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그림책 활용 실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의 특성을 바탕으로 국어 교과서에서의 그림책이 어떻게 활용
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림책의 특성은 글과 그림이 통합된 관계 속에서 의미
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에서 그림책이 활용된다는 것은 첫 번째
로 그림책이 교과서 제재 형태로 변용되는 것, 두 번째로 그림책 제재를 학습하기
위한 활동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2009 개정 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서의 그림책 활용이 그림책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국
어 교육에서 그림책을 교육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그림책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하여 밝히고 초등 국어 교과서의 구성
방식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의 국어 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에 대하여 탐
색하였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복합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문학 장르이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그림책의 특
성을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초
등 국어 교과서의 구성 방식에 따라 다른 성취 기준들과 함께 교과서 단원에 반영되었다. 그리고 그림책이 국어 교과서 및 국어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방식은
크게 국어 교과서의 영역 구분에 따라 국어 활동(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문학 영역, 문법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의 그림책 제재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이다. 우선, 그림책 제재
가 원작 그림책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림, 글과 그림의 관계, 파라텍스트의 차원
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원작 그림책에서 그림책 제재로 변용된 사례들을 유형
화하였다. 두 번째로는 그림책 제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활동
분석은 성취 기준 및 학습목표 수준, 제재 수준, 학습자 수준으로 나누어 진행하
였다. 그리고 각 수준에서 활동의 적합성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이루어진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그림책 제재
가 원작 그림책과 다르게 변용된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그림책 전체의 글과 그림을 수록한 경우, 둘째, 그림책의 일부의 글과 그림을 수
록한 경우, 셋째, 두 장면 이상을 한 장면으로 합친 경우, 넷째, 글과 그림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되어 수록된 그림책 제재를 활용한 교과
서 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성취기준 및 학습목표의 달성
에 초점을 맞추어 단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진다. 둘째, 문학 영역의 활동에서는 글
과 그림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반면, 이외의 영역에서는 글과
그림을 따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셋째, 학습자 수준에서 난이도와 흥미도
가 적합하게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교육에서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교과서에 수록하는 과정에서 글과 그림의 관계, 그림과 그림의
관계가 잘 드러날 수 있는 방향으로 적절히 변용하거나 변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할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글과 그림의 관계를 우선
시해야 한다.
셋째, 그림책의 복합양식적 특성, 문학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을 구성한
다면 그림책을 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책을 국어 교육 자료로서 활용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에서도 그림책 제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에서 나타난 그림책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져야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수록된 그림책 제재가 교실 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
에 대한 분석과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과 같이 수업 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picture
books are u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books. Picture books are characterized by the delivery of
meanings of texts and pictures in integrated relations. Also, using picture
books in Korean textbooks means: first, they are transformed into a form of
materials for the textbooks; and second, activities are composed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the picture book materials.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use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uster,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proper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attempts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use of picture 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educational resources.
Chapter II investigates and reveal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looks into the methods of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it explores their values and plans for us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 picture book is a literary genre in which
texts and pictures play their roles and deliver meanings in an integrative
way. It is found that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men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based on achievement in the literature
section. Also, depending on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ey have been reflected in the units in the textbooks
with the other criteria for achievement. In addition, the ways in which
picture books are used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broadly into the section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literature section and grammar se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ections of the Korean textbooks
Chapter III analyzes the status of the uses of picture books in Korean
textbooks.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uster in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First, it looks into how the picture book materials have changed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 at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and
pictures and para-texts. Also, the cases of the transformed into the picture
book materials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s are classified. Second, the
activities composed based on the picture book materials are analyzed. Theanalyses of the activities are conducted on the levels of criteria for
achievement and learning objectives, materials and learn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activities is discussed at each level.
Chapter IV summarizes and organ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Chapter III. The types of transformati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icture
books are divided broadly into four: First, a case in which they include all
texts and pictures of the picture books; second, one in which they include
some texts and pictures; third, one in which two or more scenes are
combined into one; fourth, one in which texts and pictures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n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textbook activities
using the converted picture book materials included are as follows: First,
mostly a phased approach is made, focusing on meeting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and learning objectives. Second, the activities in the literature
section tend to use the texts and pictures in an integrative way while the
other sections tend to use them separately. Third, at the learner level,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interest are properly com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including picture books in th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convert texts and pictures appropriately, so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xts and pictures, and between the pictures, or
minimize the conversion.
Second, as criteria for selection of picture books to be included in
text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picture should be the first
priority.Third, organizing the activities focusing on the multimodal characteristic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books will be used effective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active studies of uses of picture books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and the 2009 revised Korean textbooks use various
picture book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use of picture
books at the level of curricula and textbooks. Yet, the value of curricula and
textbooks are revealed only if they are learn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 analysis of cases of the uses of the
picture book materials included in the textbooks in the scene of classroom
and a study on the level of class like applicable models of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Author(s)
강민정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47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고찰 4
3. 연구 내용 및 방법 8
Ⅱ. 이론적 배경 10
1. 그림책의 개념 및 특성 10
2. 초등 국어 교과서의 구성 22
3. 그림책의 국어 교육적 가치와 활용 33
Ⅲ. 국어 교과서의 그림책 제재 활용 실태 분석 38
1. 그림책 제재 수록 양상 40
2. 그림책 제재 활용 양상 49
3. 시사점 104
Ⅳ. 요약 및 결론 106
참고 문헌 108
ABSTRACT 11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민정. (2014).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그림책 활용 실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