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교육 자료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 학년 영어과 검정교과서 및 지도서 전체 5종에 제시된 문화교육 자료가 문화내용, 지도 방법, 언어활동과의 종합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문화내용면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소재 목록 19가지를 기준으로 소재별로 분석하였고, Morgan(2001)의 문화유형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Kachrn(1996)의 분류기준을 활용하여 배경별로 분석해 보았다. 문화지도 방법면에서는 이완기(2009)가 소개한 문화지도 방법을 3,4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보안하여 기준을 삼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언어활동과의 통합면에서는 문화코너에서 소개하고 있는 문화내용이 언어활동과 통합하여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문화내용 분석 중 교과서 및 지도서 문화코너에서 소개하고 있는 문화내용을 소재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직접적인 문화관련 소재 비율이 60%~70% 정도로 다른 소재들에 비해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었고,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내용,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 우리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 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 순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및 지도서가 소재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음, 문화코너에서 소개하고 있는 문화내용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섯 개 출판사의 문화 유형 분석의 공통점은 관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두 번째로는 산물이 높았으며, 관점, 공동체, 인물은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신장 측면에서 본다면 관습의 비중이 가장 높은 점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지만 관점에 관한 내용은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산물 문화를 활용하여 그 속에 담겨진 그 나라 사람들의 관습이나 관점을 찾게 한다면 3, 4 학년 수준에서도 관습이나 관점과 관련된 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문화간 의사 소통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문화코너에서 소개하고 있는 문화내용을 배정별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각 출판사에서 보여 지는 공통적인 특징이 확대되는 원에 속한 나라의 비중이 모두 60% 이상으로 월등히 높았고, 확대되는 원에서의 대륙별 비중을 분석해 보면, 다섯 개 출판사 모두 아시아 국가의 문화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고, 다음으로는 유럽 국가의 문화가 뒤를 이었으며,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남극 및 북극의 문화는 아시아와 유럽 국가의 문화 비중에 비해 미비 하였다. 제한된 영어수업 시간에서 모든 나라의 문화를 가르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적어도 대륙별로 골고루 다른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여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문화코너에서 소개하고 있는 문화내용이 지도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출판사가 각 단원별로 비슷한 절차로 문화코너를 지도 하도록 안내되어 있었고, 지도 방법 역시 몇 가지 방법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지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능동적인 체험 중심의 문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연구 문제인 문화코너에서 제시한 문화내용을 언어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문화내용을 문화코너 내에서 언어활동과 전부 통합하여 제시한 출판사가 있는 반면, 전혀 언어활동과 통합하여 문화내용을 제시하지 않은 출판사도 있어서 그 편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코너에서 제시한 문화내용을 문화코너 이외의 활동에서 언어활동과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출판사 C가 언어활동과 문화내용을 통합하여 다루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출판사들은 30%대로 비슷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다양한 소재와 나라를 배경으로 한 문화내용이 언어활동과 통합하여 제시되어야 학생들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강지영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56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문제 3
II. 이론적 배경 4
1.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4
2. 문화지도 내용 5
3. 문화지도 방법 10
4. 언어와 문화 공합학습 14
5. 선행연구 16
III. 연구 방법 22
1. 분석 대상 22
2. 분석 기준 25
IV. 연구 결과 및 논의 32
1. 연구 문제 1: 문화지도 내용 분석 결과 32
2. 연구 문제 2: 문화지도 방법 분석 결과 40
3. 연구 문제 3: 언어활동과 문화내용의 통합 유무 분석 결과 43
V. 결론 및 제언 45

참고 문헌 1
ABSTRACT 1
부 록 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지영. (2014).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문화교육 자료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