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양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통합'이라는 시대적 추세에 맞물려 2009 개정 국어과 교과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통합형 국어 교과서'라는 새로운 외형체제의 교과서가 개발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개발된 통합형 국어 교과서가 수업으로 실행될 때 영향
을 주는 실행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그 요인들이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떻
게 작용하는지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을 위한 바람
직한 방향을 밝히는 데 있다.
첫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교재 요인(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교사 요인, 학생 요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
다. 그리고 각각의 요인들에 따라 세부적인 실행 요인을 추가로 설정하고 수업
실행 분석을 위한 틀을 마련하였다. 그런 뒤 실제 통합형 국어 교과서의 한 단원
을 선정하여 전 차시의 수업을 관찰․분석하였다. 선정된 단원은 연구자가 논의
한 통합의 원리에 근거하여 통합성이 높다고 판단된 3학년 2학기 '4.들으면서 적
어요'이고, 관찰 방법으로는 비참여 관찰(촬영)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업이 끝
난 후에는 수업과 관련된 교사 면담과 학생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생 평가 결과및 학생 활동 결과물 등을 참고하여 여러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분석
하였다.
다음으로, 여러 수업 실행 요인들이 '수업' 상황에서 다양하게 작용하며 수업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충실도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교과서에 표상된 내용이 학생의 학습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즉,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더욱더 풍부한 내용으로 구성된 '통합
형 국어 교과서'가 학생에게 와서는 축소·변형되어 학습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렇
게 된 원인으로는 교재, 교사, 학생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제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의 바
람직한 방향을 교재(교과서), 교사,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먼저,
교재 차원으로는 교과서 활동 및 지문의 난이도 조절 및 분량 조절이 필요하다.
난이도와 분량이 적절하지 못하다면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에게나 학습을 하
는 학생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제대로 된 수업 실행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교사 차원으로는 새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관한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사전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 많은 교사들
이 새 교과서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형 국어
교과서'의 의도와 내용이 제대로 학생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새롭게 개정된 교
육과정에 대한 내용에서부터 교과서 구성 체제, 교과서 활용 방안 등과 관련된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 차원으로는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
려한 내용과 활동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학생에게 제대로 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맞춤형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는 모든 학생에게 맞추어 개발될 수 없다. 따라서 교사는 교과서에 있는
활동 모두를 '있는 그대로' 실행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져야 하며, 교재 차원에서도 학생의 수준이나 흥미 차이에 따른 재구
성 방안 및 추가 자료 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historical trend of 'integration,' a great change occurred
in the 2009 revised Korean subject textbook: that is, a textbook in a
new physical system,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was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look for what performance factors have
impacts on the practice of the developed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in a class; how the factors operate in real class situations;
and lastly, reveal desirable directions of teaching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First, this study divides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ing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dividing
them into textbook factor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
teacher factor and student factor. Also, it sets up sub-factors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actors additionally and prepares aframe for analysis of teaching performance. Then, it selects one unit
of the actual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observes and
analyzes the class throughout the entire class hours. The selected
unit is '4. Write down while listen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grade, which is judged to have high integr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researcher discussed, and as a method of
the observation,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shooting) is used.
After the class,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regarding the class
and a survey with the students are conducted, and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ents'
activities, it analyzes how several factors act.
Next, it is found that several teaching performance factors act in
'teaching' situations in various ways and affect the teach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in terms of fidelity,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do not lead to the results of the
students' learning. In other words,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consisting of richer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s shortened and transformed to the student. Also, as
reasons for this, textbook, teacher and student factors act in a
complex way.
Lastly, based on the inquiries so far, it proposes desirable
directions of the teaching performance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dividing them into the levels of textbook, teacher
and students. First, at the level of the textbook,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textbook activities, texts and quantity.
Inappropriate difficulty and quantity may burden the teacher who
actually carries out the class and the students who learn, and it is
therefore difficult to carry out proper teaching performance. Thus,
these have to be adjusted. Second, at the level of the teacher, it isnecessary to train the teacher regarding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 Through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ir prior awareness, it
is found that many teachers do not hav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new textbook, yet. Thus, for the intents and contents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textbook' to be delivered to the students
properly,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regarding the system of the
textbook configuration and a plan to use it from the contents of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Third, at the level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ontents and activities considering their
level and interest. For their proper learning, customized classes
should be delivered considering their level and interest. However,
the textbook cannot be developed for all students. Thus, the teachers
should have flexibility to reconstruct all activities in the textbook for
the learners, instead of using them 'as they are,' and at the level of
textbook, al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and addition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level or
interest.
Author(s)
양지숙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48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가.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3
나. 국어 교과서의 통합적 구성에 관한 연구 5
다.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 7
3. 연구 내용 및 제한점 9
Ⅱ. 통합적 국어 교육과 통합형 국어 교과서 11
1. 총체적 언어 교육과 통합적 국어 교육 11
가. 총체적 언어 교육 11
나. 통합적 국어 교육 13
2. 통합형 국어 교과서의 구조와 통합 원리 18
가. 통합형 국어 교과서의 구조 18
나. 통합형 국어 교과서의 통합 원리 23
3. 통합형 국어 교과서에 대한 적절성 26
가. 통합형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27
나. 통합형 국어 교과서에 대한 적절성 양상 32
4.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모형 42
5.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요인 44
가. 교재 요인 44
나. 교사 요인 46
다. 학생 요인 47
Ⅲ. 연구 방법 49
1. 연구 방법 및 절차 49
2. 분석 기준 50
가. 단원 분석 50
나.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분석 기준 51
Ⅳ.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양상 분석 및 시사점 53
1. 사례 분석 결과 53
가. 교재 요인 53
나. 교사 요인 64
다. 학생 요인 76
라. 실행 양상 79
2. 시사점 83
Ⅴ. 결 론 85
참고 문헌 88
ABSTRACT 90
부 록 9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지숙. (2014). 통합형 국어 교과서 수업 실행 양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