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연생태를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cological study of art education on a map: Centered around a one to three year primary school
Abstract
오늘날 우리 생활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편리해지고 있지만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 부재가 발생하며 인간성 상실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최근 교육계에서는 창의·인성 교육을 중시하며 체험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일회성 체험활동이나 특별 수업으로 이루어져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과 가능성은 미흡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을 대처하기 위해 미술교육을 통한 아동들의 삶을 주체적이고 유희적으로 살 수 있는 교육방법과 환경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지니게 되었다.
교실 밖의 수업은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자연이 주는 풍요로운 재료에 의한 감동을 줄 수 있고, 자연생태와의 정서적 교감으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간과 자연생태, 그리고 지역 환경의 관계성에 기초하며 생태의 본질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생태미술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고 생태적 감수성과 공감능력을 회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제주의 자연생태의 곶자왈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생태미술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활동 모형을 생태 해설·생태 체험·자연물을 이용한 미술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생태 해설은 제주의 자연환경과 곶자왈의 자연생태의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그리고 생태체험으로는 주제와 관련한 놀이활동과 자연물을 관찰하고 채집하는 탐색활동을 진행하였다. 채집한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활동을 진행하여 작품 제작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활동으로 지도안을 구성하고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8차시 지도계획을 제시하였으며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습자에게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해설·생태 체험·자연물을 이용한 미술활동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학습자들은 자유로운 발상을 통해 풍부한 표현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들은 정형화된 표현 방법에서 오는 거부감이 감소되고 오감으로 경험한 자연물을 이용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다.
둘째, 생태 해설을 통해 제주 곶자왈의 특징과 서식하는 식물의 종류를 알게 되어 생태계가 갖는 가치와 소중함을 깨닫고,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생태 체험을 통한 놀이와 탐색활동으로 곶자왈을 구성하는 자연생태의 요소와 학습자 간의 교감이 이루어져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직접 채집한 자연물로 미술활동의 재료로 이용하였다. 자신의 이름표 제작과 친구의 모습을 표현하며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뭇잎을 이용하여 배 만들기와 동물 만들기를 했으며,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압화 책갈피도 제작하였다. 또한, 생태공원을 만들어보고 요새 짓기를 진행하면서 자연생태와 인간이 조화롭게 사는 방법을 배워 자연 보호의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연물을 경험하여 재료의 폭이 넓어질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자연생태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주 곶자왈과 연계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지속 가능한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oday, our life is becoming convenient day by day, with the advancement in science technologies, but this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causing a lot of social problems, such as a lack of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 people and a loss of humanity. As an alternative for this, the recent educational world is putting emphasis o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nd experience education is receiving big attention. But most educational programs are focused on an one-time experience activity or a special class and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application methods and applicability in the actual spot of education. To cope with this reality, there is a need to seek educational methods of helping children live independent and amusing lives through art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 class outside the classroom can impress children by stimulating curiosity using plentiful materials in nature, and positively influence their growth by promoting an emotional communion with natural ecology. Moreover, children are able to learn how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essence of ecology,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al ecology and between natural ecology and reg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ecological art education and create an environment for restoring ecological sensibility and empathic ability, and an ecological art program was devised using Gotjawal, a unique natural ecological area in Jeju Island.
For an efficient ecological art program, the activity model was classified into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an ecological experience and art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s.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was carried out to acquire theoretical knowledge about natural environment in Jeju Island and natural ecology in Gotjawal. For an ecological experience, also, theme-related play activities and exploration activities for observing and collecting natural objects were conducted.
Lastly, children were asked to produce works using the collected natural objects during the art activities. Based on these activities, a 8-session guidance plan was suggested to be efficiently used in the spot of educatio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ep-by-step art activities using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an ecological experience and natural objects enabled learners to express in diverse ways using liberal ideas. Learners' hostility to standardized expression methods declined and they expressed works of art vividly using the natural objects that they experienced with their five senses.
Second, by hearing the ecological interpretation, learners coul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Gotjawal in Jeju and the kinds of plants in this area, realized the values and preciousness of ecosystem and showed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ird, the ecological experience-based play and exploration activities stabilized learners emotionally by promoting a communion with ecological components of Gotjawal.
Fourth, learners used the natural objects which they collected by themselves, as materials for the art activities. They explored themselv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making their own name tags and expressing figures of friends. They also made ships and animals using leaves and practical bookmarks with pressed flowers. In addition, children learned how to live in harmony with natural ecology and protect nature by participating in the ecological park making activity and the fortress building activity. These art activities using natural objects enabled learners to experience various kinds of natural objects and widened a choice of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using natural ecology,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cological art program which was linked to Gotjawal in Jeju and aimed to help in forming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uthor(s)
강지현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75
Alternative Author(s)
Kang, Ji hy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자연생태와 미술교육 4
1. 자연생태의 이해 4
2. 생태미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5

Ⅲ. 지역 환경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개발 9
1. 곶자왈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설계 9
2. 곶자왈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활동 유형 18

Ⅳ. 수업 지도방안의 실제 23
1. 곶자왈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 지도의 실제 23
2. 결과 및 분석 51

Ⅴ. 결론 54

참고문헌 56

ABSTRACT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지현. (2015). 자연생태를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