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영어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5학년 영어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학습목표 등과 관련하여 내용과 문장유형 면에서 적합한 영어동화를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이와 연계된 유의미한 글쓰기 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5학년 영어쓰기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가 학습자의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영어쓰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필요성 3가지 영역의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를 위해 제주 제주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반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실험반에서는 교과서에 나와 있는 쓰기 내용 대신 영어동화 읽기 수업을 진행한 후, 유의미한 글쓰기 활동을 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영어교과서에 나와 있는 순서대로 교과서의 읽기활동과 쓰기활동을 하였다. 연구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의 쓰기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 쓰기평가를 실시 한 후 해당문항에 대해서는 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사전 쓰기평가와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험반 학생들과 비교반 학생들에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쓰기에 대한 태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이 연구가 학생들의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영어쓰기 평가 중 통제, 유도된 글쓰기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로 하여금 단순한 답을 요하는 통제.유도된 글쓰기를 형가 하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영어쓰기 평가 중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자유 글쓰기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하였으며, 어휘력과 문장 구성력, 내용을 창의적으로 조직하는 능력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 수업 후 학습자의 영어쓰기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필요성에 있어서 정의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 설문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3가지 항목 모두 우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실험 수업 후에 이루어진 사후 설문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마한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쓰기에 대한 흥미도를 상승시켰으며, 영어로 글을 쓰는 데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된다. 또한 영어쓰기의 필요성에 있어서 학습자들은 실험 수업 후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음성언어로 표현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문자언어로도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에 중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즉 본 연구에서 실험한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는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높아지고 영어쓰기의 필요성을 느끼는 등 정의적 태도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현행 영어교육과정 상에는 3차시, 4차시에서만 간략하고 기계적인 쓰기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앞으로는 영어교육과정에서는 음성언어의 지도와 함께 문자언어도 1차시부터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유의마한 활동 중심으로 쓰기 지도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어동화에만 국한된 영어 쓰기 수업이 아니라 영어 동시를 활용하거나, 영자 신문, 영어 일기 쓰기 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학습자들의 실생활과 관련하여 자신의 경험을 영어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어쓰기 활동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영어 교과서의 각 단원의 주제에 맞는 영어동화를 추출하여 수업에 도입하여 활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각 주제에 맞는 영어동화를 선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앞으로 학년별 영어교과의 주제와 맞는 영어동화 목록을 제공하는 연구를 통해 교과서와 연계한 다양한 영어동화의 목록이 일반화가 된다면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이 영어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쓰기 지도를 하면서 영어 교과에 있어서도 다른 몇몇 교과들처럼 하나의 쓰기 활동 자료 책이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가 유의미한 글쓰기 지도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없을 것이며,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쓰기 지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학습자의 수준에 맞고 흥미로우며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Author(s)
고은영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5.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61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3
1.3 연구의 제한점 3
II. 이론적 배경 4
2.1 쓰기의 정의 및 필요성 4
2.2 쓰기의 유형 6
2.2.1 통제 글쓰기 7
2.2.2 유도 글쓰기 7
2.2.3 자유 글쓰기 8
2.3 글쓰기 지도에서 영어 동화 활용의 효과 10
2.4 선행연구 11
III. 연구 방법 15
3.1 연구의 설계 15
3.2 연구의 대상 16
3.3 평가 도구 17
3.3.1 동질성 검사 도구 17
3.3.2 영어 학습에 대한 기초 설문지 17
3.3.3 영어쓰기 능력 평가지 18
3.3.4 영어쓰기 정의적 태도에 관한 설문지 19
3.4 살험연구의 절차 20
3.4.1 실험반과 비교반의 동질성 검증 20
3.4.2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 기초조사 설문지 분석 21
3.4.3 단원별 영어동화 및 유의미한 글쓰기 주제 선정 25
3.4.4 차시별 학습 내용 32
3.5 통계적 분석 3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0
4.1 영어 쓰기 능력 평가 결과 40
4.2 정의적 영역에 대한 태도 설문 결과 45
4.3 영어 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 수업 후 학습지 설문 결과 50
IV. 결론 및 제언 57
5.1 결론 57
5.2 제언 59
참고 문헌 61
ABSTRACT 64
부록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은영. (2014). 영어동화를 활용한 유의미한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영어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