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방과 후 미술프로그램 수업지도안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fter School art lesson plans study program : Focusing on Korean painting expressive activities
Abstract
미술교육은 미적체험, 표현의 즐거움, 새로운 창조, 등의 경험을 통하여 정서를 풍부하게 해주고 미술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화 속에서 학생들이 민족적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전통미술을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이에 부응하여 제4차 교육과정부터 제9차 교육과정까지 미술과 각 영역마다 전통미술을 지도하도록 강조하고 있지만, 현재 진행되는 미술 교과서는 디자인, 조각, 현대미술, 서양미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 미술인 한국화 수업은 교사들이 기술적인 소양을 갖추지 못하고, 충분하지 않은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조건 때문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습형태로 인해 아동들이 전통미술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게 되었고, 그 결과 한국화는 낯설고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학교정규 미술수업보다 제약이 적은 방과후학교 미술활동을 통하여, 학교 미술교육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과정부터 주체적 문화의식 교육의 일환으로서 한국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 하에, 제주시 'ㄱ'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과정 아동 1 ·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화를 쉽고 재미있게 접하여 전통예술에 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조사 결과를 보면 아동들은 한국화에 대해 흥미와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한국화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연구를 우선 과제로 삼았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한국화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아동들이 한국화의 특징과 표현 방식을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고, 초등학교 한국화 교육에 적합한 시청각 자료와 학습지도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도안에 따라서 실제 한국화 교육과정에 적용하였다. 한국화 표현양식을 소재에 따른 장르별 특징으로 나누어 교육함으로써,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새롭게 고취시키는 동시에, 아동들이 흥미와 관심을 갖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배울 수 있었다.
셋째, 어려운 용구의 활용에 있어서도 붓으로만 그림을 그린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붓 이외에 이쑤시개, 면봉, 붓펜 등의 여러 가지 용구를 활용하여 표현 효과의 다양성을 이해시킴으로써 재료와 용구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한국화 수업을 통해서 아동들은 전통문화와 미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고, 한국화 역시 책이나 미술관에서만 감상하는 예술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살아 숨 쉬는 우리 문화의 일부라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을 통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심어주며, 한국화를 이해하고 친숙하게 접근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인 한국화 교육을 계승하여, 아동들이 새로운 문화를 포용할 수 있는 적응력과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초등학교에서 바람직한 한국화 교육이 이루어 질 때 전통문화에 대한 민족정신을 배울 수 있고, 더불어 국제경쟁력 시대에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것이다.
The education of Art improves our thoughts through an experience like an aesthetic act, a pleasure of drawing explicit, a new creation, or etc, and it has purpose on growing an 'all-natured people' to develop the Art culture.
Also, in this fast growing cross-cultural world, we need to focus on a traditional art in an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procedure to make the students sure their ethical personality.
In this way, korea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traditional art, from the 4th education procedure to the 9th, in each sections, but today, we primarily teach an aesthetic design, texture, modern art, and western art with the textbook.
In addition, the 'Korea Drawing' class, which is one of our traditional art educationl have low level of possession of aesthetic techniques, limited time, and space.
In such an education process, the students have less chance to learn the traditional art, and, it causes people have stereotypes about how hard and unfamiliar the 'Korea Drawing' is.
So, we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an 'after-school program' which offers more flexible conditions than an official art class does.
In this experiment, from early stage in an elementary school, we start the study under the conscious of 'Korea Drawing' would be educated as a part of Korea cultural senses.
The study takes the first and second grades students in Jeju island, applying divergent teaching skills to make them feel familiar to the traditional art and have fun with an easy-learning the Drawing.
The following process will show how the study experiment worked.
Fist of all, the kids had no interests in Korea Drawing at the result.
So we set the priority to create an easier and more effective way to teach the Drawing.
Besides, we searched some records related to the Korea Drawing, to find proper video files and learn about the Drawing's specialty and a method of explanation.
Ssecond, in such procedures, we applied the study in reality.
As we classified the Korean Drawing art skills into some kinds of materials to educate them, the kids were interested in a traditional art with newly understanding and able to learn various drawing techniques.
Third, we helped them broke the boundary of using only 'paintbrush' to draw.
They widely understood of drawing materials through a practice of using 'toothpick, cotton stick, paintbrush pen' and etc.
As mentioned above, these various drawing classes helped the kids more easily approached to a traditional art and culture.
And they also percept those art and cultures are parts of our living natures, not just 'watch only' things in an art book or a museum.
In such procedures people will more easily understand and be approach to Korean Drawing, deeply interested in a tradition and culture.
As a consequence, we focused on offering a chance to newly apply and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and cultural art in our experiment. Kids would pay attention to the Korean Drawing education.
When such well-organized education program will be widely applied throughout a whole country, children would have high-level of ethical attitudes, minds, and thoughts in a competitive world.
Author(s)
부지혜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83
Alternative Author(s)
Boo, Ji Hye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방과후 미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4
1. 방과후학교의 개념 4
2. 방과후학교의 목표 8
3. 방과후학교의 필요성 10

Ⅲ. 한국화의 이론적 배경 13
1. 한국화의 개념 13
2. 한국화의 분류 및 특징 16

Ⅳ. 한국화 수업을 하기 위한 미술수업 교수-학습 31
1. 미술수업 지도방안 31
2. 한국화 활동을 위한 사전조사 35
3. 학습지도안 및 학습결과물 38
4. 한국화 수업 후 종합논의 55

Ⅴ. 결론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2

부 록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부지혜. (2015). 방과 후 미술프로그램 수업지도안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