도록 하여 체육 부진아들이 정규 체육시간 및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제주, 서울, 인천, 충남, 전북지역 7개 초등학교 2학년 학생 중 만 연령이 8세에 해당하는 남학생 218명, 여학생 192명으로 총 410명이다. 놀이형 검사 종목은 현재 2학년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 교과내용을 대상으로 각 체력 영역별 2∼3개의 예비종목을 선정한 후, 초등체육교사 및 스포츠 강사 총 5인이 참여한 전문가 회의에 의해 결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놀이형 검사 종목은 민첩성, 순발력, 평형성, 스피드 및 협응성을 각각 측정할 수 있는 콩주머니 나르기, 10단 멀리뛰기, 평균대 8자돌기, 50m 달리기, 콩주머니 던지기이다. 놀이형 검사의 검사-준거 관련성은 기존 운동기능검사인 왕복달리기, 제자리 멀리뛰기, 평균대 걷기, 50m 달리기, 농구공 드리블 종목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확인하였는데, 종목간 r값이 .39∼0.79 사이로 나타나서 두 검사간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놀이형 검사의 신뢰도는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주 기간의 간격을 두고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상관계수가 .88∼.98로 나타나서 검사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체육부진아 기준은 각 종목별 측정값 백분위를 근거로 하위 25%(김윤희, 2003), 하위 20%, 하위 5%(신남철, 2005; 임현주 2006)에 해당하는 측정치를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서 체육 부진아 기준은 하나의 절대 수치가 아닌 하위 25%에 해당하는 값과 하위 5%에 해당하는 값을 기초로 범위(range)로 제시하였다. 즉 하위 25%에 해당하는 학생은 체육 수업에 흥미를 잃어버릴 수 있는 학생으로 체육활동 참여를 독려해야 하는 '활동 독려군'으로, 하위 5%에 해당하는 학생은 체육 부진 정도가 심각한 학생으로 단순히 체육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일대일 지도가 필요한 '정밀 지도군'으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작된 놀이형 검사는 실제 수업 시간을 통하여 체육부진아를 선별함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의 운동기능 능력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여 체육부진아들이 정규 체육시간 및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표본을 선정하여 체육 부진아 기준에 대한 타당성 및 놀이형 검사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to promote the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necessary to perform exercise, to materialize individual students' desire for motion,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bout exercise and health, and to learn socially desirable attitude and culturally valuable norms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ly prefer physical education (Kim Gwang-cheol, 2002), but the higher the school years are, the more students do not like physical education,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physical education increases. (Shin nam-cheol, Park Jeong-hwa, 2005). According to the research by Silverman (1993),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physical exercise functions participate positive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xperienc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but the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physical exercise function do not obtain the opportunity to learn sufficient functions, and even if they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y do not take delight in it (Cousineau and Luke, 1990; Silverman, 1993). Most of the students who fall behind in physical exercise functions become underachiev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and as they become students in higher grade, they are maladjusted to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hunned by their friends, and their overall school life is negatively affected.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game-type test tool that can be used as subject contents in regular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econd graders who begin to form specialized motion before beginning independent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test aims to select underachiev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and to make teachers and parents have interest in students' exercise function abilities to induce underachiev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410 eight-year-old second graders (male: 218, female: 192) of 7 elementary schools in the regions of Jeju, Seoul, Incheon, Chungnam, and Jeonbuk. The game-type exercise function test events were determined by the specialists meeting in which 4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2 person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evaluation after 2 or 3 preliminary events by physical strength domain were selected from the subject contents of "Pleasant Life" which is the integrated study module for current second graders. The finally selected game-type exercise function test events are beanbag carrying, triple long jump, balanced beam 8 figure circling, the 50 meter sprint, beanbag throwing in which agility, instant reaction, balancing, speed, and coordination capability can be measured, respectively. The test-standard correlations of the game-type exercise function tests were confirmed throug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exercise function test events: round-trip running, standing long jump, balance beam walking, the 50-meter sprint and ball dribbling, and the r values between the events were 0.39~0.79, which confirm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tests. The reliability of the game-type exercise function test was verified by conducting tests-retests on 30 students at intervals of 1 weeks,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the applicable grade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and subjectively evaluated each student's degree of underachievement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 through "Student Physical Education Activity Evaluation" questionnaires. The criteria of selecting the underachiev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were determined preliminarily with the judgmental standard setting method and the bottom 25 percent to 5 percent place on a percentile basis. Follow-up researches on the criteria of selecting underachieved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by diverse criteria and standard setting method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Author(s)
변우식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46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가설 3
4. 용어의 정의 3
5.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체육 부진아 5
2. 체육 부진아의 발견 방법 6
1) 신체적․생리적 요인 6
2) 학습진단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 8
3) 학습에 흥미․관심을 보이려는 의욕이 없는 학생 8
4) 허약아와 질병 학생 9
3. 아동기 신체 및 지각 발달 9
1) 신체 및 운동 발달 9
2) 운동기능 및 인지 발달 10
3) 또래관계 및 사회적 발달 10
4. 운동기능체력 11
1) 민첩성 11
2) 순발력 12
3) 평형성 12
4) 반응시간 및 스피드 12
5) 협응성 13
5. 준거설정 방법 13
1) 판단적 준거설정방법 13
2) 규준적 준거설정방법 13
3)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의한 경계선방법 13
4) 복합적 준거설정방법 14
6. 선행연구 14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 대상 17
1) 검사대상 17
2) 전문가 자문 집단 17
2. 연구절차 17
1) 검사종목 선정 17
2)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8
3) 기준설정 18
3. 검사도구 20
4. 측정방법 20
1) 놀이형 검사 측정 방법 20
2) 기존 운동기능검사 측정 방법 22
5. 자료분석 23

Ⅳ. 연구결과 24
1. 검사종목 선정 24
1) 예비검사종목 선정 24
2) 예비검사 24
3) 최종검사종목 선정 26
2. 타당도 검증 26
1) 내용에 기초한 근거 26
2) 검사-준거 관련성 27
3. 신뢰도 검증 27
4. 기준설정 28
1) 기술통계 28
2) 체육 부진아 기준 설정 29

V. 논의 31
VI. 결론 34
참고문헌 35
38
부록 4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변우식. (2014). 체육 부진아 교육을 위한 놀이형 검사도구 개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