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가족 구성원의 죽음과 극복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험에 나타나는 현상이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살면서 누구나 겪는 가족과의 사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있다. 더불어 슬픔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이들을 치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죽음으로 인한 가까운 사람과의 이별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경험이다. 그 중에서도 가족 구성원의 죽음이라는 사건은 커다란 충격과 슬픔에 마주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반응이나 부정적 감정들은 일정한 기간 동안 애도의 과정을 거친 후에 서서히 치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는 외할머니, 아버지와 큰 남동생, 할머니, 할아버지와의 사별을 겪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슬픔과 상실 극복의 과정을 겪었다. 사랑하는 가족을 보냈다는 점에서 가장 먼저 슬픔의 감정에 당면했지만 죽음의 시기와 대상, 원인에 따라 슬픔의 유형과 정도가 달랐고, 그것을 이겨내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애
도의 시간은 나 스스로를 돌아보게 했으며, 삶의 주체로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성찰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러한 성찰적 극복의 과정이 자문화기술지라는 연구방법을 선택한 동기가 되었다.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 개인의 경험을 주요한 데이터로 사용하며,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려는 의도로 진행된다. 자문화기술지는 공동체 또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개인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자문화 기술지는 사회와 문화 속에 존재하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에 대해 반성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일기와 메모, 다이어리(스케줄러), 주고받은 편지, 사진과 영상, 블로그의 글, 이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조직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작업으로
Richardson(1994, 2000a)과 Duncan(2004)이 제시한 평가준거를 활용하여 검토했다.
나는 글쓰기의 시간을 통해 슬픔과 애도의 과정을 거쳤고, 치유의 단계에 이를 수 있었다. 살면서 당면하는 슬프거나, 고통스럽거나, 혼란스러운 일은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찾아냄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태어나고 죽는다. 그러므로 그 필연성을 인식하고 존재하는 것의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가족 구성원의 죽음이라는 상실을 경험한 독자들이 이 글을 읽음으로써 위로받을 수 있기를, 그리고 또 누군가는 앞으로 다가올 수많은 이별에 대해 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arting with family members by death, which can happen to
anyone in life, by observing some signs and changes in personal experiences. Besides, it can be meaningful as a basic tool to cure people who suffer from grief.
Parting with someone close by death happens to anyone. Above all, family member's death throws people into a great shock and grief. In general, however, these psychological responses and negative emotions slowly disappear after a certain period of mourning time.
Being parted from my maternal grandmother, father, one of
younger brothers, grandmother and grandfather by death, Iexperienced many different feelings of grief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loss of my family members. When it comes to the loss of my loving family members, I first faced the feeling of grief,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forms and stages of grief among the times of death, the dead and the causes. There is a bit
difference in the ways to overcome it as well. With this process, I could not only look back upon myself, but also take some time for reflecting on 'how I would live in the future' as an agent of life.
Consequently, I have chosen this study method, called
autoethnography, with the learning process. Autoethnography takes 'Personal Experiences' as major data for the study and trie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It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shows personal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or the sociocultural contexts.
Also it offers an critical insight into the personal experiences b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himself in the society and culture with self-reflection. With materials from diaries, notes, a chart of daily schedules, personal correspondence, photos, videos, posts on blog, e-mails, this paper analyzes and interprets them after the systematization. In addition, in the work for ensuring validity, this paper takes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by Richardson in 1994, 2000a and Duncan in 2004.
Spending time writing something, I had experienced feeling of grief and the process of mourning. Then I could be in the stage of healing myself. By seeking the meaning of life, we can overcome sorrow, pain and confusion which we face in our lives. We areborn, we die. So we should be able to see its inevitability and find value of beings. More than all, by reading this paper, I wish people who have an experience of the death of the family members could be comforted. I also wish people who will part with others
times out of number could provide for the future.
Author(s)
정혜인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60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2. 연구문제 4
II. 문헌 고찰 5
1. 죽음의 의미 5
가. 사전적 정의 7
나. 죽음과 관련된 용어 9
1) 사별 9
2) 상실 10
3) 슬픔 10
4) 애도 11
2. 죽음에 대한 학문적 접근 12
가. 전통적 접근 12
나. 죽음/ 사별에 관한 선행연구 18
3. 죽음에 대한 접근으로서 자문화기술지 20
가. 기본개념 21
나. 연구 절차 25
다. 기대효과 30
III.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으로서 나 35
가. Self-Zoom-in 나를 인터뷰하다 35
1) 세상에 나를 꺼내다 35
2) 꿈을 그리다 36
3) 나를 키우는 울타리 37
2. 자료의 수집 39
3. 자료의 분석 및 타당도 작업 41
가. 자료 분석 41
나. 타당도 작업 41
IV. 다섯 번의 죽음과 네 번의 장례식 43
1. 외할머니의 죽음 44
가. 외할머니를 추억하며 44
1) 함께 지낸 시간 44
2) 죽음이란 46
3) 편히 잠드시길 47
2. 아버지의 죽음 48
가. 가을 하늘에 쓰는 편지 48
1) 아버지와 함께 춤을 48
2) 꿈의 대화: 홀로서기 50
나. 찬란한 슬픔의 봄 51
1) 위암 판정을 받다 52
2) 영원히 눈을 감다 55
3) 이별의식: 잘 보내드리기 위하여 56
4) 우주의 방향성 58
다. 늘 내 안에 계시는 아버지께 59
3. 남동생의 죽음 60
가. 그 여름의 파도, 사건 하나 61
1) 청천병력 61
2) 믿어지지 않음 62
3) 풀뿌리라도 붙잡고 싶은 심정 63
4) 다행이라고 해야 하는 건지 64
5) 헤어질 시간 66
나. 슬픔보다 더 큰 슬픔 67
다. 애이불상哀而不傷: 슬퍼하되 마음 다치지 않게 70
라. 참 고운 내 동생 주현에게 73
4. 조부모의 죽음 77
가.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77
1) 삶의 마지막 모습 79
2) 꺼져가는 생명의 불씨 80
3) 긴 하루 81
나. 아름다운 마무리 82
1) 못 다한 이야기 83
2) 삶과 죽음의 아이러니 83
3) 이젠 안녕 84
Ⅴ. 가족의 죽음에 대한 극복 87
1. 나를 일으키는 것들 87
가. 내 안에서 88
1) 걷는 즐거움 88
2) 시간이 약 89
나. 우리 안에서 90
1) 따뜻한 말 한 마디 90
2) 추억의 순간들 91
2. 기념일 반응 92
3. 치유의 힘 94
가. 삶은 여행 95
나. 두 번째 고향, 카자흐스탄 97
1) 사람=사랑 97
2) 작은 깨달음 99
Ⅵ. 성찰: 지금 이 순간 바로 여기 101
참고문헌 107
ABSTRACT 11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정혜인. (2014). 가족 구성원의 죽음과 극복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