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평가제의 성취기준·성취수준 지표 개발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2009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Evaluation Standards and Levels : For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of Advanced Music Major Curriculum in 10-12th Grade students
Abstract
교육부는 창의·인성교육의 활성화를 목표로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교
육과정과 교수·학습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였다.
성취평가제의 시행을 위해 중·고등학교 모든 교과에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을 마련하였으나 음악과의 경우평가에 적합하지 않은 성취기준과 성취수
준이 제시되었으며, 음악과 심화과목의 성취평가방안은 학교 및 지역 자
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어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성취평가제의 시행에 따른 음악과 심화과목 중 시창·교과
의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
다. 이를 위해 성취평가제의 전반적 이론과 음악과 심화과목 성취평가방
안에서 심화과목의 현황 및 운영,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 개발 원리
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성취평가방안을 시창·청음 교과에 적용하여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 영역·학기단위의 성취수준, 예시평가문항의 순
서로 실제 예시를 개발·제시하였다.
개발 되어진 음악과 심화과목 시창·청음 교과의 성취평가방안은 학교현
장에서의 원활한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introduced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connected with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lessons since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the aim of invigorating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For an enforcement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middle and high schools arranged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for every subjects, but confusions are occurring in the field as inappropriat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re suggested for music subject and
achievement evaluation plans for advanced subjects of music are
self-developed and self-operated in local areas and schoo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hievement
standards, levels and evaluation questions for the sight singing class of
advanced subjects of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and operation of advanced subjects and the principle of
creating achievement standards, levels and evaluation questions in the overall
theory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achievement evaluationplans for advanced subjects of music.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applied the developed achievement
evaluation to the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classes and suggested actual
examples of achievement levels in accordance with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levels for each unit of area and semester and sample questions
for evaluation in order.
Developed plans for achievement evaluation of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in advanced subject of music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operating
classes smoothly in the field of education.
Author(s)
곽정연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194
Alternative Author(s)
Kwak, Jeong yeo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방법 및 절차 2
3. 연구의 제한점 2
II. 이론적 배경 3
1. 성취평가제 3
가. 성취평가제의 의미와 도입배경 3
나.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4
1) 성취기준의 의미와 개발방향 5
2) 성취수준의 의미와 개발방향 6
다. 성취평가제 도입의 기대효과 7
2. 음악과 심화과목의 성취평가방안 7
가. 음악과 심화과목 현황 및 운영 7
1) 음악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7
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과 심화과목의 편성 및 운영 8
나. 음악과 심화과목의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 개발 원리 9
1) 성취기준 개발의 원리 9
2) 성취수준 개발의 원리 10
3) 평가문항 개발의 원리 11
III. 음악 시창·청음 교과 성취평가 방안 연구 13
1. 음악 시창·청음 교과 교육과정 13
가. 음악 시창·청음 교과 교육과정 분석 13
1) 시창·청음 교과의 목표 13
2) 시창·청음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13
3) 시창·청음 교과의 내용 14
4) 시창·청음 교과의 평가 14
2. 음악 시창·청음 교과 성취기준·성취수준 15
가. 음악 시창·청음 교과 성취기준 성취수준 개발 15
1) 개별 성취기준 개발 15
2)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 개발 18
3) 음악 시창·청음 교과의 영역별 성취수준 개발 20
가) 이해영역 성취수준 21
나) 실제영역 성취수준 22
4) 음악 시창·청음 교과의 학기별 성취수준 개발 25
3. 음악 시창·청음 교과 평가문항 개발 26
가. 음악 시창·청음 교과 평가 계획 수립 26
1) 평가 내용 및 반영비율 26
나. 음악 시창·청음 교과 평가기준 28
4. 음악 시창·청음 교과 성취평가의 실제 29
가. 시창·청음 교과의 성취평가 방안 예시 29
1)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 29
가) 시창 29
나) 청음 30
2) 영역 성취기준 31
가) 시창 31
나) 청음 33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35
4) 평가 문항 37
Ⅳ. 결론 41
43
44
75
7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곽정연.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평가제의 성취기준·성취수준 지표 개발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